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담배광고에서 지각한 흡연자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oker Image Perceived Cigarette Advertising on Intention of Adulthood Smoking Among High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4 no.12, 2014년, pp.785 - 795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며,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610명을 대상으로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흡연자 이미지 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단일요인 10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91로 높았다. 둘째,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남자와 흡연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성별과 흡연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인기 흡연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Smoker Image Scale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moker image on adulthood smoking intention of youth. Data were collected from 610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s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Smoker Image Scale were devel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등 직·간접적인 담배광고에 등장하는 흡연자들에 대해 청소년들이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 측정할 수 있는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이 담배광고를 통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담배광고에 나타난 흡연자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한 후, 담배광고에 나타난 흡연자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흡연자 이미지 척도를 개발하고 성인기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사례수의 선정은 고등학생들의 흡연율이 2007년에서 2011년까지 5년간 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흡연율이 높은 이유는? 담배를 일찍 피울수록 건강에 더 큰 피해를 미친다는 선행연구들을 고려해 볼 때[5], 청소년들의 흡연에 대한 접근성을 낮추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흡연율이 높고, 또 조기에 첫 흡연을 시작하는 이유 중 하나로 영화 등 각종 홍보 수단을 동원한 담배광고에 직․간접적으로 조기에 노출된 점을 들 수 있다[6][7]. 청소년들의 잦은 담배광고 노출 경험은 흡연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광고 속에 등장한 흡연자와의 공감대 형성은 흡연자 대한 긍정적인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8].
흡연자에 대한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한 결과는? 또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성인기 흡연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순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흡연자 이미지 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단일요인 10개 문항으로 나타났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91로 높았다. 둘째,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남자와 흡연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는 성별과 흡연 여부를 통제한 상태에서 성인기 흡연의도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담배광고로 인해 형성된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가 청소년들의 성인기 흡연 의도를 증가시키는 위험에 대한 시사점 및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담배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는 편의점의 특징은? 이와 같이 담배광고와 흡연이 매우 관련이 높다는 선행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담배 판매량이 급증한 이유 중에는 담배회사의 적극적인 판촉 및 광고활동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 편의점 계산대에 진열된 담배들의 미려한 외부 디자인과 세련되고 호기심을 자극하는 직접적인 담배광고들은 청소년들의 담배에 대한 거부감을 낮추고 있으며, 영화 등 각종 미디어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의 흡연하는 모습은 매우 매력적으로 제시되고 있어 청소년들이 흡연자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고 있다. 세계 어느 나라도 우리나라처럼 이렇게 형형색색의 세련된 담뱃갑 디자인과 흡연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는 직․간접적인 담배광고가 활성화된 곳이 없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가통계포털,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현재 흡연율, 보건복지부, 2012. 

  2. 국가통계포털, 지방세통계: 담배소비세, 안전행정부, 2012. 

  3. 국가통계포털, 청소년유해환경접촉종합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08. 

  4. M. McGue and W. Lacono, "The association of early adolescent problem behavior with adult psychopathology," American Journal Psychiatry, Vol.162, pp.1118-1124, 2005. 

  5. 이철우, "인지행동적 집단미술치료가 흡연청소년의 흡연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5권, 제3호, pp.41-59, 2009. 

  6. 신성례, 정구철, 이복근, "청소년들의 담배광고 목격경험과 흡연수용도가 성인기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0호, pp.1-22, 2012. 

  7. J. DiFranza, R. Wellman, J. Sargent, M. Weitzman, B. Hipple, and J. Winickkoff, "Tobacco promotion and the initiation of tobacco use: assessing the evidence for causality," Pediatrics, Vol.117, No.6, pp.12-37, 2006. 

  8. 최진명, "영화 속 흡연배우에 대한 감정이입이 청소년의 흡연기능 대리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방송학보, 제23권, 제2호, pp.526-566, 2009. 

  9. R. Hanewinkel, B. Isensee, J. Sargent, and M. Morgenstern, "Cigarette Advertising and Adolescent Smoking,"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Vol.38, No.4, pp.359-366, 2010. 

  10. L. Henriksen, N. Schleicher, E. Feighery, and S. Fortmann, "A Longitudinal Study of Exposure to Retail Cigarette Advertising and Smoking Initiation," Pediatrics, Vol.126, No.2, pp.232-238, 2010. 

  11. 신성례, 신선화, 이복근, 양진희, "담배광고 목격경험과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선호도가 청소년의 현재 흡연과 미래 흡연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5권, 제1호, pp.33-43, 2014. 

  12. C. Lavato, G. Linn, L. Stead, and A. Best, "Impact of tobacco advertising and promotion on increasing adolescent smoking behavior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Vol.3, pp.1-14, 2003. 

  13. M. Wakefield, B. Flay, M. Nichter, and G. Giovino, "Role of the media in influencing trajectoties of youth smoking," Addiction, Vol.98, No.1, pp.79-103, 2003. 

  14. WHO, WHO report on the global tobacco epidemic 2008, WHO, Geneva, 2008. 

  15. 임인숙, "한국의 담배시장 개방과 담배광고.판촉규제법의 역행", 아세아연구, 제144호, pp.289-322, 2011. 

  16. J. Prochaska and C. DiClemente, "Stage and process of self-change of smoking: toward an integration model of chang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51, pp.390-394, 1992. 

  17. 신성례, 이충옥, 정구철, "흡연 청소년을 위한 금연동기화 프로그램의 효과",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제19권, 제2호, pp.130-139, 2013. 

  18. S. K. Lee, J. E. Yun, J. K. Lee, I. S. Kim, and S. H. Jee, "The Korean Prediction Model for Adolescents' Future Smoking Intention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3, No.4, pp.283-291, 2010. 

  19. J. Hair, R. Anderson, R. Tatham, and W. Black, Multivariate data analysis(4th edition), NJ: Ptentice Hall. 

  20. H. Saffer and F. Chaloupka, "The effect of tobacco advertising bans on tobacco consumption,"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19, No.6, pp.1117-1137, 2000. 

  21. E. Blecher, "The impact of tabacco advertising bans on consumption in developing countries," Journal of Health Economics, Vol.27, No.4, pp.930-942, 2008. 

  22. 박동열, "담배광고 규제에 관한 헌법적 고찰: 미국에서의 경고도안(graphic warnings) 부착강제에 제기된 헌법적 의문을 중심으로", 안암법학, 제44권, pp.357-388, 2014. 

  23. 이여진, 이군자, 김영숙, "인구학적, 흡연 및 금연 관련 요인이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4호, pp.303-311,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