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Collaborative Research Trend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0 no.2, 2019년, pp.191 - 214  

이혜경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양기덕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김선욱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디지털정보관리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6개 대학의 교수업적평가기준 중 공동연구기여도 부분과, 2000년부터 2017년까지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195명의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5,383편의 서지데이터와 키워드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내 대학의 교수연구업적평가기준에 따르면 저자는 공동연구에서의 역할과 관계없이 단독연구 보다 낮은 연구업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는다. 둘째. 국내외 논문 게재 추이로 현재 공동연구가 단독연구보다 많은 게재양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사립대학 소속 저자가 국립대학 소속 저자보다 상대적으로 공동연구 비율이 낮았다. 넷째. 교수직급별 공동연구의 비율의 경우, 부교수가 상대적으로 타 교수 직급에 비해 공동연구 비율이 낮았다. 다섯째. 키워드 분석의 결과로, 국내 공동연구와 국내 연구자가 참여하여 국제학술지에 게재된 국외 공동연구 모두 사회 현상을 반영한 주제 및 신기술을 활용한 정보학관련주제가 두각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s of collabor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bibliometric data and keywords of 5,383 Journal papers by 195 Korean LIS professors from 2000 to 2017 as well as the author credit allocation formulas of 26...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선 첫째, 국내에서 공동연구 실적의 인정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 대학과 한국연구재단의 교수연구업적평가기준 중 공동연구업적평가 부분을 자체 분석하였다. 각 대학의공동연구실적의 기여도 부여 방식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단독연구와 공동연구실적의 기여도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며 대학의 운영주체에 따라서도 단독연구와 공동연구의 기여도 부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2017년까지 약 18년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 진행행태를 파악하고, 각 학술논문에 수록된 저자키워드의 연도별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과거부터 최근까지의 공동연구에서의 문헌정보학 분야의 관심 연구 주제 고찰하였으며, 특히, 현재 국내 대학들이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공동연구기여도 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18년간의 국내 문헌정보학 저자들이 게재한 공동연구 학술논문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동연구에 참여한 저자들이 직접 부여한 키워드를 비교 분석해 시각화하여 나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미래의 문헌정보학 분야 내 연구 활로 선택과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학계의 다양한 연구자들의 후속 연구 증진을 위한 기반이 되고자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서지데이터 및 저자키워드 분석을 통하여 국내 문헌정보학분야 연구자들이 지금도 활발하게 연구에 매진하고 있으며, 연구 진행과정에서의 역할과 위치에 관계없이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면으로 학계를 발전시키고 이를 통해 본 학계의 발전가능성이 투영된 결과를 시각화로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타 학문 분야의 동향분석 뿐만 아니라, 학문 분야를 확장하여 다방면의 동향을 조사하고 분야별 학문의 특성 등을 파악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약 18년간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의 동향을 국내 연구업적평가기준 중 공동연구 기여도 부분과 연관하여 분석하고 서지데이터의 추이와 18년간의 학술논문의 저자키워드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국내 문헌정보학 연구자 들이 미래에 다양하고 심도 깊은 연구진행을 도모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의 그 목적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동향과 공동연구의 기여도 및 행태에 관한 연구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계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선 국내 대학에서의 공동연구인정 현황을 파악한 다음 수집한 저자들의 학술논문 데이터를 활용한 동향분석을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우선 첫째, 국내에서 공동연구 실적의 인정 현황을 파악하고자 국내 대학과 한국연구재단의 교수연구업적평가기준 중 공동연구업적평가 부분을 자체 분석하였다. 각 대학의공동연구실적의 기여도 부여 방식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그에 따른 단독연구와 공동연구실적의 기여도 차이를 비교 및 분석하며 대학의 운영주체에 따라서도 단독연구와 공동연구의 기여도 부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2017년까지 약 18년간 국내 문헌정보학 분야의 공동연구 진행행태를 파악하고, 각 학술논문에 수록된 저자키워드의 연도별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과거부터 최근까지의 공동연구에서의 문헌정보학 분야의 관심 연구 주제 고찰하였으며, 특히, 현재 국내 대학들이 실제로 적용하고 있는 공동연구기여도 기준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18년간의 국내 문헌정보학 저자들이 게재한 공동연구 학술논문의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공동연구에 참여한 저자들이 직접 부여한 키워드를 비교 분석해 시각화하여 나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며, 궁극적으로 미래의 문헌정보학 분야 내 연구 활로 선택과 발전 방향의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학계의 다양한 연구자들의 후속 연구 증진을 위한 기반이 되고자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동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학계의 연구분야와 범위를 확장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7년까지 약 18년간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중심으로 서지데이터 자체 분석과 저자키워드 분석을 시행하여 학계의 동향을 고찰하였다.
  • 국내의 각 대학에 소속된 연구자들은 연구실적 평가를 위하여 소속 대학의 연구업적평가기준에 따라 일정기간마다 그 실적을 정량적으로 평가 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된 종합대학들의 연구업적평가기준과 대외적으로 연구자들의 연구업적을 평가하기 위해 제정된 한국연구재단의 연구업적평가기준을 수집 총 27개의 연구업적평가 기준 중 공동연구인정 방법 부분을 수집하여 고찰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약 18년간 문헌정보학 분야의 전반적인 공동연구주제와 비교하여 최근의 공동연구 동향은 어떠한지 파악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최근 5년간의 공동연구에서 제시한 저자키워드를 분석하였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내외 공동연구 상위 10순위 저자키워드를 나타낸 <그림 13>에 따르면 국내의 경우, 18년간의 관심 주제인공공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의 상위 주제는 변함이 없으나, 네트워크 분석, 사서교사, 계량서지학 등의 신규 키워드가 등장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한편 은 대학 운영주체별 공동연구 게재 논문양을 나타낸 그래프로 앞서 대학연구업적평가기준 내 기여도 분석에서 사립대학 공동연구 업적양이 국립대학보다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는 추측과 관련한 결과를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도서관과 관련한 다 측면적 연구 및 국가사업과 사회 현상을 반영한 연구주제를 주로 쓰는 곳은 어디인가? 다섯째, 키워드 분석의 결과로 국내 단독연구의 경우 공공도서관 중심의 집약적 클러스터와 서지학의 대두, 국내 공동연구의 경우 공공도서관과 관련한 다 측면적 연구 및 국가사업과 사회 현상을 반영한 연구주제, 국외 단독연구의 경우 도서관 중심의 특히 대학도서관과 관련한 연구, 국외 공동연구의 경우 빅 데이터와 기계 학습 등의 신기술을 접목한 정보학 관련한연구주제가 두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연구의 관계와 종류는 무엇이 있는가? 한편 공동연구의 전반적인 행태와 영향력과 가치 및 기여도에 관련한 연구도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Subramanyam(1982)은 공동연구의 관계와 종류 등을 파악하고 정의하였으며, 이에 따른 공동연구의 중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공동연구는 주로 연구자와 학생, 연구자와 연구자, 연구자와 기관, 기관과 기관, 국가와 국가 등의 다양한 종류로 나타나며, 이에 따른 주저자와 공동저자(co-author) 또는 보조저자(sub-author)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공동연구가 연구자들의 연구 생산성을 상승시키고, 다방면으로 영향 요인으로 발생하며, 다양한 수준과 종류의 공동연구에 따른 영향력의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나타냈다.
공동연구는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학문분야의 진보와 파생은 많은 연구자들의 새로운 발견과 고찰을 위한 협업을 마련하는 계기가 되었다. 예전부터 공동연구는 독자적인 연구 활동과는 상이하게 2인 이상이라는 특징이 존재하므로, 연구자 간의 교류와 상호작용 및 독려가 기반 되는 활동으로서 협업 자체가 지닌 장점을 고스란히 공동연구의 “장점”으로 인식되고 있다(Katz and Martin,1997). 그러나 급속한 현대의 발전일지라도 연구자 협업간의 물리적인거리를 축약함에는 무리가 있기에 그에 따른 취약점도 존재한다(Cramton, 2001; Hinds and Bailey, 200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정보관리학회지 김판준 32 3 69 http://dx.doi.org/10.3743/KOSIM.2015.32.3.069 

