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Mothers on Giftednes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4 no.4, 2014년, pp.561 - 576  

정덕호 (전북대학교) ,  박선옥 (전북대학교) ,  유효현 (전북대학교) ,  박정주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자들의 정의가 반영되어 있는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SRBCSS-R)에 비추어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18명과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32명에게서 영재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단어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어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독서, 과학, 제작 등의 단어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들 둔 어머니들은 문제, 문제풀이, 수학 등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었다. 프레임 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창의성,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은 학습,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시켜 인식하고 있다. 즉,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은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에 비추었을 때 일부의 요소만을 영재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하기 요구되며, 과학영재들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mothers of science gifted in respect to giftedness compared to the "Scale for Rating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R(SRBCSS-R)". For that, a survey of 18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gifted and 32 moth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활용한 언어분석은 과학영재의 어머니들이 영재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 직접적으로 접근하여 분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구조적인 특성을 알아보기에는 미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들이 인식하고 있는 영재성에 대해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프레임을 통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 그리고 에서 보는 것과 같이 과학영재들이 고난이도의 수학문제를 집중력을 발휘해서 해결하고, 그러한 노력의 결과로 나타나는 높은 학업성취와 수학경시대회와 같은 학력평가에서 수상하는 경력을 통해 영재성을 설명하려고 하였다.
  • 또한 사용된 단어들의 의미적 연관구조를 계량화(quantification), 도식화(mapping)함으로써 내용분석과 내부의 잠재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남인용·박한우, 2007). 따라서 본 연구목적은 과학영재와 그들 어머니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언어 네트워크 분석법을 통해 살펴보고, 그들 간의 영재성 인식에 대한 양상과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부모에게 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자녀에게 적합한 영재교육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활용하여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인식하고 있는 영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언어네트워크 분석법을 도입함으로써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특성까지 찾아보았다는 것은 그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초 ·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과 학자들이 정의가 반영된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와의 일치성과 범주화 정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영재성에 대해 어떤 인식을 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그들이 영재성을 표현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분석하였다.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는 영재성에 대한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고, 영재성 인식에 대한 설문에서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사용한 단어들 중에서 언어분석에 의미 있는 단어는 174개였다.
  • 14개의 대범주에 해당하는 각각의 특성은 다시 4~15개의 소범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틀을 기반으로 1차 분석프레임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1차 분석프레임을 통해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설문 반응을 시험 적용하였다.
  • 인간들이 가지고 있는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일정한 방법이나 분석틀이 정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접근할 수 있다(임청환, 2008). 이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지적 분석 프레임(cognitive analysis frame)을 개발하였다.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분석 프레임은 크게 3단계의 절차를 통해 수행되었다(정덕호 외,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재성 발달은 어떤 것에 의해 영향을 받는가? 영재성 발달은 유전적인 잠재성, 주위 환경, 자신의 동기 수준, 교육과 훈련의 적절성 등에 의해 영향을 받아 발달되는 것이다(Gagne, 1993). 잠재된 영재성이나 높은 수준의 지적발달은 생애에서 매우 일찍부터 일어난다.
영재교육은 무엇인가? 영재교육은 영재를 대상으로 각 개인의 능력과 소질에 맞는 내용과 방법으로 실시하는 교육을 말한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영재들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계발함으로써 영재성이 발현될 수 있도록 도와주고 그들의 자아실현 욕구를 충족시켜 행복을 추구할 권리를 보장해 주어야 한다(조석희, 1996).
SRBCSS-R에 비추어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영재성에 대한 인식을 확인한 결과는 어떠한가? 이를 위해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18명과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 32명에게서 영재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고, 이를 언어네트워크분석법을 활용하여 단어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단어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독서, 과학, 제작 등의 단어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들 둔 어머니들은 문제, 문제풀이, 수학 등에 영재성을 연결시키고 있었다. 프레임 분석에서는 초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이 창의성,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 반면, 중등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은 학습, 동기 등의 범주에 강하게 연결시켜 인식하고 있다. 즉, 과학영재를 둔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은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에 비추었을 때 일부의 요소만을 영재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어머니들의 영재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하기 요구되며, 과학영재들에 적합한 교육을 위해서 부모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김명숙, 서혜애, 이미순, 전미란, 진석언, 한기순 (2010). 영재교육과 재능계발. 서울: 시그마프레스. 

  2. 남인용, 박한우 (2007). 대권 예비후보자 관련 신문기사의 네트워크 분석과 홍보전략. 한국정당학회보, 6, 79-107. 

  3. 박경빈, 권혁민 (2011). 영재아와 일반아의 독서성향과 진로태도성숙 및 자기주도적학습특성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1(1), 1-17. 

  4. 박선자, 최경희, 이현주 (2009). 교육청 영재 교육원 과학 담당 교사들의 영재성에 대한 인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9(2), 119-137. 

  5. 박성익 (2003). 영재교육학원론. 서울 : 교육과학사. 

  6. 박한우, Leydesdorff, L. (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7. 손동원 (2008). 사회 네트워크 분석. 서울: 경문사. 

  8. 신희선, 김선자, 박종욱 (2010). 과학 관련 특목고에 진학한 과학영재교육원 수료생 부모들의 과학영재교육원에 대한 인식 및 과학교육참여에 대한 분석. 과학영재교육, 2(1), 27-43. 

  9. 심재영, 김언주 (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17(1), 241-255. 

  10. 이경화, 정혜영 (2004). 유아 영재성 확인을 위한 부모용 평정척도의 타당화. 유아교육논총, 13(2), 77-94. 

  11. 이정희 (2005). 과학영재의 정의적 특성 및 영재성 인식에 관한 연구: 과학일지 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2.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10). 최신영재교육학 개론. 서울: 학지사. 

  13. 이재호, 류지영, 진석언 (2011). 미래사회 영재 판별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논문지, 15(2), 307-317. 

  14. 임청환 (2008). 새로운 교육 목표 분류 체계에 의한 7차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과학수학교육연구, 31, 25-42. 

  15. 정덕호, 이준기, 김선은, 박경진 (2013).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한 교육과정 목표와 교과서 학습 목표와의 일치성 분석-2009 개정 교육과정의 지구과학 I 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34(7), 711-726. 

  16. 조석희 (1996). 일반학교에서의 영재교육 방법: 속진과 심화. 영재교육연구, 6(1), 31-51. 

  17. 최순실, 김복순, 한석실 (1995). 자녀의 영재성과 영재교육에 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조사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 209-240. 

  18. 한석실 (2005). 발달에 적합한 유아 영재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5-56. 

  19. Bonacich, P. (1987).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2, 1170-1182. 

  20. Bloom, B. S.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21. Gagne, F. (1993). Definition of giftedness. In Heller, K. A., Monks, F. J, and Passow, A. H.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2. Renzulli, J. S., Smith, L. H., White, A. J, Callahan, C. M., Hartman, R. K., and Westberg, K. L. (2007). 영재아 행동특성 평정척도 [이미순]. 서울: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04). 

  23. Wasserman, S., & Faust, K (1994). Social network analysis : Methods and application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