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안시 마을습지 인벤토리구축 및 보전전략
Village Wetlands Inventory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Cheonan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17 no.6, 2014년, pp.39 - 50  

박미옥 (나사렛대학교) ,  임수현 (상명대학교 대학원) ,  이란 (상명대학교 대학원) ,  김보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  양승빈 (상명대학교 대학원) ,  구본학 (상명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inventory and propose conservation strategy of 'village wetlands' in Cheonan. As results, the village wetlands are defined as such places as palustrine wetland, village embankment, agricultural reservoir or small reservoirs located in or near the village and r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안시 마을습지의 보전가치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관리 및 활용을 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마을습지의 개념을 정립하고, 인벤토리 구축, 기능평가를 통해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는 천안시 마을습지 인벤토리구축 및 보전전략을 위한 연구로 마을습지의 개념을 정립하고, 천안시 마을습지 가능지를 선정, 선정된 마을습지를 대상으로 정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습지기능평가인 RAM 평가를 통해 보전가치를 판단, 이에 따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 천안시 마을습지 기능에 대해 대부분 식생부분에서 비교적 높은 기능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모든 마을습지에 대해 비오톱조성 및 확보에 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에 의하면, 마을이란 무엇인가? go.kr)에 의하면 마을이란 주로 시골에서 여러 집이 모여 사는 곳이라 정의하였으며, 농촌 습지는 NAAS(2012b)에 따르면 소택형습지, 소택지, 연못 및 생태연못, 둠벙, 웅덩이, 소류지, 저류지, 방죽 등 다양한 이름으로 나타났다. NAAS(2012a)은 소규모 소택형습지로서 마을사람들이 이용가능한 습지에 대하여 마을습지로 인식하였으며, ME at el.
마을습지의 역할은? 특히, 마을습지는 유역 내 물순환시스템 유지, 야생동물의 서식처 제공 및 종다양도 증진, 친수공간, 레크레이션 등 생태적 역할뿐 아니라, 마을주민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문화적 혜택과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고 있는 중요한 생태공간이다.
마을습지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이들 습지의 생태적 기능 및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보전계획 및 관리방안 수립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습지의 양적, 질적인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이와 같이 포괄적인 습지 기능평가 및 인벤토리 등의 연구는 수행된 바 있지만, 마을습지가 생태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명확한 정의가 정립되지 못하고 있으며 실태파악 및 보전 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매년 상당히 많은 마을습지가 파악되지도 않은 채 사라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작지만 중요한 마을습지의 보전과 복원, 관리, 현명한 이용을 위해서는 마을습지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여, 이들 습지의 생태적 기능 및 보전가치를 평가하고, 보전계획 및 관리방안 수립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습지의 양적, 질적인 확대를 도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Jin YH.Li L.Moon SK and Koo BH. 2013. Functional Assessment of Jilnalnup Wetland by HGM.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6(2): 13-22. 

  2. Koo BH and Kim KG. 2001. A Study on the Assessment for the Functions of Inland Wetlands Using RAM(Rapid Assessment Metho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4(3): 38-48. 

  3. Koo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4. Koo BH. 2003. Wetland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n Abandoned Rice Paddy Ja-un Wetlan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6(1): 65-70. 

  5. Koo BH. 2007. Korea National Wetland Inventory. MOE, National Wetland Center, UNDP/GEF. 

  6. Ministry of Environment. 2001. Assessment Technique and Management Study of Inland Wetlands Depending on Their Types. 

  7. Ministry of Environment. 2010. Restoration Technology of Damaged Natural Ecosystem -Development of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Measures Per Biotop Types-. 

  8. Ministry of Environment.UNDP/GEF and National Wetland Project Management. 2009. Discoveries and Conservation Measures of Village Wetlands at Geumgang River basin. 

  9.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a. Facts and Utilization of Farming Village Small Scale Wetlands. 

  1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2b. Environment Resour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udy for Enhanced Rural Amenities. 

  11. Park MO.Kim HN and Koo BH. 2009.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Assessment of Inland Wetlands i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2(5): 92-100. 

  12. Park MO.Park ML and Koo BH. 2007. A Study on Function Assessment of Coastal Wetlands for Ecological Network Establishment -Focused on the Westcoast of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6): 70-80. 

  13. Son JK. 2009. A Study on Growth Environment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 of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14. Yang BH.Cho US and Koo BH. 2005.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al Assessment of a Dam Lake -In the Case of the Boryung Lak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8(6): 80-91. 

  15. Yi GC. 2012. Development, value and use of wetland inventory.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14(1): 303-315. 

  16. Yi GC.Lee JW and Kim YS. 2010. Development of GIS Based Wetland Inventory and Its Use.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 50-61. 

  17. Yin SH.Kim DG.Kim HS and Kwak JW. 2010. Assessment of Hwapo Riverine Wetland Function Using Hydrogeomorphic Approach.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0(1): 53-60. 

  18. Zhu WH and Koo BH. 2006. Wetlands Classifying Characteristics by Wetland Classifying Systems -Cases on the Tu-men River and Han River-.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9(6) 152-161. 

  19. Zhu WH. 2002. Comparative Study on the Tumen River Downstream and Eastern DMZ Wetland Classification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20. Daum map(http://map.daum.net). 

  21. Korea Land Information System(klis.chungnam.net). 

  22. Naver map(http://map.naver.com). 

  23.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ww.korean.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