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미숙아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지식 및 수행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Developmentally Supportive Positioning for Premature Infants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24 no.2, 2018년, pp.229 - 240  

김민정 (충남대학교병원) ,  김태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developmentally supportive positioning for premature infants (DSPP) among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31 nurses working in the NICU at five university hospita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지식 및 수행 현황을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미숙아 체위지지 간호 현황에 대한 경험적 근거 제시 및 미숙아 체위 지지 간호 교육 프로그램과 실무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전 ․ 청주 지역 소재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시행되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조사가 갖는 대상자의 응답편향이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24] 본 연구 결과를 확대 해석하는 데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지식과 수행 및 이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그러나 실제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 들이 체위지지 간호에 대해 얼마나 알고, 이를 수행하고 있는지에 대한 경험적 근거는 충분치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미숙아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정도를 파악하여 간호사 대상 체위지지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지식 및 수행 정도를 확인하여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체위지지 간호 교육 프로그램 개발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신생아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수행을 파악함으로써 경험적 근거를 축적하고, 미숙아의 체위지지 간호에 대한 간호사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말기 태아는 어떤 자세를 취하는가? 임신말기 태아는 자궁 내 공간에서 급격하게 성장함에 따라 가장 이상적인 자세인 머리와 목, 등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중앙 신체선열과 굴곡체위를 유지하게 된다. 태아의 근 긴장도는 재태기간 36주경에 생리적 굴곡자세를 취하면서 발달한다.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 발생한 다양한 스트레스 자극이 미숙아에게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미숙아는 출생과 더불어 신생아집중치료실에 입원하여 생존을 위한 다양한 치료를 받게 되는데, 신생아집중치료실 환경은 자궁 내 환경과는 매우 다른 환경으로 생리적으로 미성숙한 미숙아는 이곳에서 다양한 스트레스 자극에 노출되게 된다. 이러한 스트레스 자극은 발달이 진행 중인 미숙아의 뇌 구조와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신경운동장애, 발달지연 등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이에 신생아집중 치료실 환경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하고 미숙아가 건강 하게 성장발달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발달지지 간호가 대두 되었다[5,6].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발달지지 간호는 무엇인가?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발달지지 간호는 미숙아의 생리적 안정과 최적의 성장 및 발달을 지지하고, 운동신경 발달장애 및 합병증을 최소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사정을 바탕으로 환경관리, 감각 자극, 상호작용, 가족 및 의료진의 협력 등과 같은 임상실무를 미숙아의 개별적인 특성에 맞추어 간호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소음과 빛의 감소, 냄새와 맛과 같은 추가적 감각자극 제공, 체위지지, 미숙아의 신호에 근거한 간호 제공, 피부접촉 및 통증과 스트레스를 최소화하기 위한 중재 등이 포함된다[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Final results of birth statistics in 2016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7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2/3/index.-board?bmoderead&bSeq&aSeq362574&pageNo2&row-Num10&navCount10&currPg&sTargettitle&sTxt0. 

  2. Montirosso R, Tronick E, Borgatti R. Promoting neuroprotective car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nd preterm infant development: Insights from the neonatal adequate care for quality of life study.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2017;11(1):9-15. https://doi.org/10.1111/cdep.12208 

  3. Pineda RG, Tjoeng TH, Vavasseur C, Kidokoro H, Neil JJ, Inder T. Patterns of altered neurobehavior in preterm infants with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The Journal of Pediatrics. 2013;162(3):470-476. https://doi.org/10.1016/j.jpeds.2012.08.011 

  4. Blackburn S. Environmental impact of the NICU on developmental outcomes. Journal of Pediatric Nursing. 1998;13(5):279-289. https://doi.org/10.1016/s0882-5963(98)80013-4 

  5. Altimier L, Kenner C, Damus K. The wee care neuroprotective NICU program (Wee Care): The effect of a comprehensive developmental care training program on seven neuroprotective core measures for family-centered developmental care of premature neonate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5;15(1):6-16. https://doi.org/10.1053/j.nainr.2015.01.006 

  6. Valizadeh L, Asadollahi M, Gharebaghi MM, Gholami F. The Congruence of nurses' performance with developmental care standard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Caring Sciences. 2013;2(1):61-71. https://doi.org/10.5681/jcs.2013.008 

  7. Waitzman KA. The importance of positioning the near-term infant for sleep, play, and development.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07;7(2):76-81. https://doi.org/10.1053/j.nainr.2007.05.004 

  8. Spilker A, Hill C, Rosenblum R. The effectiveness of a standardised positioning tool and bedside education on the developmental positioning proficiency of NICU nurse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16;35:10-15. https://doi.org/10.1016/j.iccn.2016.01.004 

  9. The Northern Neonatal Network. Guideline for family centered developmental care [Internet]. Sunderland: The Northern Neonatal Network; 2014 [cited 2017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s://nornet.org.uk/wp-content/uploads/2017/11/Developmental-Care-Guideline-V1.2-Final.pdf. 

