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APM Phantom을 이용한 CT 영상 평가 시 자동화된 정량적 분석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zed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in CT Images Evaluation using AAPM Phanto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전자공학회논문지, v.51 no.12, 2014년, pp.163 - 173  

노성순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엄효식 (서울아산병원 영상의학과) ,  김호철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방사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T 표준팬텀을 이용한 대조도 분해능 평가와 공간 분해능 영상 평가 시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화된 정량적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Nuclear Associates사(社) AAPM CT Performance Phantom(Model 76-410)을 사용하여 120kVp와 250mAs, 10mm collimation과 25cm 이상의 SFOV(scan field of view), 25cm의 DFOV(display field of view)의 촬영조건으로, standard reconstruction algorithm을 이용하여 촬영한 24개의 적합 팬텀 영상과 20개의 부적합 팬텀 영상을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대조도 분해능과 공간 분해능 영상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Mathwork사(社) Matlab(Ver. 7.6. (R2008a)) software를 이용하여 자체 개발한 평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체 개발한 자동화된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한 결과, 정성적 평가 항목을 객관적 수치로 평가할 수 있었다. 첫째, 대조도 분해능의 경우 이심률 지수(eccentricity index, EI)가 0.50, 0.51, 0.52, 0.53 일 때 정성적으로 평가한 결과와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가 일치했다. 둘째, 대조도 분해능에서 대조도 대 잡음비(contrast to noise ratio, CNR)이 -0.0018~-0.0010인 경우에 정성적으로 평가한 결과와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가 일치했다. 셋째, 공간 분해능의 경우 영상 분할 기법을 통해 구멍의 외곽선 윤곽을 자동으로 분할 추출한 결과, 정성적으로 평가한 결과와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가 일치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evaluating the spatial resolution images and evaluation of low contrast resolution using CT standard phantom, and might present a automated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minimizing errors by subjective judgment of the evaluator be, and try to evaluate the usefulness. 120kVp and 250mAs, 10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Ki Hong Kim 등[13]의 연구에서와 같이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검사 중 하나인 CT 대조도 분해능 팬텀 영상과 공간 분해능 팬텀 영상을 대상으로 평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특수의료장비 품질관리검사 항목 중에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omputed tomography system, CT) 표준팬텀을 이용한 대조도 분해능 평가와 공간 분해능 영상 평가 시 평가자의 주관적 판단에 의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자동화된 정량적 평가 방법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AAPM CT Performance Phantom은 어디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가? 이는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에 의 거한 CT 팬텀영상검사의 표준팬텀으로 사용되고 있으 며, 정도관리검사에서도 필요한 팬텀이다. 직경이 21.
팬텀영상평가를 통한 장비 성능 평가는 어떻게 나뉘는가? 일반적으로 팬텀영상평가를 통한 장비 성능 평가는 크게 정성적인 평가와 정량적인 평가로 나뉠 수 있다. 그 중에서 정성적인 평가 즉, 육안 평가로 시행되는 대 표적인 방법이 대조도 분해능과 공간 분해능이다.
AAPM CT Performance Phantom은 어떠한 구성을 가지는가? 직경이 21.6cm인 아크릴 재질의 원통형이며, CT number calibration 블록, 슬라이스 두께측정 블록, 공간 분해능 측정용 블록, 대조도 분해능 측정용 블록, 그리고 beam alignment 및 노이즈 측정용 블록 5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추성실, "방사선의 의학적 이용에 따른 방사선 안전관리 현황", 대한방사선방어의학회지, Vol. 15, no. 1, pp. 39-46, 1990. 

  2. You Hyun Kim et al, "Patient exposure doses from medical x-ray examinations in Korea",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Vol. 28, no. 3, pp. 241-248, 2005. 

  3. Kyung Rae Dong et al, "Actual Condition of Quality Control of X-ray Imaging System in Primary Care Institution: focused on Gwangju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Vol. 35, no. 1, pp. 34-41, 2010. 

  4. 보건복지부, "특수의료장비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보건복지부령 제146호, 2012. 

  5. Fluke Biomedical, "Nuclear Associates 76-410-4130 and 76-411 Users Manual", 2005. 

  6. 한국의료영상품질관리원, "CT 팬텀영상검사 안내서", 2012. 

  7. H. C. Kim et al, "Development of automatized new indices for radiological assessment of chest-wall deformity and its quantitative evaluation",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Computing, Vol. 46, pp. 815-823, 2008. 

  8. Ho Chul Kim et al, "Fully automatic initialization method for quantitative assessment of chest-wall deformity in funnel chest patients", Medical and Biological Engineering Computing, Vol. 48, pp. 589-595, 2010. 

  9. P Doyle et al, "Application of contrast-to-noise ratio in optimizing beam quality for digital chest radiography: comparison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and theoretical simulations",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1, pp. 2953-2970, 2006. 

  10. Hye Jung Park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and objective parameters in CT phantom image evaluation", Korean J Radiol, Vol. 10, no. 5, pp. 490-495, 2009. 

  11. 최원찬, "서울에서 사용 중인 전산화단층촬영장치의 실태 및 AAPM CT Phantom을 이용한 영상평가",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9. 

  12. Barrett FF et al, "Artifact in CT: recognition and avoidance", Radiographics, Vol. 24, no. 6, pp. 1679-1691, 2004. 

  13. Ki Hong Kim et 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utomatic Program for Quality Control in Computed Tomography", Journal 01 Korean Society 01 Computed Tomographic Technology, Vol. 8, no. 1, pp. 53-62, 2006. 

  14. Sung Hyun Kim et al,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Image Quality Using Fuzzy Integral: Phantom Study",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ol. 19, no. 4, pp. 201-208, 2008. 

  15. Alexander L. C. Kwan et al, "Automatic quantitative low contrast analysis of digital chest phantom radiographs", Medical Physics, Vol. 30, no. 3, pp. 312-320, 2003. 

  16. Xiujiang J. Rong et al, "Comparison of an amorphous silicon/cesium iodide flat-panel digital chest radiography system with screen/film and computed radiography systems - A contrast-detail phantom study", Medical Physics, Vol. 28, no. 11, pp. 2328-2335, 2001. 

  17. Chuen-Horng Lin et al, "An Automatic Evaluation System for Contrast-Detail Phantom Images in Digital Radiography", Wiley Periodicals, Inc., Vol. 22, pp. 214-225, 2012. 

  18. Christian von Falck et al, "A Systematic approach towards the objective evaluation of low- contrast performance in MDCT: Combination of a full-reference image fidelity metric and a software phantom",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81, pp. 3166-3171, 2012. 

  19. M Alvarez et al, "Application of wavelets to the evaluation of phantom images for mammography quality control", Physics In Medicine And Biology, Vol. 57, pp. 7177-7190, 2012. 

  20. Geoffrey Dougherty, "Computerized evaluation of mammographic image quality using phantom images", Computerized Medical Imaging and Graphics, Vol. 22, pp. 365-373, 1998. 

  21. Kenneth W. Brooks et al, "Automated analysis of the American College of Radiology mammographic accreditation phantom images", Medical Physics, Vol. 24, no. 5, pp. 709-723, 1997. 

  22. Guo Zhimin et al, "Study on scan techniques dedicated for analysis of Computed Tomography (CT) system performance", 18th World Conference on Nondestructive Testing,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