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도 기반 환경변화연구 및 지형분석을 통한 명사십리 해안의 제4기 연안지대 이상기후 퇴적기록 적지선정
Site Selection for Geologic Records of Extreme Climate Events based on Environmental Change and Topographic Analyses using Paleo Map for Myeongsanimni Coast, South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7 no.6, 2014년, pp.589 - 599  

김지은 (충남대학교 대학원 우주지질학과) ,  유재형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해 명사십리 일대의 제 4기 극한재해 퇴적기록 보존지역을 선정하기 위해, 1918년 일제 강점기 지형도, 2000년 수치지형도, 1976년 항공사진 및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치표고모델과 지표이용도를 순차 비교 분석하여 연구지역의 퇴적환경 및 지표환경 변화를 고찰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형적 특징은 지난 100여 년간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연구지역의 북부와 남부에는 고도의 변화폭이 상대적으로 큰 구릉지가 위치하고 해안에 평행하게 사구가 발달하며 연구지역 남부 사구의 후면으로 내륙에 평탄한 저지대가 위치한다. 연구지역 유수 및 퇴적물의 이동 방향을 분석한 결과 사구에서 내륙으로 이동하는 흐름과 내륙의 높은 지대에서 해안으로 이동하는 흐름이 연구 지역 중부를 가로지르는 하천을 향하여 이동하며 중남부 용정리와 남부 자룡리의 평탄한 저지대에 각각 $0.2km^2$의 넓이를 가지는 저수지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구지역 해수면 변화기록을 보존하는 지역을 찾기 위하여 해수면을 상승시킨 결과 해수면이 3 m 상승했을 때 침수되는 지역은 1918년 $3.4km^2$, 2000년 $3.64km^2$으로 저수지역이 형성되는 위치와 중첩되며 남부의 평탄한 저지대가 해수범람 퇴적층의 형성이나 퇴적물의 집적에 용이한 환경임을 지시한다. 100여 년간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지표 환경 변화가 제한적이었던 지역은 약 $3.51km^2$의 면적으로 연구지역 중부에서 남부에 분포하며 1918년에는 점토 퇴적지, 논으로 활용되었고 2012년에 이르러서는 모두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연구지역의 퇴적환경과 지표이용변화를 중첩 분석한 결과, 제4기 퇴적기록을 보존하고 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연구지역 중부에 약 $0.15km^2$, 남부에 $0.09km^2$의 면적으로 존재하며 이 지역을 중심으로 과거 이상기후 퇴적기록을 연구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elected optimal sites in Myeongsasimni located in west coast of Korea for stratigraphic research containing extreme climate event during quaternary period by spatio-temporal analyses of changes in sedimentary environment and land use employing 1918 topographic map, 2000 digital terrain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18년 지형도와 2000년 수치지형도 및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1910년대와 2010년대를 대표하는 수치표고모델과 지표이용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비교분석하여 지난 100여 년간 연구지역의 인간 활동으로 인한 지표이용 변화를 고찰하였다. 또한 수치표고모델을 이용한 지형분석을 통해 해수범람 퇴적층의 생성이 용이한 지역을 인지하였으며, 이들 후보지 중 지표이용변화 양상에 따른 퇴적기록의 보존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을 고려하여 제4기 이상기후 퇴적기록 적지를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연구지역의 인간 활동에 의한 환경변화와 퇴적작용이 용이한 지형적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일제강점기의 1918년 지형도와 2000년 수치지형도, 1976년과 2012년 항공사진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수치표고모델을 작성하여 지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주 목표인 과거 극한기후 층서 기록 보존 환경이 적합한 지역을 선정하기 위하여 지형정보를 바탕으로 한 퇴적환경 분석과 지표이용도를 이용한 층서 교란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역의 지난 100여 년간 지형적 특징에 따른 해수범람 퇴적층 형성조건과 해수면 변화에 따른 침수지역을 정의한 바에 의하면, 사구 내륙에 위치한 저지대와 하천 주변의 저지대가 해수면 변화 기록을 연구하는 데 유용한 지역으로 약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형도에 입력된 고도정보를 디지털화 시키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1918년 지형도의 등고선과 2000년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에서 고도정보를 추출 하여 수치표고모델을 구성하였다(Hutchinson, 1996; Hutchinson and Gallant, 2000). 그러나 지형도에 입력된 고도정보를 디지털화 시키면 쉽게 수치표고모델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등고선 간격에 따라 기복이 적은 지형은 표현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Kim, 2009). 특히 1918년 지형도의 경우 등고선 간격이 20 m이기 때문에 20 m이하의 지형기복은 표현되지 않는다.
해수범람 퇴적층이 퇴적물이 퇴적될 당시 폭풍해일 및 높은 파고 등으로 인해 해수면이 증가하였음을 지시하는 이유는? 특히 연안지역의 경우 과거 극한기후에 가장 민감하여, 해빈침식, 사구침식, 오버워시(overwash), 습지침식, 해안절벽침식 등의 형태로 영향을 받는다(Davis, 1992). 특히 오버워시는 연안환경을 짧은 시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침식 및 퇴적 작용으로, 태풍 등 강한 극한재해에 동반한 높은 에너지를 가진 파도가 해안에 위치한 사구퇴적물을 사구후면에 위치한 낮은 경사도를 갖는 연못이나 습지에 이동 및 퇴적시켜 해수 범람 퇴적층(washover deposit)을 생성시킨다(Dawson and Stewart, 2007; Wang and Horwitz, 2007; Kain et al., 2014).
연안지역은 과거 극한기후에 의해 어떤 형태로 영향을 받았는가? 특히 연안지역의 경우 과거 극한기후에 가장 민감하여, 해빈침식, 사구침식, 오버워시(overwash), 습지침식, 해안절벽침식 등의 형태로 영향을 받는다(Davis, 1992). 특히 오버워시는 연안환경을 짧은 시간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 침식 및 퇴적 작용으로, 태풍 등 강한 극한재해에 동반한 높은 에너지를 가진 파도가 해안에 위치한 사구퇴적물을 사구후면에 위치한 낮은 경사도를 갖는 연못이나 습지에 이동 및 퇴적시켜 해수 범람 퇴적층(washover deposit)을 생성시킨다(Dawson and Stewart, 2007; Wang and Horwitz, 2007; Kai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 S.H. (2007) Urban Change Analysis using the 1:50,000 Topographical Map which is Produced at 1910'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 v. 10 (3), p. 93-103. 

