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형 코하우징 관심자의 거주요구
Dwelling Needs of Residents Interested in Urban Cohousing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25 no.6, 2014년, pp.1 - 10  

박혜선 (연세대학교) ,  하미경 (연세대학교 실내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 of the dwelling needs of residents who are interested in Cohousing. To do this, we interviewed 18 urban residents who wanted a community life; investigated consciousness of neighbor relationships; and analyzed their consciousness of Cohous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코하우징의 의미는 무엇인가? ‘Community’의 ‘공동, 상호, 동등, 집합, 함께’ 등의 의미를, ‘housing’은 단순히 집합주택, 연립주택 등의 주거 형식뿐이 아닌 주거의 계획이나 생활의 방식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참여’와 ‘공생’을 특징으로 하는 집합주거의 총칭으로 부른다(Nakamura, 2011). 본 연구에 사용된 ‘코하우징’의 의미는 ‘독립된 개인주택 외에 공동체가 함께 사용하는 실내외공간이 있으며, 주택 개발 및 유지관리가 거주자 참여로 이루어지는 주거 형태’이다. 유사한 개념으로 콜렉티브하우징, 협동주택, 코퍼레이티브주택, 공유주택, 공동체 주거, 협동조합주택 등 여러 용어가 사용되고 있으나, 2000년 이후 스칸디나비아와 미국사례가 다수 소개되면서 국내에서는 ‘코하우징’이라는 용어를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Park, Lee, & Ryu, 2013).
코하우징(Cohousing)이 등장한 배경은 무엇인가? 최근 도시거주자들은 이러한 획일화되고 공동체가 부재한 주거문화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을공동체 중심으로 개발되기 시작한 코하우징(Cohousing)2)은 공동체를 통한 생활과 공간의 공유로, 현대인의 인간적 소외와 개인주의 생활방식을 극복하고, 질적인 사회적·물리적 환경을 얻을 수 있는 대안적 주거로 그 시사점이 매우 크다.
도시화가 야기한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은 1960-1980년대 경제개발과 함께 도시로 인구와 산업이 집중되면서 급속한 도시화1)과정을 겪었다. 도시화는 근대화와 직결되어 국가적 성장의 기반을 가져왔으나 거주환경의 악화와 전통적 이웃관계 및 가족주의 해체라는 문제를 야기 시켰다. 이 시기의 주택정책은 도시주택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아파트의 대량공급에 치중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주택의 양적확충이라는 성과를 이루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ho, J. H., & Choi, J. S. (2011). A study on residents' particip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Cohousing in USA.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2(2), 11-20. 

  2. Cho, J. H., Hong, S. J., Kwak, Y. M., Kwak, I. S., & Choi, J. S. (2007). A study on intention to live in cohousing according to housing valu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5), 103-111. 

  3. Choi, J. S. (2004). A life-supportive housing alternative for single-parent family -focused on co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1), 129-138 

  4. Choi, J. S. (2007). Preference of common spaces and shared activities in senior cohousing community by Korean 50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1), 131-139. 

  5. Han, J. H. (2005). Cohousing design for dual income families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atholic University, Bucheon. 

  6. Han, M. J., Choi, J. S., & Lee, S. H. (2005). A Study on the Physical Feature of Cohousing Projects in Denmark and Sweden.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6(5), 57-66. 

  7. Han, M. J., & Lee, S. H. (2007). Preference of suburban residents on the suburban residential development applied the concept of co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6), 69-81. 

  8. Kwak, Y. M., Choi, J. S., & Kwak. I. S. (2007). Preference of cohousing according to sense of community in housing lif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8(4), 37-48. 

  9. Lee, O. K., & Kwon, O. J. (2002).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 cohousing preferred by the middle and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Living Environment System, 9(1), 79-91. 

  10. McCarnant, K., & Durrett. C. (2011). Creating Cohousing. Gabriola Island, Canada: New Society Publisher. 

  11. Nakamura, S. (2011). A study on development course through the collective housing example analysis in Japa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kuk University, Seoul. 

  12. Park, H. S. (2014). A study on planning for the urban cohousing in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3. Park, H. S., & Ha, M. K. (2013). The study on the type of Cohousing for community culture activ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43, 41-50. 

  14. Park, K. O., Lee, S. W., & Ryu, H. S. (2013) The characteristics in the planning process of Co-housing; Modification of plans by resident' participation-Case of Co-housing built by a coordination company in seongmisan vill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4(4), 61-73. 

  15. Shin Y. J. (2001). A Study on the Harmony of Privacy and Community in Co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2(1), 45-5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