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 분석 및 향후 전망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nalyzing and Prospecting for the Future of the Public Libraries' Cultural Programs in Seoul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5 no.1, 2014년, pp.131 - 152  

이정미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문헌연구를 통해 문화행사를 주제별, 대상이용자별, 운영형식별이라는 세 가지 구분기준을 도출했으며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통계자료를 분석한 결과 각 구분기준별 총 비율과 함께 연도별 변화추세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주제별 구분에서 시민체험교육프로그램과 체육건강교육프로그램, 운영별 구분에서 참여체험형을 이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기획에 주목해야 할 것이라 판단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연구가 확대된다면 향후 공공도서관의 문화행사 기획과 사회속에서의 성장을 도모할 기반이 될 것이라 결론지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for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by literature review and the investigation of the programs in practice in Seoul Metropolitan City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programs were categorized by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subj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통계자료를 토대로 그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으로 세 가지 연구질문을 통해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행사 유형을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중요한 목적이다. 이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질문을 제시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서관을 '사회를 바라보는 눈과 같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도서관은 사회를 바라보는 눈과 같다. 이는 우리 사회에서 도서관이란, 특정 시대 특정 사회의 지식 문화가 집약된 곳이기 때문이기도 하고 도서관을 통해 사회는 더욱 성장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찍이 19세기 성직자인 George Dawson은 “위대한 도서관은 인류의 일기를 수용하고 있다”1)는 말로 도서관은 반드시 사회 속에서 존재해야 함을 표현하기도 했다.
공공도서관이 문화 및 복지 증진이나 소외 계층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균형잡힌 사회복지 확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어떤 통계를 기반으로 한 것인가? 경제가 어려워지면 공공도서관의 사용자수는 늘어난다는 통계치가 있듯이 공공도서관의 역할은 문화 및 복지 증진이나 소외 계층의 서비스 제공을 통해 균형잡힌 사회복지 확립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헌정보학의 이론적 배경을 제시한 학자 세라(Jesse Hauk Shera)는 일찍이 사서직을 역사와 사회가 맺는 관계 속에서 이야기하고 있으며, 도서관학을 ‘사회인식론’과 ‘지식사회학’의 토대 위에 두려고 노력하였다(남태우 2003).
공공도서관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 존재자체가 지역사회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 해도 무방할 것이다. 지식을 제공하는 지역 게이트웨이로서의 역할을 하며 평생교육의 장으로서 최상의 조건을 제공하고, 또한 개인과 사회 단체의 문화적 발전과 독자적인 의사결정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전통적으로 공공도서관의 사회적 의무는 공익을 위해 존재한다는 것이며이 의무는 자연스럽게 교육적인 의무가 부각된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감미아, 이지연. 2013. 공공도서관과 지역사회기관의 문화프로그램 비교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197-215.(Kam, Miah and Jee Yeon Lee. 2013.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al Programs Offered byPublic Libraries and Other Regional Public Service Institutions." Journal of the Korean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4): 197-215.) 

  2. 곽동철. 2005. 공공도서관의 평생교육적 역할에 관한 고찰.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6(2): 69-91.(Kwak, Dong-Chul. 2005.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for the Life-long Education."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6(2): 69-91.) 

  3. 곽철완, 안인자, 김호연, 박미영. 2009.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97-208.(Kwak, Chul-Wan, Inja Ahn, HoYeon Kim, and MiYoung Park. 2009. "A Study of the Modeland Program Manual of Public Library Cultural Program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1): 197-208.) 

  4. 국가평생교육진흥원. [online]. [cited 2013.12.30].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online]. [cited 2013.12.30]. .) 

  5. 김길자. 2007. 대학도서관의 문화행사에 대한 사례연구 - S여대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45-164.(Kim, Kil-Ja. 2007. "A Case Study on the Cultural Services of a University Library: A Caseof the S Women's Univers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41(3): 145-164.) 

  6. 김종성, 엄미진. 2010.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의 유형별 특성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39-56.(Kim, Jong-Sung and Mi-Jin Um. 2010. "A Study on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youngadults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and its solutions for development." Journal of the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1(2): 39-56.) 

  7. 김홍렬. 2004. 지역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 및 교육적 기능 확대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339-360.(Kim, Hong Ryul. 2004. "A Study on the Cultural and Educational Function of Public Librariesfor Regional Development."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Society, 35(4): 339-360.) 

  8. 남태우. 2003. 세라(Shera)의 도서관 인식론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199-230.(Nam, Tae-Woo. 2003. "A Study on the Shera's sociological aspect of librarianship."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0(1): 199-230.) 

  9. 노영희. 2011. 국내 공공도서관의 소비자건강정보 제공현황 조사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2): 415-437.(Noh, Younghee. 2011. "An Analyzing of the Current CHI Services in Korean Public Librarie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5(2): 415-437.) 

  10. 도서관정보정책위원회. 2009. 도서관발전종합계획 2009-2013.(Committee on Library and Information Policy. 2009. "The Comprehensive Library AdvancementPlan (2009-2013).") 

  11. 문화체육관광부. 2008. "도서관 문화프로그램 모형 및 운영매뉴얼에 관한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08. "A Study of the Model and Program Manualof Library Cultural Programs." Seoul: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12. 서울특별시. 서울열린데이터광장. [online]. [cited 2013.11.2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Open Data Source. [online]. [cited 2013.11.21]. .) 

