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축산 일대 금강소나무림의 군집구조 및 종조성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Mt. Cheonchuk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1, 2020년, pp.1 - 14  

변준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박병주 (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  주성현 (경북대학교 임학과) ,  천광일 (국립생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천축산 일대 금강소나무림을 중심으로 한 군집구조와 종조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지 내 관속식물상은 총 66과 165속 211종 2아종 29변종 6품종으로 24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금강소나무림을 중심으로 신갈나무 군집, 굴참나무 군집, 갈참나무-국수나무 군집으로 3가지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간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의 차이는 유기물층 깊이, 연년생장량, 해발고도, 양이온치환용량, 전질소, pH 등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층식생을 중심으로 한 DCA 분석 결과 P-1, P-2의 조사구가 광범위한 환경에 분포하는 것에 반해 P-3 군집은 두 군집과 비교하여 이질적인 종조성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다양도와 지표종 분석결과 P-3군집에서 목본층과 하층식생의 종풍부도종다양도 지수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숲틈에 의한 임내 광량이 다량 유입되어 선구종(pioneer species) 및 여러 식물종이 생육하기 용이한 공간을 마련한 결과로 나타났다(Schnitzer and Carson, 2001). 이에 따른 만경류와 같은 수관열림에 의한 수종 유입에 따른 금강소나무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임내 환경과 하층식생의 변화상을 관찰하여야 한다. 특정지역에 대한 생태적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은 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이는 곧 서식처로 삼고있는 동물들의 보전으로 이어져 생물다양성과 종간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건전한 생태계를 유지한다. 이를 위한 효율적인 보전방안의 하나는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를구축하는 것으로 대면적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경우 공간적 범위가 넓어 인간이 수동적으로 인지하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관리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연구대상지 내 수집한 데이터를 정량화 시키고 유기적인 경관보전을 위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이 요구되며, 이는 왕피천 유역의 시계열적인 생태계를 이해하는 방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community structure and species composition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Stand in Mt. Cheonchuk (653 m).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3. 74 plots (20×20 m) were set up, 5 herb layer plots (3×3 m) were constructed for 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금강소나무 개체군보전과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 하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천축산 일대의 금강소나무림 군집구조와 종조성의 특성을 구명 하여 연구대상지의 현황파악과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H1에 속하는 종은 제비꽃, 이고들빼기, 은꿩의다리, 등골나물 등이며 H2에 속하는 종은 황고사리, 나비나물, 산구절초, 소나무, 산수국 등이 출현하였다. H3는 2차원 배열 상에 환경요인의 중앙치에 해당하는 영역 으로 개머루, 신갈나무, 오리새, 작살나무, 쪽동백나무 등이 출현하였고 H4에 속하는 종은 큰까치수염, 괭이밥, 고비, 땅비싸리 등이 출현하였다. H5에 속하는 종은 다른 영역에 비해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털대사초, 은대난초, 애기나리, 졸참나무, 병아리난초 등이 출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전생물학은 무엇인가?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은 생태계 내 생물종과 이를 둘러싼 서식처를 중심으로 보존하기 위한 통합적 과학이다. 보전생물학의 중요한 세 가지 목표는 첫째, 지구상에 있는 생물 다양성 관련 기록형성이며, 두 번째로 생태계와 인간과의 영향및 상관관계 조사·연구, 세번째, 생물종의 절멸(extinct)을 방지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며 건전한 생태계로의 기능을 보전하는 것이다(Wilson, 1992).
보전생물학의 목표는? 보전생물학(conservation biology)은 생태계 내 생물종과 이를 둘러싼 서식처를 중심으로 보존하기 위한 통합적 과학이다. 보전생물학의 중요한 세 가지 목표는 첫째, 지구상에 있는 생물 다양성 관련 기록형성이며, 두 번째로 생태계와 인간과의 영향및 상관관계 조사·연구, 세번째, 생물종의 절멸(extinct)을 방지하고 유전적 다양성을 유지하며 건전한 생태계로의 기능을 보전하는 것이다(Wilson, 1992).
천축산 일대에서 나타나는 식물상은? 경상북도 울진군에 위치한 천축산 일대는 우리나라의 온대 중부에 속하며 금강소나무림이 군집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인간 간섭이 거의 없어 큰 훼손이 없이 잘 보전되어 있어서 식생이 다양하고, 식물구계 상, 중부아구(中部亞區)에 속하지만 지리적, 지형적 특이성으로 인해 북방계식물과 남방계식물이 혼생하는 독특한 식물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동물들의 보금자리(Shelter) 를 마련하여 생태계가 유지된 지역으로 보전가치가 높은 지역 이다(Ministry of Environment.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rbour, M.G., J.H. Burk and W.D. Pitts. 1987. Terrestrial Plant Ecology. Benjamin/Cummings Pub. Co., Califonia, USA. pp. 517-622. 

