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인 수면장애 환자의 최근 3년간 한방 진료 양태
Oriental Medical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원문보기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v.25 no.4, 2014년, pp.389 - 400  

정선영 (자생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김재영 (자생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고영탁 (자생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안건상 (자생한방병원 한방신경정신과) ,  이차로 (자생한방병원 한방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sleep disorder, no research has been performed on the utilization of oriental medicine as a treatment. Therefore, the oriental medical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sleep disorders was examined herein us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는 최근 3년간 수면장애를 주상병으로 한방 진료를 받은 환자에 대해 상기 자료를 통한 추적조사를 진행하여 수면장애 환자의 한방 진료에 대한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같은 방법으로 수면장애의 양방진료 동향에 대한 추이도 함께 조사하여 한방진료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 상기와 같이 수면장애에 관한 통계 및 임상에 대한 연구는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수면장애의 한방진료 실태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기에, 저자는 심평원의 전산화된 진료 기록을 통해 수면장애 관련 상병 G47 수면장애, F51 비기질성 수면장애를 주상병으로 최근 3년간 한방 치료를 받은 환자들의 진료 양태를 알아보고 양방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 우리나라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모든 보험 대상 환자들의 진료기록을 전산화하여 관리하고 있어 이 기록을 이용하면 수면장애 환자의 규모와 추이 등의 역학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저자는 최근 3년간 수면장애를 주상병으로 한방 진료를 받은 환자에 대해 상기 자료를 통한 추적조사를 진행하여 수면장애 환자의 한방 진료에 대한 동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같은 방법으로 수면장애의 양방진료 동향에 대한 추이도 함께 조사하여 한방진료와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현대사회에서 수면에 장애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은 능동적, 반복적인 행동으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학습, 기억, 인지기능의 유지와 피로회복 등을 하게 된다. 최근 현대사회에서는 학업난, 취업난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직업의 다양성으로 인한 주야근무 형태의 변화 등으로 많은 수면장애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수면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면 인체 생리기능의 많은 장애를 일으키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다.
수면이란? 수면은 하루 중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일로, 외부 주위 환경에 반응하지 않으며 감각과 반사기능이 저하되어 잠을 자는 상태를 말한다. 인간은 능동적, 반복적인 행동으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학습, 기억, 인지기능의 유지와 피로회복 등을 하게 된다.
수면으로 얻는 것은 무엇인가? 수면은 하루 중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일로, 외부 주위 환경에 반응하지 않으며 감각과 반사기능이 저하되어 잠을 자는 상태를 말한다. 인간은 능동적, 반복적인 행동으로 수면을 취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학습, 기억, 인지기능의 유지와 피로회복 등을 하게 된다. 최근 현대사회에서는 학업난, 취업난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 직업의 다양성으로 인한 주야근무 형태의 변화 등으로 많은 수면장애 환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lattar M, Harrington JJ, Mitchell CM, Sloane P. Sleep problems in primary care: a North Carolina Family Practice Research Network (NC-FP-RN) study. J Am Board Fam Med. 2007;20:365-74. 

  2. Curcio G, Ferrara M, De Gennaro L. Sleep loss, learning capacity and academic performance. Sleep Med Rev. 2006;10:323-37. 

  3. Sadeh A, Gruber R, Raviv A. Sleep, neurobehavioral functioning and behavior problems in school-age children. Child Dev. 2002;73:405-17. 

  4. Lautenbacher S, Kundermann B, Krieg JC. Sleep deprivation and pain perception. Sleep Med Rev. 2006;10: 357-69. 

  5. Ohayon MM, Roth T. What are the contributing factors for insomnia in the general populatio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1;51(6):745-55. 

  6. Ancoli-Israel S, Ayalon L.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in older adults.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14(2):95-103. 

  7. Mellman TA, Uhde TW. Electroencephalographic sleep in panic disorder. A focus on sleep related panic attacks. Arch Gen Psychiatry. 1989;46:178-84. 

  8. Fleming ZA, Shapiro CM. Sleep function and insomnia assessment. Kommunicom Publications. 1995:14-32. 

  9. Ohayon MM, Hong SC. Prevalence of insomnia and associated factors in South Korea. J Psychosom Res. 2002; 53:593-600. 

  10. Choi SH, Kim R, Suh KY. A study on the sleep patterns of the general adult population in Seoul.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1992;31:289-309. 

  11. Jeong DH, Sohn CH, et al. Sleep Habits and Insomnia-Associated Factors in Korea Adult Population: A Crosssectional Survey of Three Rural Communitie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1997;4(2):201-12. 

  12. Chilcott LA, Shapiro CM. The socioeconomic impact of insomnia. An overview. Pharmacoeconomics. 1996;10(1): 1-14. 

  13. Stoller MK. Economic effects of insomnia. Clin Ther. 1994;16:873-97. 

  14. Maurice M. Ohayon.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icine Reviews. 2002;6(2):97-111. 

  15. Pigeon WR, Pinquart M, Conner KJ. Meta-analysis of sleep disturbance and suicidal thoughts and behaviors. Clin Psychiatry. 2012;73(9):1160-7. 

  16. Cho EJ. Influencing factors of subjective sleep quality among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3):201-10. 

  17. Jennings JR, Muldoon MF, Hall M, Buysse DJ, Manuck SB. Self-reported sleep quality is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Sleep. 2007;30(2):219-23. 

  18. Mander BA, Cauter EV. Role of sleep duration and quality in the risk and severity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6;166(16):1768-74. 

  19. Jung JH, Ha JW, Kim BK. The Current Status about Sleep Disorder in th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for Evidence Based Medicine.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4):1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