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영유아 발달 및 부모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rom Low Income Families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0 no.6, 2014년, pp.123 - 141  

김정화 (강동어린이회관) ,  송미령 (한국보육진흥원 드림스타트사업지원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영유아의 발달과 양육자인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저소득 가정의 만 0세부터 만 5세까지의 영유아와 그 부모이며 현재 조기개입 프로그램인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영유아와 참여하지 않는 영유아 그리고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로 영유아의 발달을 측정하기 위하여 K-ASQ 검사를 실시하였고, 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유무에 따라 저소득가정 영유아의 발달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영아가 참여하지 않은 영아보다 대근육 운동, 소근육 운동, 문제해결, 의사소통, 개인-사회성 등에서 발달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기개입 프로그램에 참여한 저소득 가정의 부모가 참여하지 않은 부모보다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이는 저소득 가정의 아동과 부모를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영아의 발달을 촉진하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결과적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은 저소득 가정의 아동 뿐 아니라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함께 개입하고 지원해야 하며, 보다 많은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 및 가족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대상자 발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programs for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ess from low-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0-5 years old children 1,904(Participation 1,501 nonparticipating 403) and 1,904 parents from low-income famili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 하기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영유아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 결과가 영유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것이다. 이를 위해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지원되는 드림스타트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실제 영유아 발달에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지의 연구가 필요하다.
  • 이를 통해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와 부모에게 제공되는 드림스타트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정도의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볼 것이다. 따라서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와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과 부모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자녀양육기술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의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의 발달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방지 하기 위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효과를 영유아의 발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 결과가 영유아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볼 것이다.
  • 12세 이하의 아동을 위한 드림스타트 프로그램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아동의 발달 영역별로 목표를 계획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계획한다. 따라서 아동의 발달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지원 하기 위하여 아동을 영아와 유아 그리고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으로 구분하여 프로그램의 목표와 내용을 정하고 있다. 그리고 아동발달의 영역별 서비스 뿐 아니라 아동을 둘러싼 양육환경을 포함하여 신체/건강, 인지/언어, 정서/행동 분야 및 부모의 양육지원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를 위해 저소득 가정 영유아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지원되는 드림스타트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실제 영유아 발달에 어떠한 도움을 주고 있는지의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이들의 부모에게 지원 되는 양육지원 서비스 또한 부모에게 올바른 양육지식과 방법을 전달하여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자녀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도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차이를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생애주기 중 가정의 경제적 환경과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어린 영유아의 발달에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 이를 통해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와 부모에게 제공되는 드림스타트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어떤 정도의 차이가 있는 지 알아볼 것이다. 따라서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와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따라서 경제적 빈곤이 영유아와 부모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조기개입 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아동의 발달을 증진시키고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통해 저소득층 영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기 위한 지원정책의 방향과 부모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자녀양육기술을 증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저소득 가정의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아동의 전인적 발달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른 차이를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생애주기 중 가정의 경제적 환경과 부모 양육태도의 영향을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는 어린 영유아의 발달에 조기개입 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저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정도가 조기개입 프로그램을 통해 감소하였는지 프로그램 참여 유무에 따라 알아보았다.

