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사회통합범주 음악영재의 내재적 특성 탐색
Exploring the Inherent Trait of Music Giftedness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n Music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6, 2014년, pp.1073 - 1097  

김성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여러 가지 환경적 제약과 요인으로 인해 개인의 재능이 사장되거나 억제될 가능성이 높은 국내 사회통합범주 음악영재의 내재적 특성 탐색으로, 내재적 특성이란 음악영재성을 구성하는 3가지 구인, 음악성, 창의성, 동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2013년 7월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에서 주최한 영재발굴캠프 참가자 10명을 목적표집하였다. 그리고 이들과의 개별면담자료와 이들에 대한 전문가 수업관찰평가 결과를 교차 분석함으로써 사회통합범주 음악영재의 내재적 특성을 현상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사회통합 범주 음악영재들 가운데 음악영재성이 여러 가지 구인들의 상보적 관계에서 개발되는 것을 인지하는 학생들은 대체적으로 이에 적합한 학습전략을 갖고 노력하여 잠재성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체적으로 많은 학생들이 동기 구인에서 잠재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고, 상대적으로 창의성과 음악영재성의 관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해 창의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사회통합범주 음악영재 교육을 위한 제언으로 부모교육, 메타인지 및 창의성 신장, 학습동기와 자존감 같은 내적 영역요인 개선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orking concept of the disadvantaged gifted is meant by those who hardly can have a chance to develop one's own gifts because of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factor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herent trait of the music giftedness, which is composed of musical ability...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목적표집이란? 본 연구는 영재발굴캠프 지원자들 가운데 1차 선발된 사회통합범주 초등학생 3~6학년 19명을 음악적 잠재성을 가진 잠재영재로 간주하고, 그 가운데서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는 목적표집(purposeful sampling)을 실시하였다. 목적표집은 연구자가 관심을 둔 특별한 사례를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연구대상으로 삼는 표집방법이다. 따라서 연구자가 연구하려고 하는 연구문제를 가장 잘 대표하고 있는 사례가 표집으로 선정되고, 대개 연구의 목적에 가장 충실한 예를 담고 있는 사례를 찾아 연구하는 특성이 있다(김영천, 2012).
교육적 차원에서 의미하는 사회통합범주는? 사회통합범주 혹은 사회적 배려대상, 사회취약계층, 소외계층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것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사회통합범주에 대한 개념이나 실제 대상 범위는 시대마다 사회마다 다르다. 교육적 차원에서 의미하는 사회통합범주는 외적인 요인(사회 ․ 경제적, 문화적, 지리적 등)으로 인한 불이익이 축적되어 교육에서 별도의 지원과 혜택을 필요로 하는 대상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통합범주 영재에 대한 지원 필요성을 중시하여 영재교육진흥법 2차 개정안 5조(2005)에 소외계층 영재들을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였고, 제2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08-2012)에서부터 소외계층 영재를 “사회 ․ 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의 학생, 다문화가정의 학생, 지리적으로 영재교육 접근성이 제한된 도서·벽지의 학생, 장애가 있는 학생, 북한이탈주민, 특정 영역에서 수혜가 부진한 학생들로 영재교육의 기회가 상대적으로 제한되어 있는 계층”이라 정의한다.
사회통합범주 영재가 영재판별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아 영재교육프로그램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은 이유는? 사회통합범주 영재는 많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더라고 환경적 여건으로 형성된 인지적, 정의적 특성으로 인해 영재판별과정에서 불이익을 받아 영재교육프로그램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높다(Stambaugh, 2007). 그 이유는 영재에게 잠재된 여러 가지 특성은 외부적인 영향으로 인해 부정적인 양상으로 발전, 때로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또한 영재성은 특성상 적절한 시기에 계발되지 못하면 그 재능이 사장되기 때문에 사회통합범주 영재의 조기 발굴과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교육부, 제3차 영재교육진흥종합계획(2013-2017). http://gifted.kedi.re.kr/images/gifted/policy/report04.pdf (최종검색일: 2014. 11. 29) 

  2. 김성혜(2012). 사회적 배려대상 예술영재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3. 김성혜, 이경진(2014). 사회적 배려대상 음악영재의 환경요인 특징 탐색. 영재교육연구, 24(4), 629-655. 

  4. 김영천(2012).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5. 김은아, 정옥분, 정순화(2007). 아동의 내적 동기 및 자기효능감과 창의성의 관계: 성별과 연령을 중심으로. 교육과학연구, 38(2), 23-47. 

  6. 원영실(2012). 공연예술 영재성 의미에 대한 심리학적 조명.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7. 원영실, 신명희 (2011). 음악(국악)영재성 선별을 위한 부모 및 교사 관찰정보지의 타당화.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8. 이경진(2013). 학습과학 관점에서 본 레오나르도 다빈치 학습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의 함의. 교육과학연구, 44(2), 191-216. 

  9. 이미경, 강병직, 조주연, 홍소영 (2006). 예술영재교육대상자 선발모형 개발연구(I). 서울: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 

  10.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11. 정덕호, 박선옥, 유효현, 박정주(2014).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영재교육연구, 24(4), 561-576. 

  12. Cre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13. Gagne, F. (2003). Transforming gifts into talents: the DMGT as a development theory. In Colangelo, N. & Davis, G. A. (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 (3rd Ed.) (pp. 60-74). Boston, Allyn: Bascon. 

  14. Miles.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5. Reis, S. M. & Callahan, C. M. (1989). My boyfriend, my girlfriend, or me: The dilemma of talented tennaged girls.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7, 434-446. 

  16. Renzulli, J.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17. Renzulli, J. (1999). What is this thing called giftedness, and how do we develop it? a twenty-five year perspective.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3(1), 3-54. 

  18. Stambaugh, T. (2007) Next steps: an impetus for future directions in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for low-income promising learners. In Van Tassel-Baska, J. & Stambaugh, T. (Eds.), Overlooked gems: a national perspective on low-income promising learners (pp. 83-88). Washington D. 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19. Ta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New York: Macmillan. 

  20. Van Manen, M. (1997). Research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2nd Ed.). London, Ontario: University of Ontario Press. 

  21. Von Boxtel, H. W. & Monks, F. J. (1992). General, social and academic self-concepts of gifted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1, 169-186. 

  22. Wallace, B. (2000). Able and talented learners from socio-economically disadvantaged communities. In Stopper, M. J. (Ed.), Meeting the social and emotional needs of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pp. 99-118). London: David Fulton Publication. 

  23. Winner, E. (1996). Gifted children: myths and realities. New 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