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장 대중적인 한국의 전통주 막걸리의 제조과정이 기능성 분획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Saccharomyces cerevisae 균주별, 발효온도별, 발효기간별로 다르게 만든 막걸리로부터 ethanol 침전법을 이용해 crude polysaccharides(CP-M)를 분리하여 peritoneal macrophage 활성화 효과와 세포 배양액 중의 interleukin(IL)-6와 -12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S. cerevisae 89-1-1, 98-2, 268-3, 113-4의 4가지 효모 중 S. cerevisae 113-4로 발효한 CP-M을 peritoneal macrophage에 $10{\mu}g/mL$ 처리했을 때 세포 배양액 중 nitric oxide(NO) 농도 $33.3{\mu}M$로 가장 높았으며, IL-6와 -12의 농도 역시 116.3 pg/mL와 59.8 p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S. cerevisae 113-4를 접종하여 온도별로 발효한 발효물에서 분리한 CP-M 중 $25^{\circ}C$에서 발효 후 얻은 CP-M을 peritoneal macrophage 세포에 처리했을 때, NO 농도가 Control 대비 2.7~3.3배, IL-6 농도는 5.7배까지 증가하였다. 그러나 15, 20, $30^{\circ}C$에서 발효하여 얻은 CP-M의 경우 peritoneal macrophage의 NO와 IL-6 생성량에는 Control(무처리구)과 비교하여 영향이 없었다. 발효기간별 영향을 관찰한 결과 5일째 술덧에서 분리한 CP-M에 의한 NO 생성량이 가장 높아 0일째 MCP에 비해 2.2배 증가하였다. 그러나 급격하게 IL-6와 -12의 농도가 감소한 10일째 MCP를 제외하고는 발효기간에 따른 IL-6와 -12의 유의적인 농도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장 활성이 좋은 발효 조건은 S. cerevisae 113-4를 접종하여 $25^{\circ}C$에서 5일간 발효시킨 술덧의 CP-M이었다. 이때 CP-M의 조성은 neutral sugar 함량 78.6%, acidic polysaccharide 11.6%, 단백질 9.8%였다. 특히 neutral sugar의 구성당 비율은 mannose 47.8 mole%, glucose 29.6 mole%, galactose 12.7 mole%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면역증강 활성이 있는 기능성 조다당 CP-M은 mannose 함량이 높은 yeast 유래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로 추정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microorganisms are involved in the fermentation of Mageoli, Korean traditional liquor. Among them, the most predominant microorganism is yeast, including Saccharomyces cerevisa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separated from Mageoli mash (CP-M) on activa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들어진 각각의 조다당 분획을 peritoneal macrophage에 처리하여 nitric oxide(NO), IL-6, IL-12등 면역력 증강 관련 지표 상승에 영향을 미치는 strain을 선별하고 이렇게 선발된 효모의 발효 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지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면역 활성이 가장 높았던 발효 조건의 술덧에서 분리한 조다당 시료의 구성당을 조사하여 유효 시료의 조성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주 발효에 사용되는 균총 중 생균수 측면에서 가장 우위에 있는 것은? 전통주 발효에는 알코올을 생산하는 효모뿐 아니라 곡물에서 유래한 전분을 포도당과 같은 당류로 분해하여 효모의 알코올 생성을 돕는 곰팡이류, 젖산 생성으로 보존 효과를 가져오는 유산균류 등 다양한 미생물이 균총을 이루며 관여하고 있다. 다양한 균총 중에서도 생균수 측면에서 가장 우위에 있는 것은 Saccharomyces cerevisae 등과 같은 효모로, 시중 막걸리 분석 결과 유산균 대비 가장 적게는 1.2배에서 최고 458.
술의 시초와 발전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 술의 역사는 오래전 선(先) 인류가 식량으로 저장해 둔 과일이나 곡물이 자연적으로 발효되어 얻어진 것을 시작으로 각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맞는 다양한 술로 발전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1). 우리나라 역시 고조선 시대의 유물로 술병, 술잔, 시루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때에도 술을 빚어 마셨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고조선 시대에 술을 빚어 마셨던 것을 짐작할 수 있는 이유는? 술의 역사는 오래전 선(先) 인류가 식량으로 저장해 둔 과일이나 곡물이 자연적으로 발효되어 얻어진 것을 시작으로 각 지역의 기후와 풍토에 맞는 다양한 술로 발전했으리라 추정하고 있다(1). 우리나라 역시 고조선 시대의 유물로 술병, 술잔, 시루 등이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그때에도 술을 빚어 마셨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전통주인 막걸리는 탁주, 농주, 부의주, 동동주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서민을 위한 주류로 전승되어 왔지만 일제 강점기의 정책으로 가양주 제조가 금지되어 주질이 획일화되면서 전통 발효주의 침체가 시작되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won HJ. 2012. Sool; Hot craft vol. 8. Mijinsa Publisher, Seoul, Korea. p 12-17. 

  2. Yum SK. 2011. The history of Makoli industry in Korea. Food Sci Ind 44(4): 18-27. 

  3. Shin MO, Kang DY, Kim MH, Bae SJ. 2008. Effect of growth inhibition and quinone reductase activity stimulation of Makgeoly fractions in various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88-293. 