  13. 심효정, 이용훈. 2003. 공공도서관을 활용한 공교육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4(4): 153-177.(Sim, Hyo-Jung and Yong-Hun Lee. 2003. "Collaboration with Public Libraries in FacilitatingArts Education Programs in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34(4): 153-177.) 

  14. 안인자, 곽철완, 김혜주, 박미영. 2009. 국내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자원봉사자 활동 현황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2): 197-208.(Ahn, Inja, Chulwan Kwak, Haejoo Kim, and Miyoung Park. 2009. "An Analysis of Volunteers'in Cultural Program Activities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2): 197-208.) 

  15. 안인자, 박미영. 2011. 공공도서관 다문화프로그램 사례 분석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279-301.(Ahn, In-Ja and Miyoung Park. 2011. "Public Library Multicultural Programs and ImprovementMethods Analyzed from Case Stud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5(3): 279-301.) 

  16. 안인자, 황금숙.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지원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325-344.(Ahn, In-Ja and Gum-Sook Hoang. 2008. "A Study on the Supporting Strategy of CulturalPrograms in Korea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2(3): 325-344.) 

  17. 이경란. 2013. 공공도서관 이용조사를 통한 경영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2): 5-30.(Lee, Kyeong-Ran. 2013. "A Study on Public Library Management Improvement with Use Survey."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4(2): 5-30.) 

  18. 이소연. 2004.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 공공도서관의 문화서비스 활성화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3): 23-43.(Lee, Soyeon. 2004. "Strategies for Improving Cultural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38(3): 23-43.) 

  19. 이용훈, 심효정. 2002. 공공도서관의 효율적인 사회적 역할 수행 방안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3(2): 155-167.(Lee, Yong-Hun and Hyo-Jung Sim. 2002. "A Study on Effective Performance of Social Roleof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13(2): 155-167.) 

  20. 이정미. 2013. 빅데이터의 이해와 정보서비스에의 활용.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4(4): 53-73.(Lee, Jeong-Mee. 2013. "Understanding Big Data and Utilizing its Analysis into Library andInformation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24(4): 53-73.) 

  21. 장우권. 2009. 공공도서관의 지역문화콘텐츠의 관리와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전남 지역의 농어촌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71-292.(Chang, Woo-Kwon. 2009. "A Study on the Management and Practical Use Program of LocalCultural Contents in the Public Libra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43(1): 271-292.) 

  22. 정혜경, 정은주.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377-392.(Chung, Hye-Kyung and Eun-Joo Jung. 2008.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CulturalProgram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25(3): 377-392.) 

  23. 조인숙, 김수희. 2010. 제주지역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실태분석 및 이용자 만족도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31-42.(Cho, In-Sook and Su-Hee Kim. 2010.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Cultural Programsof Public Library in Jeju Area."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1(1): 31-42.) 

  24. 조찬식, 노승희. 2000. 공공도서관 문화행사의 지역간 균형 발전에 관한 연구. 도서관, 55(3): 41-66.(Cho, Chan-Sik and Seung-Hee Noh. 2000. "A Study on regional valanced development ofcultural programs." Library, 55(3): 41-66.) 

  25. 조찬식. 2008a. 서울시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실태 및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2): 171-188.(Cho, Chan-Sik. 2008a. "A Study on the Cultural Programs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2(2): 171-188.) 

  26. 조찬식. 2008b. 공공도서관의 특성화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5(3): 159-178.(Cho, Chan-Sik. 2008b. "A Study on the 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3): 159-178.) 

  27. 최상기. 2009. 대학도서관의 아웃리치서비스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3): 187-207.(Choi, Sang-Ki. 2009. "A Study on the outreach service at academic libraries." Journal of the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0(3): 187-207.) 

  28. 최상기. 2012. 공공도서관 아웃리치서비스 확대방안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1): 311-339.(Choi, Sang-Ki. 2012. "A Study on the Expansion of the Outreach Service at Public Librarie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6(1): 311-339.) 

  29. 최흥식, 서진순. 2009. 전북지역 공공도서관 교육문화프로그램 분석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227-242.(Choi, Hung-Sik and Jin-Soon Suh. 2009. "A Study on the Educational and Cultual Programs ofPublic Librari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Society, 40(4): 227-242.) 

  30. 한국문화정책개발연구원. 1995. "공공도서관의 문화적 기능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서울: 동연구원.(Korean Cultural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1995. "A Study on Methods for Utilizing CulturalFunction of Public Library." Report, Seoul: Korean Cultural Policy Development Institute.) 

  31. 홍희경. 2008. "도서관 특성화의 현황과 발전방안 모색".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Hong, Hee-Kyung. 2008.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and the developmental plans of thespecialization of the public libraries." Thesis. Graduation School of Educational Poly andAdministration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2. 황금숙, 김수경, 박미영. 2008.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현황 분석과 활성화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219-244.(Hoang, Gum-Sook, Soo-Kyoung Kim, and Miyoung Park. 2008. "A Study on Analysis andImprovement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9(1): 219-244.) 

  33. Davis, D. 1974. Public Libraries as Culture and Social Center: The Origin of the Concept. Metuchen, N.J.: Scarecrow Press. p.24. 

  34. UNESCO. 1994. Public Library Manifesto. [online]. [cited 2013.12.30]. .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