가설 설정

  • 가정의 경제적 빈곤은 아동의 인지와 언어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소득 가정은 아동의 학습을 자극하는 물리적 환경 및 정서적 환경 그리고 학업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학습매체와 교육적 환경에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Yeung, Linver, & Brook-Gunn, 2002).
  • 둘째, 조기개입 프로그램 참여유무에 따른 저소득 가정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차이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빈곤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은 어떠한 부정적 측면이 있습니까? 따라서 빈곤의 세습이 차단될 수 있는 사회적인 관심과 정책적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 빈곤가정의 경제적 어려움은 의식주 등 기본적인 욕구의 충족을 위협하게 되어 그 가정 자녀의 정상적인 발달을 어렵게 한다. 또한 빈곤 가정의 부모는 불안정한 생활로 인한 스트레스를 느끼게 된다(조용남, 김정화, 정선영, 송미령, 조유리, 2012). 가정의 경제적 어려움과 그로 인해 발생되는 스트레스는 대부분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부모의 의존도가 높고 가정환경의 영향이 큰 영유아기 아동이 경험하는 경제적 어려움은 다른 발달단계 보다 더 크다.
아동의 인지와 언어의 발달 측면에서 저소득 가정은 어떠한 능력이 부족합니까? 가정의 경제적 빈곤은 아동의 인지와 언어의 발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저소득 가정은 아동의 학습을 자극하는 물리적 환경 및 정서적 환경 그리고 학업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학습매체와 교육적 환경에 투자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Yeung, Linver, & Brook-Gunn, 2002). 교육비의 부족, 학습을 촉진하는 자극의 부족 그리고 부모의 학습지원의 제한은 아동의 인지발달을 저해하게 된다.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이 가족 내에서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합니까? 특히 어린 영유아의 경우 물리적으로나 심리적으로 가족 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으며, 기타 다른 사회적 집단과의 상호작용의 기회가 적기 때문에 가족의 특성은 이러한 영유아기의 사회성 발달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홍순혜, 이숙영, 2009; 장혜림, 2012). 영유아시기부터 부모로부터 필요한 양육이나 보호를 제대로 제공받지 못하게 되면 많은 사회적 기술 습득의 제한으로 인해 더 많은 문제행동을 보이며 산만하고 친구들과 많은 갈등을 겪게 된다. 또한 공격적 행동을 보이기도 하고 반대로 외로움이나 우울을 경험하게도 된다. 특히 저소득 취약계층의 경우, 기초적인 사회성이나 관계 형성 능력 부족, 가족 자원의 부족은 부모의 적절한 보살핌을 받지 못하고 양질의 양육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어 때때로 아동의 방임을 낳는다. 부모의 양육 부재로 인해 아동이 가족이나 사회적인 방치상태에서 성장하게 되면 아동의 자존감이 낮아지고 인간관계의 어려움을 느끼게 되며 비행을 하게 될 위험성이 높아진다(Esping-Andersen, 2002). 가정의 경제적 박탈은 아동의 신체적, 사회 문화적 그리고 심리적 박탁을 경험하게 하고(Korenman, Miller, & Sjaastad, 1995; Hill & Sandfort, 1995) 아동이 경험하게 되는 우울감과 외현화 문제행동, 부적응 등은 아동의 성장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한다(오경자, 문경주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권은선, 구인회 (2010). 빈곤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62(4), 129-148. 

  2. 김광혁 (2006). 빈곤이 아동의 학구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분석. 한국사회복지학, 48(4), 265-289. 

  3. 김광혁 (2014). 가족의 경제적 박탈이 초기 아동기의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비판사회정책, 42, 7-43. 

  4. 김금주 (2000). 영아-어머니의 상호작용 유형과 영아의 언어발달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숙, 배화옥 (2007). 한국 아동 빈곤율 수준과 아동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보건사회연구, 27(1), 3-26. 

  6. 김미숙, 조애저, 배화옥, 김효진, 홍미 (2007). 한국의 아동빈곤실태와 빈곤아동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수경, 도금혜 (2013).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관련 변인이 가족지원 서비스 요구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83, 77-102. 

  8. 김효진 (2008). 빈곤이 아동에게 주는 영향 분석. 보건복지포럼, 128, 5-20. 

  9. 도현심, 이선희, 오유리, 김경미, 최규리, 강나현 (2009).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부모교육 요구도 및 지식정도: 그 실태와 양육 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30(3), 127-143. 

  10. 박현선, 정익중, 구인회 (2006). 빈곤과 아동의 사회 정서적 발달 간의 관계: 성인역 부담의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8(2), 303-330. 

  11. 보건복지부 (2013). 2013 드림스타트 사업안내. 보건복지부. 

  12. 신숙재, 정문자 (1998).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19(1), 27-42. 

  13. 안지영 (2001). 2-3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신념, 효능감 및 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양미선, 김양은 (2012).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지식과 양육행동, 양육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3), 229-247. 

  15. 오경자, 문경주 (2006).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가족 위험요인과 부모자녀관계의 매개효과검증. 한국심리학지: 임상, 25(1), 59-76. 

  16. 윤현선 (2006), 사회경제적 배경이 청소년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사회적 자본이론과 가족매개모델의 비교검증. 청소년학연구, 13(3), 107-135. 

  17. 이세희 (2006). 저소득층 가정환경과 영아의 언어발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영훈, 이종인 (2008). 영아기(0-38개월)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 수용-거부 및 통제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한국여성교양학회지, 17, 87-119. 

  19. 이영환, 오미연 (2006).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 효능감, 양육지식 및 민감성의 비교 연구. 한국가정과학회지, 9(3), 47-62. 

  20. 이유진 (2006). 영아의 조기 의사소통 능력과 어휘발달 간 관계 및 조기 의사소통 능력이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151-173. 