  2.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fige der Vegetationskunde, 3rd ed. Springer, New york, USA. pp. 1-865. 

  3. Brower, J.E. and J.H. Zar. 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Iowa, USA. pp. 135-194. 

  4. Cho, Y.C., J.K. Hong, H.J. Cho, K.H. Bae and J.S. Kim. 2011. Structure and understory species diversity of Pinus densiflora-Tsuga sieboldii forest in Ulleung island. J. Korean Soc. For. Sci. 100(1):34-41 (in Korean). 

  5. Choi, S.H. and J.H. Kim. 2003. The analysis of forest ecosystem in Wangpicheon area, Uljin-gun, Gyeongsangbuk-do, Korea. Kor. J. Env. Eco. 17(2):153-168 (in Korean). 

  6. Curtis, J.T. and R.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nsconsin, New york, USA. Ecology 32:476-496. 

  7. David, A.C. and B.A. Robert. 2007. Effect of size, competition and altitude on tree growth. Ecology 95:1084-1097. 

  8. Dufrene, M. and P. Legendre. 1997. Species assemblages and indicator species : the need for a flexible asymmetrical approach. Ecol. Monographs. 67:345-366. 

  9. Jeon, Y.W. 2006. Forest and culture. Books-hill, Seoul, Korea. pp. 42-384 (in Korean). 

  10. Jeong, H.M. 2013. Changes of understory for regeneration types Pinus densiflora for. erecta forest in Uljin. Forest resources and environment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Science, M.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 Korea. pp. 3-47 (in Korean). 

  11. Joo, S.H. and S.C. Jung. 2001.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pine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Forests. Agric. Res. Bull. Kyungpook Nati. Univ. 19:31-37 (in Korean). 

  12. Kang, H.M. and S.H. Choi. 2008. Actual veget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the Bulyeongsa valley area in Uljin-gun (Gyeungbuk). Kor. J. Env. Eco. 22(1):1-10. 

  13. Kent, M. and P. Coker. 1992. Vegetation description and analysis: a practical approach. Belhaven Press, Florida, USA. pp. 22-363. 

  14. Kim, J.W. and Y.K. Lee. 2006.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plant communities. World Science, Seoul, Korea. pp. 2-240 (in Korean). 

  15. Kim, Z.S. and S.W. Lee. 1992. Genetic structure of natural populations of Pinus densiflora in Kangwon-Kyungpook region. Korean J. Breed. Sci. 24(1):48-60 (in Korean). 

  16.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pp. 1-399 (in Korean). 

  17. Korea Forest Service. 2014. Planning of region forest.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Korea, pp. 3-119 (in Korean). 

  18.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3. http://www.kma.go.kr (2013. 11). 

  19.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The list of national standard plant. http://www.nature.go.kr/kpni (2007.12). 

  20. Lee, D.K., K.W. Kwon, J.H. Kim and G.T. Kim. 2010. Forest Silviculture-sustainable Forest Ecological Management.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4-334 (in Korean). 

  21. Lee, H.J. and S.H. Kim. 1989. Effect of salinity on the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Uyeki. Korean J. Ecol. 12(4):219-236 (in Korean). 

