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에서 요구하는 필요능력과 보건교육사의 직무 강화 방안
Enhancement for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to prevent chronic diseases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1 no.5, 2014년, pp.135 - 146  

김영복 (대구대학교 건강증진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performed to enhance the competency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on population-based program to prevent chronic disease in public health organizations. In addition, it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enhance specialized competency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Metho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만성질환 예방사업 및 보건교육사의 필요능력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 예방사업의 지침 및 공공조직의 연구보고서를 중심으로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공공부문 보건의료조직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의 중점과제 및 주요 전략을 파악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종합계획인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2020)'의 32개 중점과제의 추진체계를 검토하였고, 지역수준의 추진체계인 ‘2014년도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의 13개 필수 사업의 사업내용 및 전략, ‘2013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의 아동, 노인, 장애인 건강관리 서비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생애전환기 건강진단사업 중 ‘건강생활습관 개선사업’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였고, 보건교육사의 필요능력 및 사회적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보건교육사 직무기술서 및 직무요건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2013 국가직무능력 표준’, ‘보건교육사 직무분석 연구’ 보고서, ‘보건교육사 국가시험과목 타당성 연구’ 보고서, ‘보건교육사 국가자격제도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살펴보았다(Kim, et al.
  •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국가 및 지역사회 수준의 만성질환예방사업에서 요구하는 필요능력을 분석 하여 보건교육 건강증진분야의 전문 인력인 보건교육사의 활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직무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및 지역사회 수준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의 중점과제 및 주요 전략을 파악하고, 만성질환 예방사업 분야에서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필요능력을 분석함으로써 보건교육사의 직무 중 만성질환 예방사업의 전문 인력으로서 책임과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역량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국가 및 지역사회 수준의 만성질환예방사업에서 요구하는 필요능력을 분석 하여 보건교육 건강증진분야의 전문 인력인 보건교육사의 활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직무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가수준 및 지역사회 수준의 만성질환 예방사업의 중점과제 및 주요 전략을 파악하고, 만성질환 예방사업 분야에서 전문 인력에게 요구되는 필요능력을 분석함으로써 보건교육사의 직무 중 만성질환 예방사업의 전문 인력으로서 책임과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역량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2014년부터 수행되는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은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생활실천, 만성질환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를 목적으로 사업을 통합하여 지역사회 특성 및 주민 수요를 고려하여 기획하고 추진하는 사업이다.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지역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건강증진사업을 개발하여 추진함으로써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증진사업 체감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사업 간의 경계를 없애고 지역사회 주민 중심의 사업으로 재편하여 부문 간 협력, 연계를 유도하는 운영전략을 강조하고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의 패러다임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건강증진의 패러다임은 개인의 건강행동, 사회 물리적 환경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관리하여 개인과 집단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가와 지역사회는 공공보건의료조직을 활용하여 금연, 절주, 신체활동증진, 올바른 식습관 형성 등의 건강생활실천을 유도하고, 담배, 술 등의 건강위험요인을 규제하는 건강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며,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및 사후관리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 및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사전 예방적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 요인관리 분야는 무엇을 포함하는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2011)은 총 6개 분과, 32개 중점과제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6개 분과는 건강생활실천,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 요인관리, 감염질환관리, 안전환경보건, 인구집단 건강관리, 사업체계관리 분야로 구분되어 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이 중 만성퇴행성질환과 발병위험 요인관리 분야는 유병률 및 조기사망의 원인 등을 고려하여 예방적 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암, 관절염, 심뇌혈관질환,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비만, 정신보건, 구강보건을 포함하였고,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검진을 중점과제로 포함하였다. 특히 질환중심 사업의 내용은 [Table 1]과 같이 맞춤형 건강생활실천 프로그램 제공, 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 건강검진과 연계한 사후관리 서비스 제공, 평생건강관리체계 구축, 평가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서비스 질 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와 지역사회는 공공보건의료조직을 활용하여 어떠한 환경과 사업을 조성하고 있는가? 건강증진의 패러다임은 개인의 건강행동, 사회 물리적 환경 등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관리하여 개인과 집단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국가와 지역사회는 공공보건의료조직을 활용하여 금연, 절주, 신체활동증진, 올바른 식습관 형성 등의 건강생활실천을 유도하고, 담배, 술 등의 건강위험요인을 규제하는 건강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며, 생애주기별 건강검진 및 사후관리를 통해 질병의 조기 발견 및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사전 예방적 사업을 전개해 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ombard, J. M., Robbins, C. L., Dietz, P. M., Valderrama A. L. (2013). Perconception care: the perfect opportunity for health care providers to advise lifestyle changes for hypertensive women.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7(3), S43-S49. 

