$\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시 7개 습지의 수질과 동식물상
Water Quality, Flora and Fauna of 7 Wetlands in Donghae City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4, 2014년, pp.335 - 352  

한갑수 (강릉원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박정호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동해시에 분포하는 7개 습지에 대해 수질과 야생동식물의 분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대부분 습지의 수질은 오염물질의 외부유입에 의해 부영양화 상태로 나타났다. 식물은 총 234분류군으로 69과 168속 207종 24변종 3품종이었으며, 이 중 습생식물은 18종, 수생식물은 43종으로 나타났다. 산림청 지정 희귀 멸종위기식물 2종, 귀화 식물은 27종이 확인되었으며, 도시화 지수와 귀화율은 각각 8.4%, 11.6%로 나타났다.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3문 5강 12목 26과 35종이 확인되었고, 희귀종은 3종이 발견되었다. 어류는 총 5과 5종이 서식하였고,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II급 1종이 발견되었다. 대부분의 습지는 그 면적이 비교적 작고, 일부 습지는 산림 및 하천의 원거리에 고립되어 분포하는 등 외부종의 유입 및 유출의 제한이 있었다. 하지만, 특정 종을 포함한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향후 습지 유지 및 기능 제고를 위한 대책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sed the water quality, distribution of the vegetation and the wildlife to seven wetlands in Donghae city. As a result, most of the wetlands was found to be very poor water quality and some specific pollutants from entering the wetland. A total of 234 taxa on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 생태계에서 이 습지들의 원활한 기능 수행을 위해서는 분포 현황의 파악과 더불어 다양한 생태환경에 대한 조사 및 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에 산재하여 분포하는 소규모 습지를 대상으로 그 분포특성과 수질 및 동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습지로서의 기능수행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 습지생태계의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동해시 도시 내에 산재하는 7개 습지를 대상으로 수질 및 동식물상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내륙습지는 6개, 해안습지는 1개소로서 면적은 168~23,000 ㎡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습지란 무엇인가? 한편 도시습지는 도시 내에 있는 습지를 이르는 말로 기존의 자연습지가 도시 안에 자연적으로 편입된 경우와 도시 안에 새로이 인공적으로 조성된 경우 모두를 포함하는 광의의 습지로서 보통 저수지, 인공 호수, 저류지, 실개천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Bang et al., 2010).
습지 내 어류의 생태환경 확보를 위해선 습지가 적정 깊이를 유지하고, 외부에서의 특정오염물질 차단이 필요한 이유는? 수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류서식은 수량, 용존산소량 그리고 대장균군의 분포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량, 용존산소량 많고, 대장균군이 적은 습지에서 어종이 상대적으로 다양하고, 개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습지 내 어류의 생태환경 확보를 위해서는 습지가 적정 깊이를 유지하고, 외부에서의 특정오염물질 차단이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습지란? 일반적으로 습지란 물을 담고 있는 땅으로 일정기간 이상 물에 잠겨 있거나 젖어 있는 지역을 말하며(Mitsch and Gosselink, 1993), 국가 습지보전법에서는 “습지란 담수·기수 또는 염수가 영구적 또는 일시적으로 그 표면을 덮고 있는 지역”으로 정의하고 있다. Ramsar Convention(2000)에서는 “습지란 자연 또는 인공이든, 영구적 또는 일시적이든, 정수 또는 유수이든, 담수, 기수 혹은 염수이든, 간조 시 수심 6 m를 넘지 않는 곳을 포함하는 늪, 습원, 이탄지, 물이 있는 지역” 또는 “습지에 인접한 하천변과 섬, 그리고 습지 내 있는 저수위시 6 m를 초과하는 해양도 함께 고려되고 있으며, 양어장, 농경지 연못, 관수 농경지, 저수지, 운하 등과 같은 곳”도 습지로 분류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Bang, SW, Kim, ES, Jeon, SH, Lee, HS and Chae, SK (2010). A Study on the Restoration and Composition of Urban Wetlands with the Multi-functional for the Future Implementation Green City. Korean Environ. Inst. Report. p. 6. [Korean literature] 

  2. Bae, YJ, Jo, SI, Hoang, DH, Lee, HG and Na, KB (2004).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J. Environ. Sci., 18(1), pp. 75-91. [Korean literature] 

  3. Baek, MK, Hwang, JM, Jeong, GS, Kim, TW, Kim, MC, Lee, YJ, Jo, YB, Park, SW, Lee, HS, Goo, DS, Jeong, JC, Kim, GG, Choi, DS, Sin, IH, Hwang, JH, Lee, JS, Kim, SS, and Bae, YS (2010). Checklist of Korean Insects, Nature & ecology academic, Seoul, p. 598. [Korean literature] 

