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
Nursing Needs of the Parents of Infant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0 no.2, 2014년, pp.136 - 144  

박지선 (서울대학교병원)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erceived nursing needs and the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ents of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nd to provide useful evidences developing a new intervention for family-centered care in NICU. Methods: A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FNI를 이용하여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를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가족-중심 돌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 마련과 부모를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NICU에 입원하는 환아 부모를 대상으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를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가족-중심 돌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 마련과 입원 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일개 종합병원 두 곳의 NICU 입원 환아 부모 121명을 대상으로 NICU Family Needs Inventory (NFNI)를 원저자에게 허락을 받아 국문으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2014년 4월부터 5월까지 두 달간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엑셀과 SPS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분석 및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집중치료실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를 항목별로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가족-중심 돌봄의 신생아집중치료실 운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근거 마련과 입원 환아 가족을 대상으로 한 간호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NICU 간호사는 담당하고 있는 환아의 현재 치료 경과나 상태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있음과 동시에 자신 있는 간호기술의 제공으로 가족들에게 안심과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하고 환아의 치료와 간호, 검사에 대한 정보 제공,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환아의 상태에 대한 지식 제공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 일개 지역 두 곳의 종합병원 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를 조사한 결과, 국내의 의료 환경 속에서 NICU 입원 환아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가 어떤 요구들을 가지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요구의 차이를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증 신생아가 NICU에 입원하는 것은 가족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미숙아의 치료와 간호에 있어 1차적으로는 신생아집중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의 환경이라는 특수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특히 낯선 환경에 노출되는 가족들에 대한 간호도 필수적이다. 중증 신생아가 NICU에 입원하는 것은 부모들에게 긴장, 우울의 증가와 함께 매우 스트레스를 주는 상황일 뿐만 아니라 영아의 취약한 모습과 고도의 환경, 아이와의 신체적, 정서적인 고립, 기대되는 부모 역할에 대한 상실감 등은 이러한 스트레스를 증가시킨다(Carter, Mulder, Bartram, & Darlow, 2005). 신생아의 집중치료를 위한 입원은 모아분리로 인한 소외와 신생아와 가족 사이의 접촉제한, 모아 상호작용의 기회감소로 부모들은 종종 믿을 수 없음, 불안, 불안정, 무력감을 표현하며 대부분의 부모들은 건강한 아이에 대한 기대상실로 인해 몹시 슬퍼한다.
국내에서 미숙아의 비율은 어떠한가? 국내에서 미숙아의 비율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통계청의 2012 출생통계에 따르면 2000년에 3.8%에서 2008년에 5.5%로 증가하였고, 2012년에는 총 30,356명으로 전체 출생아 중 6.3%의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비율은 해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3). 미숙아의 치료와 간호에 있어 1차적으로는 신생아집중치료실(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의 환경이라는 특수한 점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점에서 특히 낯선 환경에 노출되는 가족들에 대한 간호도 필수적이다.
NICU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는 누구의 요구 점수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 NICU 입원 환아 부모의 간호요구는 전체의 평균 요구 점수가 높았으며, 하부 영역에서는 확신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고 정보, 근접(접근), 지원, 편안의 순서로 요구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간호요구 차이는 환아와의 관계에서 지원에 대한 요구를 제외하고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의 요구 점수가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NICU 환아 부모의 구체적인 요구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가족간호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Y. M., & Lee, S. M. (2004).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NICU hospitalization education on maternal attachment, maternal self-esteem, and postpartum depression in the mothers of high-risk infa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0(3), 340-349. 

  2. Al-Mutair, A. S., Plummer, V., O'Brien, A., & Clerehan, R. (2013). Family needs and involvement in the intensive care unit: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2(13-14), 1805-1817. http://dx.doi.org/10.1111/jocn.12065 

  3. Bialoskurski, M. M., Cox, C. L., & Wiggins, R. D.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needs and prioritie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environme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7(1), 62-69. 

  4. Billings, J. A. (2011). The end-of-life family meeting in intensive care part I: Indications, outcomes, and family needs.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14(9), 1042-1050. http://dx.doi.org/10.1089/jpm.2011.0038 

  5. Brown, L. P., York, R., Jacobsen, B., Gennaro, S., & Brooten, D. (1989). Very low birth-weight infants: Parental visiting and telephoning during initial infant hospitalization. Nursing research, 38(4), 233-235. 

