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체리듬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듬 지각력과 리듬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n Early Childhood Physical Rhythm Education Program on Rhythm Perception and Rhythm Expression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5 no.6, 2014년, pp.25 - 46  

서영민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원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  이순형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monstrate whether a Physical Rhythm Education Program can alter children's rhythm perception and rhythm expression. To solve the questions posed by this study, 60 5-year-olds and 60 6-year-olds (a total of 120 children) from one child-care center in Kyunggi-pro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유아의 리듬능력을 향상시킬 수있는 신체리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듬능력을 향상시키는지 검중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선행연구(Gordon, 1997)에서 사용된 리듬 지각력 검사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먼저, 리듬 2가지를 듣고 같은 리듬이었는지 다른 리듬이었는지 구분하여 같은 얼굴 그림에 동그라미 하도록 한 Gordon(1997)의 검사 도구는 리듬의 능력 뿐 아니라 그림이해능력과 같음과 다름을 아는 능력을 함께 보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 이상의 연구 필요성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Gordon(1980)의 리듬분류체계와 Laban(1963)의 동작 요소 중 신체를 사용한 신체리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유아의 리듬 능력이 향상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유아의 리듬 능력을 리듬 지각력과 리듬 표현력으로 구분하고, 리듬 표현력을 또다시 언어 리듬 표현력, 악기 리듬 표현력, 신체 리듬 표현력, 창의 리듬 표현력으로 나누어 하위 영역에 신체 리듬교육프로그램이 어떻게 효과를 미치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듬 지각력은 무엇인가? 리듬 능력은 리듬 지각력과 리듬 표현력으로 나누어 정의할 수 있다. 리듬 지각력은 ‘리듬에 대한 자극에 의미를 부여하는 과정’(John, Royce, & Roger, 1990)이며, 리듬 지각은 직접적 환경 또는 지각의 장(perception field)에 존재하는 청각 자극들 가운데서 특정한 리듬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Kwon, Souk, Choi, & Ham, 2008). 이런 리듬 지각력은 단순히 리듬을 들을 수 있는 것 뿐 아니라 그것을 이해하고 변별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고 있다.
리듬 표현력의 하위범주는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리듬 표현력은 리듬을 표현하는 능력으로 하위 범주는 언어리듬표현력, 악기리듬표현력, 신체리듬표현력, 창의리듬표현력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Rainbow, 1977). 언어리듬표현력은 말로 표현하는 리듬 활동으로 아무 의미 없는 음절을 리듬 위에 입히는 음절 표현(예: 바바바)와 단어가 포함된 가사 형태의 구를 리듬 위에 입히는 말리듬 표현(예: 자장자장 우리아기)로 나뉜다(Gordon, 1997).
Gordon의 리듬분류체계가 아동을 위해서만 사용되고 유아를 위한 시도는 거의 없었던 이유는? 그러나 이것은 현재까지 아동을 위해서만 사용되어 졌으며, 유아를 위한 시도는 거의 없었다. 이는 유아의 발달단계와 맞지 않은 복합계열의 어려운 리듬 때문으로 해석되며, 따라서 복합 계열을 제외한 2박 계열의 리듬과 3박 계열의 리듬을 활용한 리듬교육프로그램이 요구된다. 한편 Laban(1963) 은 움직임 교육을 가장 먼저 시작한 학자로, 동작의 네 가지 구성요소 신체, 시간, 힘, 흐름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Bang, K. J., Hyun. K. S., Im, M. K., Jang, K. B., Jo, S. Y., Joo, D. C., et al. (2010). Induction of music pedagogy. Seoul: Hakjisa. 

  2. Choksy, L. (1990). The Kodaly method (3rd ed.). N.J.: Prentice-Hall. 

  3. Dalcroze, J. (1921). Music and child: In Rhythm, Music and Education (translated by Rubinstein). NY: The Knicherbroder Press. 

  4. Dittermore, E. (1970). An investigation of some musical cap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owa City: University of Iowa Press. 

  5. Choi, E. S., Ham, H. J., Kwon, D. W., & Souk, M. J. (2008). Introduction to music education. Seoul: Kyoyookgoahaksa. 

  6. Findlay, E. (1971). Rhythm and movement: Applications of Dalcroze Eurhythmics. NJ: Summy-Birchard. 

  7. Go, Y. J. (2010). A consideration of meaning if integrated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using rhythm instrument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5(6), 273-293. 

  8. Goodnow, J. J. (1977). Children's drawing. London: Fontana. 

  9. Gordon, E. (1980). Learning sequences in music: Skill, content, and patterns. Chicago: GIA. 

  10. Gordon, E. (1986). Manual for the primary measures of music audiation the intermediate measures of music audiation. Chicago: GIA. 