  2. Brownie, S., Hills, A. P., Rossiter R. (2014). Public health service options for affordable and accessible noncommunicable disease and related chronic disease preven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Multidisciplinary Healthcare, 7, 543-549. 

  3. Chin, W. Y., Lam C. L., Lo, SV. (2011). Quality of care of nurse-led and allied health personnel-led primary care clinics. Hong Kong Med J, 17(3), 217-230. 

  4. Choi, S. (2013). Analysis of the roles of health educator as the person in charge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at community health c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5. Dempsey, C., Battel-Kirk B., Barry M.M. and the CompHP Project Partners (2011). The CompHP Core Competencies Framework for Health Promotion. IUHPE, Paris. 

  6. Kim, M., Kim, Y., Kim, W., Kim, H., Nam, Y., Park, H.,... Hwang, M. (2009). The job analysis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Research Report. Seoul, Korea: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7. Kim, M., Lee J., Kim, H., Kim, Y., Yoo, S., Yoo, H., Choi, S. (2013). Validity of the Korean National Examination Subject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8. Kim, Y. (2010). The role and professional competencies of health education specialist in private health care setting.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7(2), 37-48. 

  9. Kim, Y., Kim, K., Kim, H., Son, H., Kim, I. (2013). Improvement of the Korean National Certified Health Education Specialist System.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10.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2010). Establishment of the educational course work for health personnel of the local public health center. Osong: KOHI. 

  11. Korea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e for health & welfare. (2014). Introduction on the educational course work for subjects related to health education. Osong: KOHI. 

  12. Lee, W., Kim, Y., Lee, S., Kim, H., Ha, H. (2013).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 of Health management services in Korea. Korea Life Insurance Association & General Insurance Association of Korea. 

  13.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4). 2013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Retrieved from http://www.ncs.go.kr 

  14.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The 3rd Health Plan for Health Promotion (2011-2020). Retrieved from http://www.mw.go.kr 

  1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2012 Guideline of voucher support program for health management service. Retrieved from http://www.mw.go.kr 

  16.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3). 2013 Guideline of autonomous social service investment program in community'. Retrieved from http://www.mw.go.kr 

  17.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2014 The guideline of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service. Registered publication number: 11-1352000-000869-10. 

  18. Ministry of Legislation. (2014). National Health Promotion Act. Retrieved from http://www.law.go.kr 

  19.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2013a). Areas of Responsibilities, Competencies, and Sub-competencies for the Health Education Specialists 2010. Retrieved from http://www.nchec.org 

  20. 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 (2013b). Credentialing excellence in health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nchec.org 

  21. National Health Personnel Licensing Examination Board. (2009). Job description for health education specialist. Seoul, Korea. 

  22. Sohn, A., Burzo, J. (2010). The United States CHES Program:The Role and Development of the Modern Health Educator. Korean Jou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5(5)63-71. 

  23. Valderrama, A. L., Tong, X., Ayala, C., Keenan, N. L. (2010). Prevalence of self-reported hypertension, advice received from health care professional, and actions taken to reduce blood pressure among US adults-healthstyles, 2008. The Journal of Clinical Hypertension, 12(10), 784-79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