  6. Carter, J. D., Mulder, R. T., Bartram, A. F., & Darlow, B. A. (2005).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rental response.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Fetal and Neonatal Edition, 90(2), F109-F113. 

  7. Chatzaki, M., Klimathianaki, M., Anastasaki, M., Chatzakis, G., Apostolakou, E., & Georgopoulos, D. (2012). Defining the needs of ICU patient families in a suburban/rural Greek populat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1(13-14), 1831-1839. http://dx.doi.org/10.1111/j.1365-2702.2011.04022.x 

  8. Fisher, M. D. (1994). Identified needs of parents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nurse, 14(3), 82-90. 

  9. Gu, B. N. (2002). A study on the maternal role confidence and nursing educational needs of premature infant mothers. The Research Institute of Kyungpook Nursing Science, 6(1), 39-56. 

  10. Holditch-Davis, D., Blackburn, S. T., & Vandenberg, K. (2003). Newborn and infant neurobehavioral development. Comprehensive Neonatal Nursing: A Physiologic Perspective (3rd ed.). St Louis, MO: Saunders. 

  11. Hopper, A. (2000). Sources of stress for parents of a sick neonate: A literature review. Pediatric Nursing, 12(4), 29-32. 

  12. Hwang, H. N., & Kim, G. B. (2000). The lived experiences of inpatients'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12(2), 175-182. 

  13. Kim, E. S., Park, J. S., & Park, J. J. (2002). A relation study on burde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 status of the family caregiver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2(5), 654-663. 

  14. Kirschbaum, M. S. (1990). Needs of parents of critically ill children.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9(6), 344-353. 

  15. Kosco, M., & Warren, N. A. (2000). Critical care nurses' perceptions of family needs as met.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23(2), 60-72. 

  16. Lee, J. W., & Lim, S. Y. (2014). Burden and needs of the family members of the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2), 421-429. http://dx.doi.org/10.5392/JKCA.2014.14.02.421 

  17. Lee, M. J., Suh, H. S., Hong, Y. H., Kim, S. Y., Yoo, E. J., Park, S. J. (2003). The educational needs and perception of the mothers of high risk infant and normal neonat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9(1), 18-27. 

  18. Leske, J. S. (1986)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follow-up. Heart & Lung, 15(2), 189-193. 

  19. Molter, N. C. (1979). Needs of relativ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 descriptive study. Heart & lung: the Journal of Critical Care, 8(2), 332-339. 

  20. Mundy, C. A. (2010). Assessment of Family Need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9(2), 156-163. http://dx.doi.org/ 10.4037/ajcc2010130 

  21. Oh, G. S., Lim, J. Y., Cho, I. S., & Ham, O. K. (2010). A comparison of parent stress sick newborn in NICU.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17(1), 12-20. 

  22. Oh, J. H. (1996). Stressors perceived by parents of the critically ill newborn. Nursing Science, 8(2), 169-181. 

  23. Park, J. Y., & Bang, K. S. (2013). Knowledge and needs of premature infant development and rearing for mothers with premature infa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ournal, 16(1), 17-26. 

  24. Park, K. M., Kwon, S. J., & Kwon, Y. S. (2002). Comparison of satisfaction for the ICU patient's family members who were provided with active informations and routine informations. Keimyung Nursing Science, 6(1), 23-32. 

  25. Shin, H. J. (2004). Situational meaning and maternal self-esteem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1), 93-101. 

  26. Son, B. I., & Jung, M. S. (2013).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y's effects on family adaptation - elederly family care services targets on -.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9), 193-203.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9.193 

  27. Statistics Korea. (2013). Birth Statistics 2012. Retrieved July 30, 2014, from http://kosis.kr/ 

  28. Tak, G. J. (2010). Empirical studies of prematurity care 1: Education needs of mothers for childcare after discharge of high-risk newborn infants.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Symposium, 133-155. 

  29. Ward, K. (2001). Perceived needs of parents of critically ill infant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Pediatric Nursing, 27(3), 281-286. 

  30. Yang, S. (2008). A mixed methods study on the needs of Korean families in the intensive care unit.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5(4), 79-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