  4. Yoon SS, Choi JA, Kim KH, Song TS, Park YS. 2012. Populations and potential association of Saccharomyces cerevisae with lactic acid bacteria in naturally fermented Korean rice wine. Food Sci Biotechnol 21: 419-424. 

  5. Jeon MJ, Kim M, Lee DG, Hwang H, Kang MS, Kim BK, Lee SW, Jang HJ, Lee SH. 2012. Analysis and properties of Makgeollies made by isolated yeast strains from traditional Makgeollies. KSBB J 27: 21-27. 

  6. Lee H,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6-62. 

  7. Jung HK, Park CD, Park HH, Lee GD, Lee IS, Hong JH. 2006.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d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8. Lee SS, Kim KS, Eom AH, Sung CK, Hong IP. 2002. Production of Korean traditional rice-wines made from cultures of the single fungal isolate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Korean J Mycol 30: 61-65. 

  9. Kang HR, Lee AR, Kwon YH, Kim JH, Kim HR, Ahn BH. 2012.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the yeast and analysis of qualities of Makgeolli brewed with the yeast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Korean J Mycol 40: 204-209. 

  10. Park CW, Jang SY, Park EJ, Yeo SH, Jeong Y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Makgeolli prepared by mashing typ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07-215. 

  11. Lee DH, Kang HY, Lee YS, Cho CH, Kim SJ, Lee JS. 2011. Effects of yeast and Nuruk on the quality of Korean Yakju.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274-280. 

  12. Lee TJ, Hwang DY, Lee CR, Soh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13. Yang JY, Lee KH. 1996.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tudy of Sansung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79-785 

  14. Ji YJ, Chung HJ. 201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storage time. Korean J Food Culture 27: 383-390. 

  15. Lee SJ, Kim JH, Jung YW, Park S, Shin WC, Park CS, Hong S,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206-212. 

  16. Kim JY, Kim D, Park P, Kang HI, Ryu EK, Kim SM. 2011.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n the biogenic amine content and microflora in Korean turbid rice wine, Makgeolli. Food Chem 128: 87-92. 

  17. Kim BK, Kang MS, Jeon MJ, Lee SH, Kim M. 2013 Effects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city and serum lipid content in rats. J Life Sci 23: 282-289. 

  18. Kwon RH, Chae GY, Ha BJ. 2011. The effects of the Makgeolri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in the endotoxin LPStreated rats. J Fd Hyg Safety 26: 166-170. 

  19. Cho EK, Kim HY, Byeon HJ, Kim SW, Choi YJ. 2010. Nitrite scavenging and alcohol metabolizing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Makgeoly and it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J Life Sci 20: 768-774. 

  20. Kang MG, Kim JH, Ahn BH, Lee JS. 2012. Characterization of new antihypertensiv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s from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J Microbiol Biotechnol 22: 339-342. 

  21. Lee SJ, Shin WC. 2011.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Makgeolli (Korean paradox). Food Sci Ind 44(4): 2-11. 

  22. Nam SH, Rhee YK, Hong HD, Lee YC, Kim YC, Shin KS, Cho CW. 2012.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 from wild ginseng adventitious root. Korean J Food & Nutr 25: 755-761. 

  23. The distribution of liquor. The regulation for liquor analysis. http://taxinfo.nts.go.kr/docs/customer/search/total_search.jsp?body&url&mode&sd_modenone&colltotal&query%C1%D6%B7%F9%BA%D0%BC%AE%B1%D4%C1%A4 (accessed Dec 2010). 

  24.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5.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1995.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NY, USA. p 370-372. 

  26. Bruce WZ, Kenneth CF, Barry HG, Fred SN. 1995. Wine analysis and production. Chapman & Hall, New York, USA. p 447-449. 

  27. Jones TM, Albersheim P. 1972. A gas chromatograph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aldose and uronic acid constituents of plant cell wall polysaccharides. Plant Physol 49: 926-936. 

  28. Roitt I, Brostoff J, Male D. 2002. Immunology. 6th ed. Mosby, Edinburgh, UK. p 148-162. 

  29. Bae SM. 2006. Production for traditional liquor (Yakju.Takju). 2nd ed. Woogok Publisher, Seoul, Korea. p 161-184. 

  30. Lee TJ, Hwang DE, Lee CR, Soh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 45: 391-396. 

  31. Lee MK, Kim YM, Park JS, Na HS. 2012. Nutritional characteristics of pigmented rice. Korean J Food Preserv 19: 235-242. 

  32. Shyama Prasad Rao R, Sai Manohar R, Muralikrishna G. 2007. Functional properties of water-soluble non-starch polysaccharides from rice and ragi: Effect on dough characteristics and baking quality. LWT-Food Sci Technol 40: 1678-1686. 

  33. Giovani G, Rosi I, Bertuccioli M. 2012. Qua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ell wall polysaccharides released by non-saccharomyces yeast strains during alcoholic fermentation. Int J Food Microbiol 160: 113-118. 

  34. Klis FM, Boorsma A, De Groot PW. 2006. Cell wall construction in Saccharomyces cerevisae. Yeast 23: 185-2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