  21. 이은해, 이정림, 김명순, 전혜정 (2010). 저소득 아동의 초기 학교적응과 학업수행에 관한 종단적 연구. 아동학회지, 31(1), 65-82. 

  22. 임세희 (2007), 장기빈곤이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모 자녀관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31, 55-78. 

  23. 임용순 (2002). 한국 영아의 어휘발달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장혜림 (2012).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3(3), 67-97. 

  25. 조용남, 김정화, 정선영, 송미령, 조유리 (2012). 2012 드림스타트 효과성보고서. 보건복지부.한국보육진흥원. 

  26. 최형성 (2002). 어머니의 사회적 지원 및 스트레스와 아동의 기질이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 허계형, Jane Squires, 이소영, 이준석 (2006). K-ASQ 부모 작성형 유아 모니터링 체계.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28. 홍순혜, 이숙영(2009). 주양육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빈곤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28, 137-169. 

  29. Abidin, R. R. (1990). Parenting Stress Index / Short Form. Lutz,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30. Bradley, R., & Corwyn, R.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399. 

  31. Cutrona, C. E., & Troutman, B. R. (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de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32. Eamon, M. K. (2001).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An ecological systems approach. Social Work, 46(3), 256-266. 

  33. Esping-Andersen, Gosta (2002). Why we need a new welfare Stat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4. Fass, S., Dinan, K. A., & Aratani, Y. (2009). Child poverty and intergenerational mobility. New York: National Center for Children in Poverty, Columbia University, Mailman School of Public Health. 

  35. Felner, R. D., Brand, S., Dubois, D. L., Adan, A. M., Mulhall, P. F., & Evans, E. G. (1995). Socioeconomic disadvantage, proximal environmental experiences, and socioemotional and academic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Investigation of a mediated effects model, Child Development, 66(3), 774-792. 

  36. Gross, D., Conrad, B., Fogg, L. & Wothke, W. (1994). A longitudinal model of matern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difficult temperament during toddlerhood. Research in Nursing & Health, 17(3), 207-216. 

  37. Gross, D., & Tucker, S. (1994). Parenting confidence during toddlerhood: A comparison of mothers and fathers. Nurse Practitioner, 19(25), 29-34. 

  38. Heaton, T. M., Forste, R. Hoffmann, J. P., & Flake, D. (2005). Cross national variation in family influence on child health. Social science and Medicine, 60(1), 97-108. 

  39. Hill, M. S., & Sandfort, J. R. (1995). Effects of childhood poverty on productivity later in life: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2), 91-126. 

  40. Korenman, S., & Miller, J. E. (1997). Effects of longterm poverty on the physical health of children in the National Longitudinal Survey of Youth. See Duncan & Brooks-Gunn, 70-99. 

  41. Korenman, S., Miller, J. E., & Sjaastad, J. E. (1995), Long-term poverty and child development in the United States-Results from the National Longitudinal Study of Youth.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7(2), 127-56. 

  42. Mcloyd, V. C. (1990). The impact of economic hardship on black families and children: Psychological distress, parenting, and socioemotional development. Child Development, 61(2), 311-346. 

  43. NESS (2011). National evaluation of Sure Start local programmes: An economic perspective. Research report DFE-RR073, London: DfE. 

  44. OECD (2006). Start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aris, France: OECD. 

  45. Parker, F. L., Piotrikowski, C., & Peay, L. (1987). Head Start as a social support for mothers: The psychological benefits of involvement. American Orthopsychiatric Association, 220-233. 

  46. Puma, M., Bell, S., Cook, R., & Heid, C. (2010). Head Start Impact Study: Final Report.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Washington, D.C. 

  47. Reitz, E., Dekovic, M., Meijer, A. M., & Engels, R. C. M. E. (2006).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parenting and best friends' effects on problem behavior during early adolescenc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6(3), 272-295. 

  48. Schweinhart, L. J., Montie, J., Xiang, Z., Barnett, W. S., Belfied, C. R., & Nora, M. (2005). Lifetime effects: The High/Scope Preschool study through age 40. Ypsilanti, MI: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49. Snow, C. E., Burns, M. S., & Griffin, P. (1998).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50. Squires, J., Potter, L., & Bricker, D. (1999). The ASQ User' Guide(2nd ed). Baltimore: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51. Webster-Stratton, C., Reid, M. J., & Hammond, M. (2001). Preventing conduct problems, promoting social competence: A parent and teacher training partnership in Head Star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30(3), 283-30. 

  52. Yeung, W. J., Linver, M. R., & Brook-Gunn, J. (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Child Development, 73(6), 1861-187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