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용식물 추출물의 숙취 해소 효과에 관한 연구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 for hangover relief 원문보기

大韓獸醫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v.54 no.4 = no.157, 2014년, pp.233 - 238  

현창수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  박가령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  오영미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  이영재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  한창훈 (제주대학교 수의과대학 수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medicinal plant extract on relieving hangovers in mice administered alcohol.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Each group was treated with fermented plant extract, non-fermented plant extract, or water 30 min after consuming ethan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동의보감 [21]에 근거한 간의 해독에 관련된 약용작물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이를 알코올과 함께 마우스에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생리학적인 효과를 관찰하고 독성 중간 대사산물인 aldehyde를 정량하여 알코올 섭취 후 나타나는 숙취를 해소할 수 있는 효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숙취 해소에 효능이 있는 약용식물을 동의 보감 [21]에 근거하여 선별한 후 이들의 추출물로 숙취 해소 음료를 개발하여 마우스에 대한 숙취 해소 효능을 관찰하였다. 많은 경우에서 미생물에 의한 발효가 지표 물질들을 활성이 더 높은 물질로 대사시키므로 본 연구에서는 선별한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균주(유산균, 효모, 납두균 함유)로 발효 시켜 발효액과 미발효액의 숙취 해소 효능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체에서 가장 알코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장기가 간인 이유는?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최종적으로 간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인체에서 가장 알코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장기는 간이다 [6]. 간에는 알코올 분해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cytochrome P450(2E1)이 있다 [13].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이 간에서 분해되는 과정은? 간에는 알코올 분해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cytochrome P450(2E1)이 있다 [13]. 간에 도달한 알코올은 간세포 내 cytosol의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하여 acetaldehyde와 NADH로 분해가 되고 acetaldehyde는 다시 분해물질인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와 만나 acetic acid와 물로 분해되어 소변이나 땀으로 빠져나가거나 폐에서 호흡과정을 거쳐 탄산가스로 배출된다 [12]. 과음할 경우 alcohol dehydrogenase(ADH)의 작용으로 생성된 NADH가 지방산 대사를 저하해 지방간을 유발하고[7],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해 분해되지 못하고 남은 알코올은 ethanol-inducible cytochrome P450(2E1)에 의해 acetaldehyde로 분해될 뿐 아니라 oxygen radical을 생성하여 지질과 산화물을 만든다 [13, 14].
간에 들어있는 알콜분해 효소는?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은 최종적으로 간에서 분해되기 때문에 인체에서 가장 알코올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장기는 간이다 [6]. 간에는 알코올 분해 효소인 alcohol dehydrogenase (ADH)와 cytochrome P450(2E1)이 있다 [13]. 간에 도달한 알코올은 간세포 내 cytosol의 alcohol dehydrogenase(ADH)에 의하여 acetaldehyde와 NADH로 분해가 되고 acetaldehyde는 다시 분해물질인 acetaldehyde dehydrogenase(ALDH)와 만나 acetic acid와 물로 분해되어 소변이나 땀으로 빠져나가거나 폐에서 호흡과정을 거쳐 탄산가스로 배출된다 [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YT, Bae JS, Kim YH, Lim KS, Huh CS. Effects of fermented milk intake on hepatic antioxidative systems in alcohol treated ra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5, 37, 631-635. 

  2. Albano E. Free radicals and alcohol-induced liver injury. In: Sherman DIN, Preedy V, Watson RR (eds.). Ethanol and Liver: Mechanisms and Management. pp. 153-190, CRC Press, London, 2003. 

  3. Choo MH, Lee JJ, Lee MY. Effect of Pimpinella brachycarpa ethanol extract on chronically ethanol-induced liver damage in rats. J Life Sci 2007, 17, 1406-1413. 

  4. Cho SH, Kim JC, Kim SW. Effect of plant extracts on the activity of alcohol dehydrogenase and the antioxidation in alcohol-treated rat hepatocy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1, 30, 679-683. 

  5. Das SK, Vasudevan DM.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Life Sci 2007, 81, 177-187. 

  6. Forsander OA, Raiha NCR. Metabolites produced in the liver during alcohol oxidation. J Biol Chem1960, 235, 34-36. 

  7. Glueck CJ, Hogg E, Allen C, Gartside PS. Effects of alcohol ingestion on lipid and lipoproteins in normal men: isocaloric metabolic studies. Am J Clin Nutr 1980, 33, 2287-2293. 

  8. Heinecke JW. Free radical modific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mechanisms and biological consequences. Free Radic Biol Med 1987, 3, 65-73. 

  9. Jernigan TL, Ostergaard AL. When alcoholism affects memory functions: MRI of the brain. Alcohol Health Res World 1995, 19, 104-107. 

  10. Ko BS, Jang JS, Hong SM, Kim DW, Sung SR, Park HR, Lee JE, Jeon WK, Park S. Effect of new remedies mainly comprised of Hovenia dulcis Thunb on alcohol degradation and liver protection in Sprague Dawley male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6, 35, 828-834. 

  11. Kim JS. Effect of an alcohol detoxification beverage (ADB) contained Radix puerariae and Bambusae caules in Liquamen Phyllostachyos on the alcohol administered mous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4, 33, 318-323. 

  12. Lieber CS. Alcohol and liver: 1994 update. Gastroenterology 1994, 106, 1085-1105. 

  13. Lieber CS. Ethanol metabolism, cirrhosis and alcoholism. Clin Chim Acta 1997, 257, 59-84. 

  14. Mezey E. Alcoholic liver disease: roles of a7lcohol and malnutrition. Am J Clin Nutr 1980, 33, 2709-2718. 

  15. Morel DW, DiCorleto PE, Chisolm GM. Endothelial and smooth muscle cells alter low density lipoproteins in vitro by free radical oxidation. Arteriosclerosis 1984, 4, 357-364. 

  16. Noh KH, Jang JH, Kim JJ, Shin JH, Kim DK, Song YS. Effect of dandelion juice supplementation on alcohol-induced oxidative stress and hangover in healthy 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09, 38, 683-693. 

  17.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Bae MJ.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2006, 21, 71-75. 

  18. Pemberton PW, Smith A, Warnes TW. Non-invasive monitoring of oxidant stress in alcoholic liver disease. Scand J Gastroenterol 2005, 40, 1102-1108. 

  19. Shin JH, Lee SJ, Choi DJ, Kang MJ, Sung NJ. Antioxidant and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of water extracts from abalone containing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Cook Sci 2008, 24,182-187. 

  20. Song I, Choi IS, Yoon HK, Koo SJ. The effect of Camellia sinensis LINNE on alcohol concentration and hangover in normal healthy students. Korean J Food Cook Sci 2005, 21, 591-598. 

  21. 주의린, 이위, 황극남. 동의보감 산야초 백과사전. pp. 62-88, 행복을만드는세상, 서울,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