  11. Gordon, E. (1997).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GIA. 

  12. Greenberg, M. (1979). Your children need music: A guide for parents and teachers of young children. N.J.: Prentice Hall. 

  13. Groves, W. C. (1969). Rhythmic training and its relationship to the synchronization of motorrhythmic responses. Journal of Search in Music Education, 17, 408-415. 

  14. Hargreaves, D. J. (1996). The development of artistic and musical competence. In I. Deliege & J. Sloboda (Eds.), Musical begining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5. Hyun, K. S., Im, M. K, Jo, S. Y., Kim, Y. H., & Lee, Y. K. (2010). Method of music education: Dalcroze, Kodaly, Orff, Gordon, Comprehensive musicianship. Seoul: Hakjisa. 

  16. Im, E. A. (2007). An analysis on the effect of rhythm education activity through movement and language integration. The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19(2), 239-255. 

  17. Im, E. A. (2008). The effect of a music education program featuring the integration of movement, pictures, and language on young children's music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e Research of Childhood Education, 28(5), 197-222. 

  18. Jersild, A., & Bienstock, S. (1935). Development of rhythm in young children. New York: Bureau of Publications, Teachers College, Colombia University. 

  19. John, A., Royce, R., & Roger, H. (1990). Cognitive psychology for Teachers. NY: New York Macmillan Publication. 

  20. Kim, G. J. (2004).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effect if program to increase young children's musical capacity based on comprehensive music educ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1. Kim, S. C. (1995). The relation with using on physical expression and raising musicality in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22. Kwak, B. A. (2010). The effect of integrated rhythm instrument teaching program on the musical capabilities and the musical creativeness of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23. Laban, R. (1963). Modern educational dance. London: Macdonald & Evans. 

  24. Lee, S. J., & Kim, Y. Y. (2009).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cepts based music and movement integrated activities for three-year-old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14(1), 339-368. 

  25. Min, K. H., Kim, S., Kim, Y., Bang, K., Seung, Y., Yang, J., et al. (2010). Induction of music pedagogy. Seoul: Hakjisa. 

  26. Oh, H. S. (2009). Philosophy in music. Seoul: Simsuldang. 

  27. Oh, Y. J., Kim. H. O., Lee. K. S., & Kwon, M. H. (2013). Theory and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ovement education. Seoul: Changjisa. 

  28. Orff, C. (1952). Orff-schulwerk music story. Budapest: Schtt's Shne, Mainz. 

  29. Park, E. Y. (2009). The effect of the expression activity using musical instruments on the young children's musical and physical expression abilities. The Research of Music Education, 36, 59-83. 

  30. Pica, R. (2010). Experiences in movement & music: Birth to age 8(4th Ed.). Kyungi: Jungminsa. 

  31. Radocy, R. E., & Boyle, J. D. (1997). Psychological foundations of musical behavior (3rd Ed.). Springfield: Charles Thomas Publisher, Ltd. 

  32. Schleuter, S. L., & Schleuter, L. J. (1985). The relationship of grade level and sex differences to certain rhythmic responses of primary grade childre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100, 1-13 

  33. Stabley, N. C. (2000). The effects of involvement in chamber music on the intonation and attitude of 6th and 7th grade string orchestra play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Michigan, USA. 

  34. Su, K. W. (2011). A case study of drama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Drama specialists beliefs and practices. Child Studies in Diverse Contexts, 1(1), 59-75. 

  35. Szayi, E. (1990). Kodaly's principles in practice (translated by J. Weissman). Budapest: Corvina Press. 

  36. Tsapakido, A., Zachopoulou, E., & Zographou, M. (2001). Early young children's behavior during music and movement program. Journal of Human Movement Studies, 41, 333-345. 

  37. Utley, E. (1978). The effectiveness of the shrader tap system in improving music reading and general reading Comprehension. Bellevue, Washington: Temporal Acuity Products. 

  38. Walters, D. L. (198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tempo in primary aged children and their ability to synchronize movement with music.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Michigan, USA. 

  39. Wang, C. (1985). Measure of creativity and sound in music. Unpublished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Kentucky, Lexington, USA. 

  40. Yoon, E. M. (2007). The construction and effect of an integrated early childhood music and movement program based on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41. Yoon, E. M. (2012). The effects of instruments activities applied rhythm pattern and chat on early children's rhythm aptitude and music expression ability. The Research of Childhood Education, 16(1), 49-6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