  4. Che, SS and Yang, HJ (1989). Geological change of scutes in Pungitius sinensis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1(1), pp. 42-53. [Korean literature] 

  5. Che, SS and Yang, HJ (1990). Natural hybrids of Pungitius sinensis and Pungitius sinensis kaibarae, Kor. J. Ichthyol., 2(1), pp. 88-94. [Korean literature] 

  6. Choi, KC, Jeon, SR, Kim, IS and Son, YM (1990).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oonsa, Seoul. p. 278. [Korean literature] 

  7. Chun, SH (2008). Distributional patterns and the evaluation of hydrophytic plants of urban wetlands in Seongnam city, Korean. J. Environ. Ecol., 22(2), pp. 159-172. [Korean literature] 

  8. Cowardin, LM, Carter, V, Golet, FC and LaRoe, ET (1979). Classification of Wetland and Deepwater Habitats of the United States, U.S. Dept. of the Interior, Fish and wildlife services, Washington, D.C. p. 131. 

  9. Donghae city (2013) http://www.dh.go.kr. 

  10. Jeo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Seoul. p. 727. [Korean literature] 

  11. Jeong, YS, Lee, WT, Jo, KH, Joo, KY, Min, BM, Hyun JO and Lee, KS (2012). Categorizing Vascular Plant Species Occurring in Wetland Eco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oohyeon press. pp. 24-132. [Korean literature] 

  12. Kang, EO, Choi, YE and Kim, CH (2012). Study on function and vegetational assessment values of man-made wetland in Gunsan city, J. Env. Sci., 21(8), pp. 997-1007. [Korean literature] 

  13. Kim, CH, Choi, YE, Kim, JW, Myong, H and Lee, SI (2011a). 3-year change of vegetation and life form at the man-made wetland in Sinpyeoncheon in Suncheon city, Kor. J. Env. Eco., 25(1), pp. 57-64. [Korean literature] 

  14. Kim, CH, Kang, EO, Choi, YE, Park, BM and Baek, JS (2011b). Flora and life form of 4 man-made wetlands in Gunsan city, J. Env. Sci., 20(9), pp. 1125-1140. [Korean literature] 

  15. Kim, IS and Park JY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sa, Seoul. p. 465. [Korean literature] 

  16. Kim, KG (2003). Wetland and Environment, Academy books, Seoul. pp. 52-60. [Korean literature] 

  17. Lee, HG, Jung, SW and Choi, JK (2012). Spatial analysis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y structure in lake Hoengseong region, Kor. J. Env. Eco., 26(1), p. 45-56. [Korean literature] 

  18. Lee, KS, Cho, MG, Moon, HS and Jeon, KS (2013). The list of vascular plants at Junam wetland in Changwon city, Kor. J. Agri. and For. Meteorol., 15(2), pp. 67-75. [Korean literature] 

  19. Lee, TB (2003). Coloured Flara of Korea, Hyangmoonsa, Seoul. p. 824. [Korean literature] 

  20.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 J. Pl. Taxon, 41(1), pp. 87-101. [Korean literature] 

  21.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pp. 36-71. 

  22.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 pp. 144-168. 

  23.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http://water.nier.go.kr. 

  24. Mitsch, WJ and Gosselink, JG (1993). Wetlands, 2nd ed., John Wiley, Newyork. p. 722.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9). Research and Evaluation on Aquatic Ecosystem Health, Incheon. p. 439. [Korean literature] 

  26.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rd ed., Wiley, Hoboken, p. 624. 

  27. Oh, SJ, Zhin, KL and Koh, SC (2009). Studies on flora of wetlands on Jeju city for application as nature exploration sites, J. Env. Sci., 18(4), pp. 411-422. [Korean literature] 

  28.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 Theoret. Biol., 13, pp. 131-144. 

  29.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2000). Developing and Implementing National Wetland Policies, p. 64. 

  30.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p. 125. 

  31. Son, YM and Song, HB (2006). Freshwater Fishes of Kum River, Jiseongsa, Seoul. p. 239. [Korean literature] 

  32. Son, JK, Kim, NC, Kim, MH and Kang, BH (2012).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ccording to growth environment and rural palustrine wetland, J. Kor. Env. Res. Tech., 15(5), pp. 129-144. [Korean literature] 

  33. The Korea Society of Systematic Zoology (1997). List of Animals in Korea, Academy books, Seoul. p. 488. [Korean literatur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