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운영 방안 연구 -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Research on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8 no.4, 2014년, pp.173 - 192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고찰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의 현황과 한계점을 분석한 후,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통하여 현장에서 인식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하여 논하였다. 아울러 현재 해외의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사서들과의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우리나라 공공도서관들이 지역문화계와의 네트워킹, 무한창조공간, 건강정보서비스와 이용자개별화 등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re on the rise in Korea.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and limitations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in Busan metro area. This paper also suggests future strategie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such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동시에 현재 문화프로 그램에 대한 주민들의 요구가 매우 높고 정부의 문화정책에 공공도서관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현재의 공공 도서관의 공간과 인력으로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실시하는 것은 어렵다는 반응들이 많았던 것도 사실이다. 오히려 문화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하여 지역 주민들의 방문이 급증함으로써 도서관 시설 공간에 대한 불만 요인이 높아지는 점을 지적 하면서 도서관 내에 이들의 요구를 수용할 수있는 공간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 이러한 상황인식에 근거하여 이 글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방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시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요구를 가늠하며, 해외 사례 등을 참조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트렌드를 점검하고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 과의 면담을 통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이 글에서는 공공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과 향후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방향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진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 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는 사서들과의 면담을 진행하면서 해외의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사례에 대하여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이에 대한 사서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을 논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현재 부산지역 공공도서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을 조사하여 현황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 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는 사서들과의 면담과 해외의 공공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의 사례를 소개한 후, 이에 대한 사서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프로그램 운영의 개선방안을 논하였다.
  • 이러한 상황인식에 근거하여 이 글에서는 부산지역 공공도서관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프로그램들을 분석하여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방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위의 조사를 토대로 시민들의 공공도서관에 대한 요구를 가늠하며, 해외 사례 등을 참조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트렌드를 점검하고 실제 공공도서관에서 문화프로그램 운영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들 과의 면담을 통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프로 그램의 발전 방안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즉, 공공도 서관의 문화복합공간화를 통한 공간적 문제 해결과 지역 내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지역민의 문화요구 대응 등의 전략이 종합적으로 마련되 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해외의 공공도서관들 역시 변화하는 시민들의 요구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는데, 이러한 사례들을 면담에 참여한 사서들에게 제시하고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우리 공공도서관에서도 고려해 보아야 하는 사항들 위주로 정리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도서관협회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의 유형을 어떻게 구분하는가? 한국도서관협회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의 유형을 어학관련 프로그램, 정보화관련 프로 그램, 가족 생활 관련 프로그램, 예술 관련 프로그램, 전통문화 관련 프로그램, 기타의 영역으로 구분하고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 지형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나? 공공도서관 서비스의 지형은 변화하고 있다. 독서를 위한 자료 제공과 이용자 지원 그리고 정보서비스는 여전히 도서관의 본질적 기능임에 틀림없지만, 보다 넓은 범위에서 일상생활 중심의 문화프로그램과 커뮤니티 서비스 등이 공공 도서관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기능으로 자리잡고 있다.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의 목적은? 도서관의 문화프로그램은 지역주민의 오락, 계몽, 교육을 목적으로 하며 내용적으로 예술, 인문학, 과학, 공공정책, 지역사회의 주요 안건 등이 포함된다(Robertson 2005, 3). 또 다른 정의는 포괄적인 관점으로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자료 중심의 서비스와는 달리 도서관의 문화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그램으로 문화 예술 관련 강연 전시 공연이나 독서교실, 독서캠 프, 북스타트운동 등과 같이 독서교육 및 독서문화 진흥 관련 활동과 행사를 포함한다(문화관광부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감미아, 이지연. 2013.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197-215. (Kam, M and Lee, J. 2013.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Offered by Public Libraries and Other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197-215.) 

  2. 곽철완 외.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97-208. (Kwak, C. et al. 2009. "Study of the Model 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97-208.) 

  3. 국립중앙도서관. 2012. 전국 작은도서관 운영 실태조사 및 분석연구. 국립중앙도서관. (National Library of Korea. 2012. National Survey on Small Libraries. NLK.) 

  4. 김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39-360. (Kim, H. 2004. "A Study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 for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5(4): 339-360.) 

  5. 남재우, 박태연. 2014. 공공도서관의 이용자의 건강정보서비스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2): 221-240. (Nam, J. and Park, T. 2014. "A Study on Intention of Accepting for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8(2): 221-240.) 

  6. 노영희. 2014. 도서관 무한창조공간의 개념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31(2): 143-171. (Noh, Y. 2014. "A Study on Establishing Creative Zones and Creative Zone Programm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31(2): 143-171.) 

  7. 노영희, 오상희. 2011. 공공도서관에서 소비자건강정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사서의 인식 조사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2(3): 25-55. (Noh, Y. and Oh, S. 2011. "An Analysis of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roviding CHI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25-55.) 

  8.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14. 제2차 도서관발전종합계획(2014-2018). 세종: 대통령소속 도서관 정보정책위원회. (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14. The Comprehensive Library Development Plan 2014-2018. Sejong: CLIP.) 

  9. 문화체육관광부. 2012. 전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조사. 문화체육관광부.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National Survey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MCST.) 

  10. 박미영. 2007. 공공도서관 특화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독서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315-339. (Park, M. 2007. "The Revitalization of Public Library Reading Through Special Quality Service Program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315-339.) 

  11. 부산광역시 교육청. 2011.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발전방안 연구. 부산광역시 교육청. (Busan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2011. Public Library Strategic Plan in Busan. Busan, BMCOE.) 

  12. 부산광역시. 2014. 부산지역 대표도서관 건립 기본계획 연구. 부산광역시. (Busan Metropolitan City. 2014. Busan Metropolitan Library Master-plan. Busan, Busan Metropolitan City.) 

  13. 심효정, 이용훈. 2003.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153-177. (Shim, H. and Lee, Y. 2003.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 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4(4): 153-177.) 

  14. 양병훈. 2012. 작은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활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289-309. (Yang, B.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Small Libraries: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289-309.) 

  15.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 (Lee, S. 2004. "Strategies for Improving 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3): 23-43.) 

  16.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지역의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 (Chang, W.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3(1): 271-292.) 

  17. 조인숙, 김수희. 2010.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31-42. (Cho, I. and Kim, S. 2010.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2): 31-42.) 

  18.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39(1): 219-244. (Hwang, K., Kim, S. and Park, M. 2008. "A Study on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19-244.) 

  1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11. The Challenge of Providing Consumer Health Information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Washington: DC, AAAS. 

  20. Davis, D. 1974. Public Libraries as Culture and Social Center: The Origin of the Concept. Metuchen, N.J.: Scarecrow Press. 

  21. Williams, Raymond. 1983. Keywords: A Vocabulary of Culture and Societ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밴쿠버 공공도서관. [cited 2014. 11. 5.] 

  23. 시애틀공공도서관. [cited 2014. 11. 5.] 

  24. 시카고공공도서관. [cited 2014. 11. 5.] 

  25. 샌디에고공공도서관. [cited 2014. 11. 5.] 

  26. 버밍엄도서관. [cited 2014. 11. 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