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과 주정을 이용한 삼채 뿌리와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 비교
Comparison of Effect of Water and Ethanolic Extract from Roots and Leaves of Allium hooker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3 no.12, 2014년, pp.1808 - 1816  

이관욱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연숙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박표잠 (건국대학교 생명공학과) ,  정재현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채의 뿌리와 잎을 물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삼채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및 ORAC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삼채뿌리 추출물보다는 삼채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이는 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물 추출의 경우가 뿌리와 잎 모두 수율이 높았으며 폴리페놀 함량과 ORAC value와 alkyl 라디칼 소거 활성은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DPPH와 hydroxyl 라디칼 소거 활성과는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간세포를 이용한 세포 독성 평가 실험 수행 결과, 0.25 mg/mL의 농도까지는 삼채의 뿌리와 잎의 물 추출물 및 주정 추출물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RAW264.7 세포를 이용하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인 0.2 mg/mL 이하에서 항염증 활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삼채뿌리 및 삼채잎의 물과 주정 추출물은 모두 NO의 생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뿐만 아니라 삼채 추출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6와 TNF-${\alpha}$의 생성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삼채뿌리 물 추출물은 가장 높은 IL-6와 TNF-${\alpha}$의 생성 억제를 나타내었다. 또한 삼채 추출물이 LPS로 유도한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위의 결과로 삼채잎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삼채뿌리 추출물은 항염증 활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삼채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관련된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 물질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Allium hookeri roots and leaves. Antioxidant activities of Allium hookeri extracts were determined based on variou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using an ESR spectro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삼채뿌리 추출물은 대식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HO-1을 유도하고, p38의 활성을 억제하고 nitrite와 IL-1β의 생성을 억제하여 높은 항염증 효과가 있음이 보고되었다(7,13). 그러나 삼채에 관한 생리활성 규명 및 기능성 제품화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기에 본 연구는 삼채의 뿌리와 잎을 물과 주정으로 추출한 추출물 간의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삼채의 항산화 및 항염증 소재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삼채의 뿌리와 잎을 물과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염증 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삼채의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hydrox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및 FRAP 및 ORAC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는데, 삼채뿌리 추출물보다는 삼채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으며 이는 잎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의 특징은? 생체 대사 과정 중에 끊임없이 발생하는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은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유발하여 노화, 암, 심장질환, 동맥경화, 염증 등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1). 특히 산화적 스트레스는 체내 염증의 진행과정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관련된 ROS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질병의 매개체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항산화 물질중 합성 항산화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물질은 무엇인가? 항산화 물질(antioxidant)은 불포화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억제하고, 생체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되는 각종 활성산소종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을 억제하여 암, 동맥경화증, 염증, 당뇨 및 노화를 예방해주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3). 특히 천연에서 유래한 phytochemical은 합성 항산화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을 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4-6).
항산화 물질이 암, 동맥경화증, 염증, 당뇨 및 노화 예방에 도움을 주는 방법은? 항산화 물질(antioxidant)은 불포화지방산의 자동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지질과산화물을 억제하고, 생체 대사 과정 중에 생성되는 각종 활성산소종에 의한 지질과산화반응을 억제하여 암, 동맥경화증, 염증, 당뇨 및 노화를 예방해주는 생리활성 물질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3). 특히 천연에서 유래한 phytochemical은 합성 항산화제에 비해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을 하고자 하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Fukuzawa K, Takaoshi Y. 1990. Antioxidants. J Act Oxyg Free Rad 1: 55-70. 

  2. Chung EK, Seo EH, Park JH, Shim HR, Kim KH, Lee BR. 2011.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 of extracts from organic soybean. Korean J Org Agric 19: 245-253. 

  3. Leem HH, Kim EO, Seo MJ, Choi SW. 2011.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eugenol and its derivatives from clove (Eugenia caryophyllata Thunb.).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361-1370. 

  4. Grice HC. 1988. Safety evaluation of butylated hydroxyanisole from the perspective of effects on forestomach and oesophageal squamous epithelium. Food Chem Toxicol 26: 717-723. 

  5. Patel VR, Patel PR, Kajal SS.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elected medicinal plants in western region of India. Advan Biol Res 4: 23-26. 

  6. Jin KS, Oh YN, Park JA, Lee JY, Jin SJ, Hyun SK, Hwang HJ, Kwon HJ, Kim BW. 2012. Anti-oxidant, anti-melanogen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40: 371-379. 

  7. Bae GC, Bae DY. 2012.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Allium hookeri cultivated in South Korea. Kor J Herbology 27: 55-61. 

  8. Jung HS, Noh KH, Cho HY, Park JY, Choi CY, Kwon TW, Song YS. 2003. Effect of buchu (Allium tuberosum) on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Life Sci 13: 333-342. 

  9. Kim DS.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beef patty with the addition of juumyit (Allium hookeri) powder. M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0. Lee HJ, Baik JE, Joo NM.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y of bread with Allium hookeri powder. Korean J Food & Nutr 27: 318-329. 

  11. You BR, Kim H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added with Allium hookeri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649-1655. 

  12. Choe YS, Choe TB. 2014. Melanogenesis inhibitory effects of Allium hookeri extract in B16F10 mouse melanoma cell. Kor J Aesthet Cosmetol 12: 163-168. 

  13. Kim CH, Lee MA, Kim TW, Jang JY, Kim HJ. 2012. Antiinflammatory effect of Allium hookeri root methanol extract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645-1648. 

  14.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li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5.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16.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Yang SI, Lee SJ, Jeon BT, Kim SK, Park PJ. 2009.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beta$ -chitooligosaccharides. J Chitin Chitosan 14: 24-28. 

  17.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18. Benzie IF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15-27. 

  19. Ou B, Hampsch-Woodill M, Prior RL.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mprov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using fluorescein as the fluorescent probe. J Agric Food Chem 49: 4619-4626. 

  20.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g JH.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Ligustrum ovalifolium H. leaves on RAW264.7 macrophag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205-1210. 

  21. Kim KH, Kim HJ, Byun MW, Yook HS. 2012.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 from six vegetables containing different sulfur compoun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57-583. 

  22. Kim MJ, Hong CO, Nam MH, Lee KW. 2011. Antioxidant effec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mpkin (Cucurbita moschata Duch.) extract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195-199. 

  23. Cai Y, Luo Q, Sun M, Corke H. 2004.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s of 112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plants associated with anticancer. Life Sci 74: 2157-2184. 

  24. Jung YS, Eun CS, Jung YT, Kim HJ, Yu MH. 2013.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icrasma quassioides (D.DON) BENN leaves extracts. J Life Sci 23: 629-636. 

  25. Yun HY, Dawson VL, Dawson TM. 1996. Neurobiology of nitric oxide. Crit Rev Neurobiol 10: 291-316. 

  26. Lee HN, Lim DY, Lim SS, Kim JD, Yoon JH. 2011. Antiinflammatory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Eupatorium japonicum.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65-71. 

  27. Kwak CS, Lee JH. 2014. In vitro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sprout of evening primrose (Oenothera laciniata) and gooseberry (Actinidia argu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207-215. 

  28. Jeong IY, Jin CH, Park YD, Lee HJ, Choi DS, Byun MW, Kim YJ. 2008.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n ethanol extract of Caesalpina sappan L. in LPS-induced RAW264.7 cells. J Food Sci Nutr 13: 253-2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