  2. 정보관리학회지 박자현 30 1 7 http://dx.doi.org/10.3743/KOSIM.2013.30.1.007 

  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박지홍 48 1 191 10.16981/kliss.48.1.201703.191 

  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서은경 26 3 315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5.26.3.315 

  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손정표 34 3 9 

  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송정숙 41 4 333 10.16981/kliss.41.4.201012.333 

  7. 정보관리학회지 오세훈 22 3 379 

  8.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이용재 48 4 25 http://dx.doi.org/10.4275/KSLIS.2014.48.4.025 

  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이헤경 48 2 295 10.16981/kliss.48.2.201706.295 

  10.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정진식 35 3 58 

  11.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최은주 11 1 55 

  12. 정보관리학회지 최형욱 35 2 89 http://dx.doi.org/10.3743/KOSIM.2018.35.2.089 

  13. Organization Science Cramton, Catherine Durnell 12 3 346 10.1287/orsc.12.3.346.10098 

  14.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of Technology Drott, M. C. 46 4 299 10.1002/(SICI)1097-4571(199505)46:4<299::AID-ASI6>3.0.CO;2-0 

  15. Organization Science Hinds, Pamela 14 6 615 10.1287/orsc.14.6.615.24872 

  16. Social Studies of Science Jonathon N. Cummings 35 5 703 10.1177/0306312705055535 

  17. Scientometrics Kats J. S 40 3 541 

  18. Research Policy Kats J. S 26 1 1 

  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Kim, Eungi 48 2 429 10.16981/kliss.48.2.201706.429 

  20. 정보관리학회지 이재윤 31 2 57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2.057 

  21.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이종욱 49 3 273 http://dx.doi.org/10.4275/KSLIS.2015.49.3.273 

  22.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Lisee C. 59 11 1776 10.1002/asi.20888 

  23. Journal of Informetrics Massimo Franceschet 4 4 540 10.1016/j.joi.2010.06.003 

  24. Scientometrics Melin G. 36 3 363 10.1007/BF02129600 

  25. Social Studies of Science Sooho Lee 35 5 673 

  26.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Subramanyam K. 6 1 33 10.1177/0165551583006001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