  22. Lee, K.J. 2011. Tree Physiology. Pres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p. 275-514 (in Korean). 

  23. Lee, K.J., J.H. Kim and B.H. Han. 2002. Plant community structure and ecological density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community in Chunyang, Kyeongsangbuk-do. Kor. J. Env. Eco. 15(4):379-393 (in Korean). 

  24. Lee, T.B. 2003a.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 Hyangmu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14 (in Korean). 

  25. Lee, T.B. 2003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Hyangmoon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920 (in Korean). 

  26. Lee, Y.M. 2002. Statistical ecology. Je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Gwangju, Korea. pp. 1-262 (in Korean). 

  27. Leith, H. and D.H. Aston. 1961. The light compensation point of some herbaceous plants inside and outside deciduous woods in Germany. Can. J. Botany 39:1255-1259. 

  28. Magurran, A.E. 2004. Measuring biological diversity. Blackwell, New York, USA. pp. 1-256. 

  29. McCune, B. and J.B. Grace. 2002. Analysis of ecological communities.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1-300. 

  30. McCune, B. and M.J. Mefford. 2006. PC-ORD. Multivariate Analysis of Ecological Data. version 5. 17. MJM Software Design, Gleneden Beach. Oregon USA. pp. 10-237. 

  31. Miller, B., W. Conway, R.P. Reading, C. Wemmer, D. Wildt and D. Kleiman. 2004. Evaluating the conservation mission of zoos, aquariums, botanical gardens, and natural history museums. Conserv. Biol. 18:86-93. 

  32.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Management plan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around Wangpicheon basin. Daegu Regional Environment Office, Daegu, Korea. p. 272 (in Korean). 

  33. Myers, N. 1987. The extinction spasm impending: Synergisms at work. Conserv. Biol. 1:14-21. 

  34. Na, S.J., C.S. Kim, K.S. Woo, H.J. Kim and D.H. Lee. 2011. Correlation of above-and below-ground biomass between natural and planted stand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of one age-class in G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r. Sci. 100(1):42-51 (in Korean). 

  35. Park, I.H. and Y.K. Seo. 2002. Plot size for investigating forest community structure(5) -Adequate number of plots for tree and shrub strata in a mixed forest community of broad-leaved trees at Guryongsan area-. Kor. J. Env. Eco. 15(4):394-400 (in Korean). 

  36. Park, P.J., J.G. Byeon and K. Cheon. 2019. Study of ecological niche and indicator species by landforms and altitude of forest vegetation in Mt. Myeonbong. Korean J. Plant Res. 32(4):325-337 (in Korean). 

  37. Robinson, M.H. 1992. Global change, the future of biodiversity and the future of zoos. Biotropica 24:345-352 (in Korean). 

  38. Royo, A. and W.P. Carson. 2008.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a dense understory on tree seedling recruitment in temperate forests: habitat-mediated predation versus competition. Can. J. Forest. Res. 38:1634-1645 (in Korean). 

  39. Schnitzer, S.A. and W.P. Carson. 2001. Treefall gaps and the maintenance of species diversity in a tropical forest. Ecology 82(4):913-919. 

  40. Song, H.K., S.D. Kim and K.K. Jang. 1995. An analysis of vegetation environment relationships of Pinus densiflora for. erecta and chunyang-typ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by TWINSPAN and DCCA. J. Korean Soc. For. Sci. 84(2): 266-274 (in Korean). 

  41. Song, S.D. and B.I. Kim. 1992. Changes of nitrogen-fixation 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growth in Lespedeza bicolor Turcz. Korean J. Bot. 35(4):317-322 (in Korean). 

  42. Uyeki, H. 1928. On the physiognomy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Korea and silvicultural treatment of its improvement. Bulletin of the Agricultural and Forestry College, Suwon, Korea, pp. 2-263. 

  43. Wilson, E.P. 1992. The Diversity of Life.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USA. pp. 35-4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