  10. Network Lead Nurse. Wales neonatal network guidelines: Supportive positioning guidelines [Internet]. Wales: Wales Neonatal Network; 2017 [cited 2017 December 10]. Available from: http://www.walesneonatalnetwork.wales.nhs.uk/sitesplus/documents/1034/Supportive%20Positioning%20Guideline.pdf. 

  11. Coughlin M, Lohman MB, Gibbins S. Reliability and effectiveness of an infant positioning assessment tool to standardize developmentally supportive positioning practice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0;10(2):104-106. https://doi.org/10.1053/j.nainr.2010.03.003 

  12. Hunter J. Therapeutic positioning: Neuromotor, physiologic, and sleep implications. In: Kenner C, McGrath JM, editors. Developmental care of newborns and infants: A guide for health professionals. 2nd ed. Chicago: National Association of Neonatal Nurses; 2010. p. 285-312. 

  13. Sweeney JK, Gutierrez T. Musculoskeletal implications of preterm infant positioning in the NICU.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002;16(1):58-70. 

  14. Vaivre-Douret L, Golse B. Comparative effects of 2 positional supports on neurobehavioral and postural development in preterm neonates. The Journal of Perinatal & Neonatal Nursing. 2007;21(4): 323-330. https://doi.org/10.1097/01.JPN.0000299790.47161.5c 

  15. Nuysink J, van Haastert IC, Eijsermans MJ, Koopman-Esseboom C, van der Net J, de Vries LS, et al.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idiopathic asymmetry in infants born preterm. Journal of Early Human Development. 2012;88(6):387-392.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1.10.001 

  16. Kim JS, Shin HS. Development of the developmental support competency scale for nurses caring for preterm infa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6;46(6):793-803. https://doi.org/10.4040/jkan.2016.46.6.793 

  17. Zarem C, Crapnell T, Tiltges L, Madlinger L, Reynolds L, Lukas K, et al. Neonatal nurses' and therapists' perceptions of positioning for preterm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eonatal Network. 2013;32(2):110-116. https://doi.org/10.1891/0730-0832.32.2.110 

  18. Mohammed SAR, Bayoumi MH, Mahmoud FS. The effect of developmentally supportive care training program on nurses' performance and behavioral responses of newborn infants. Journal of Education and Practice. 2014;5(6):134-144. 

  19. Mosqueda R, Castilla Y, Perapoch J, Lora D, Lopez-Maestro M, Pallas C. Necessary resources and barriers perceived by professional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NIDCAP. Early Human Development. 2013;89(9):649-653. https://doi.org/10.1016/j.earlhumdev.2013.04.011 

  20. Hasanpour M, Farashi F, Mohammadizadeh M, Abdeyazdan Z. The impact of a neonatal sleep care training program on nurses'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ranian Journal of Nursing and Midwifery Research. 2017;22(3):215-218. https://doi.org/10.4103/1735-9066.208159 

  21. Kelly MM, Dean S. Utilization of the premature birth knowledge scale to assess pediatric provider knowledge of neurodevelopmental outcomes. Journal of Pediatric Health Care. 2017;31(4):476-483. https://doi.org/10.1016/j.pedhc.2016.12.006 

  22. de Bijl-Marcus KA, Brouwer AJ, de Vries LS, van Wezel-Meijler G. The effect of head positioning and head tilting on the incidence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very preterm infants: A systematic review. Neonatology. 2017;111(3):267-279. https://doi.org/10.1159/000449240 

  23. Zhang X, Lee SY, Chen J, Liu Hl. Factors influencing implementation of developmental care among NICU nurses in China.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6;25(3):238-253. https://doi.org/10.1177/1054773814547229 

  24. Shepperd J, Malone W, Sweeny K. Exploring causes of the self-serving bias.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2008;2 (2):895-908. https://doi.org/10.1111/j.1751-9004.2008.00078.x 

  25. Blatt SH. To swaddle, or not to swaddle? paleoepidemiology of developmental dysplasia of the hip and the swaddling dilemma among the indigenous populations of North America. American Journal of Human Biology. 2015;27(1):116-128. https://doi.org/10.1002/ajhb.22622 

  26. Takase M, Teraoka S. Development of the holistic nursing competence scale. Nursing & Health Sciences. 2011;13(4):396-403. https://doi.org/10.1111/j.1442-2018.2011.00631.x 

  27. Park YA. Development of job standards for neonatal nurse practitioner in Korea.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3(1):127-141. 

  28. Jeanson E. One-to-one bedside nurse education as a means to improve positioning consistency.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s. 2013;13(1):27-30. https://doi.org/10.1053/j.nainr.2012.12.004 

  29. Perkins E, Ginn L, Fanning JK, Bartlett DJ. Effect of nursing education on positioning of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Physical Therapy. 2004;16(1):2-12. https://doi.org/10.1097/01.pep.0000112916.38869.5e 

  30. Santos AMG, Viera CS, Bertolini GRF, Osaku EF, Costa CRLM, Grebinski ATKG. Physiological and behavioural effects of preterm infant positioning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2017;25(10):647-654. https://doi.org/10.12968/bjom.2017.25.10.6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