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 뿌리로부터 항산화 물질의 분리 및 구조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und from the Lythrum Salicaria L. Roots 원문보기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v.57 no.4, 2014년, pp.359 - 363  

이경희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이대영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이승은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노형준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이정훈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최재훈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박춘근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김승유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  이준수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금숙 (Department of Herbal Crop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DA)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 뿌리는 실온에서 80%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OAc 분획, n-BuOH 분획,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2,2-dipicryl-1-phenylhydrazyl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활성 추적 분획(Activity guided fractionation)에 따라 항산화 활성이 높은 EtOAc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및 octadecyl $SiO_2$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하여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1과 major 화합물 2 및 3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IR, 및 MS 등의 spectrum을 해석하여, Myricetin-3-O-${\beta}$-D-glucopyranoside (1), oleanolic acid (2) 및 betulinic acid (3)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화합물 1은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 한 결과 $25{\mu}g/mL$ 농도에서 $74.47{\pm}1.64%$의 저해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ots of Lythrum salicaria L. were extracted in 80% aqueous MeOH and the concentrated extract was fractionated with EtOAc, n-BuOH, and $H_2O$, successively. The repeated silicagel and octadecyl $SiO_2$ column chromatographies of the EtOAc fractions led to isolation of an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털부처꽃으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을 분리하고 털부처꽃 뿌리가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는 연구 결과(Lee 등, 2009)를 바탕으로 천연자원인 털부처꽃 뿌리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을 분리하여 털부처꽃의 항산화 소재로써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털부처꽃의 이명은? 털부처꽃(Lythrum salicaria L.)은 부처꽃과(Lythraceae)에 속하는 습지 주변에서 높이 자라는 다년초 식물로 이명으로 털두렁 꽃이라고 하며, 그 전초는 천굴채(千屈菜)라고도 불린다(Jung과 Shin, 1990). 털부처꽃의 꽃은 7~8월에 피며 자홍색으로 상부의 엽액에서 3~5개가 윤생하듯 핀다.
털부처꽃의 줄기, 잎, 뿌리의 외형적 특징은? 털부처꽃의 꽃은 7~8월에 피며 자홍색으로 상부의 엽액에서 3~5개가 윤생하듯 핀다. 줄기는 직립하고 사각형으로 가늘며 상부에서 분지하고 잔털이 있다. 잎은 길이가 4~6 cm로 긴 타원상 피침형으로 잎가에 거치가 없다. 뿌리는 근경이 있으며 옆으로 뻗으며 번식한다(Lee, 2006a).
털부처꽃의 뿌리 효능은? 털부처꽃은 구황식품으로 사용된 식물로 전초는 약용으로 사용되고, 털부처꽃의 뿌리는 설사, 만성장염, 치질, 습진, 잇몸 출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Kim 등, 1992; Lee, 2006b). 또한 털부처꽃의 어린잎은 식약처에 식품원재료로 등록되어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rand-Williams W, Cuvelier ME, and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Food Technol 28, 25-30. 

  2. Choi HG, Jiang Y, Park SH, Son AR, Na MK, and Lee SH (2011) Constituents of Flowers of Carthamus tinctorius L.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Kor J Pharmacogn 42, 110-6. 

  3. Choi OJ (1999) In Component and use of medicinal plants. Ilwolbooks, Korea. 

  4. Coban T, Citoglu GS, Sever B, and Iscan M (2003) Antioxidant activities of plants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in Turkey. Pharmaceutical Biology 41, 608-13. 

  5. Heim KE, Tagliaferro AR, and Bobilya DJ (2002) Flavonoid antioxidants: Chemistry, metabolism, and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J Nutr Biochem 13, 572-84. 

  6. Hess SC, Brum RL, Honda NK, Cruz AB, Moretto E, Cruz RB et al. (1995) Antibacterial activity and phytochemical analysis of Vochysia divergens (Vochysiaceae). J Ethnopharmacol 47, 97-100. 

  7. Humadi SS and Istudor V (2009) Lythrum salicaria(purple loosetrife) medicinal use,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its total phenolic compounds. Farmacia 57, 192-200. 

  8. Jie L (1995) Pharmacology of oleanolic acid and ursolic acid. J. Ethnopharmacol 49, 57-68. 

  9. Jung BS and Shin MG (1990) In Hyangyak-Seangyak Great Encyclopedia, Young-Lim Publishing Co., Korea. 

  10. Kim HY, Lim SH, Kwon CJ, Park YH, Lee KJ, Park DS et al. (2011a) Effect of Lythrum salicaria L.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besity in rat fed high fat diet. J Medicinal Crop Sci 19, 319-24. 

  11. Kim SM and Lee SW (1992) The Bibliographical study on the famine relief food of Chosun-dynasty. Journal of the East Asian of Dietary Life 2, 35-55. 

  12. Kim SW, Lee CH, Jung HK, Jo SS, Lee HK, and Park YS (2011b) Effects of oleanolic acid and its derivativ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C3T3-E1 osteoblastic cel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491-500. 

  13. Lee KH, Rhee KH, and Cho CH (2008) Effect of betulinic acid isolated from Ziziphus jujuba Lam on infection of rotavirus in MA-104 cell. Kor J Pharmacogn 39, 118-22. 

  14. Lee SE, Kim GS, Lee JH, Kang YK, Lee ES, Choi JH et al. (2011) Effect of plant part extracts of Lythrum salicaria L. on chronically alcoholadministrated rat. J Medicinal Crop Sci 19, 334-40. 

  15. Lee SE, Park CG, Ahn YS, Son YD, Cha SW, and Seong NS (2009)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Lythrum salicaria. J Medicinal Crop Sci 17, 1-7. 

  16. Lee TB (2006a) In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Korea. 

  17. Lee YN (2006b) In New flora of Korea (1st ed.), Kyo Hak, Korea. 

  18. Shen CJ, Chen CK and Lee SS (2009) Polar constituents from Sageretia thea leaf characterized by HPLC-SPE-NMR assisted approaches. Journal of the Chinese Chemical Society 56, 1002-9. 

  19. Silvia M, Nora M, Maraa LG-R, Eduardo A, Maraa LV, Vactor N et al. (2001) Bioactive oleanolic acid saponin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the roots of Viguiera decurrens. Phytochem 56, 93-7. 

  20. Sohn HY, Ryu HY, Jang YJ, Jang HS, Park YM, and Kim SY (2008)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thrombi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erial part of Saxifraga stolonifer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6, 195-200. 

  21. Tsao R (2010) Chemistry and biochemistry of dietary polyphenols. Nutrients 2, 1231-46. 

  22. Williams RJ, Spencer JP, and Rice-Evans C (2004) Flavonoids: Antioxidants orsignaling molecules? Free Radic Bio Med 36, 838-49. 

  23. Zeynep T, Muberra K, Esra K, Ihsan CK, and Husnu CB (2007)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nociceptive activities and composition of Lythrum salicaria L. extracts. J Ethnopharmacol 110, 5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