  2. Baek, K.R. (2014) Estimation of Natural Variance of Topography. Magazine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 14 (1), p. 81-87. 

  3. Cheung, K.F., Tang, L., Donnelly, J.P., Scileppi, E.M., Liu, K., Mao, X., Houston, S. H., Murane, R. J. (2007) Numerical modeling and field evidence of coastal overwash in southern New England from Hurricane Bob and implications for paleotempestolog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 112. DOI: 10.1029/2006JF000612 

  4. Davis, R.A. (1992) Depositional systems: An introduction to sedimentology and stratigraphy.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 342-404. 

  5. Dawson, A.G., Stewart, I. (2007) Tsunami deposits in the geological record. Sedimentary Geology, v. 200, p. 166-183. 

  6. Frappier, A., Knutson, T., Liu, K., Emanuel, K. (2007) Perspective: coordinating paleoclimate research on tropical cyclones with hurricane-climate theory and modelling. Tellus A. v. 59 (4), p. 529-537. 

  7. Hutchinson, M.F. (1996) A locally adaptive approach to the interpol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s. In Proceedings, Third International Conference/Workshop on Integrating GIS and Environmental Modeling. Santa Barbara, CA: National Center for Geographic Information and Analysis See: http://www.ncgia.ucsb.edu/conf/SANTA_FE_CD-ROM/sf_papers/hutchinson_michael_dem/local.html. 

  8. Hutchinson, M.F. and Gallant, J.C. (2000) Digital elevation models and representation of terrain shape. In: J.P. Wilson and J.C. Gallant (eds) Terrain Analysis. Wiley, New York, p. 29-50. 

  9. Jenson, S.K., and Domingue, J.O. (1988) Extracting Topographic Structure from Digital Elevation Data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alysi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v. 54 (11), p. 1593-1600. 

  10. Kain, C.L., Gomez, C., Hart, D.E., Wassmer, P., Goff, J., Starheim, C. (2014) Assessing topographic controls on flow direction in washover deposits using measurements of Magnetic Fabric. Marine Geology, v. 350, p. 16-26. 

  11. Kim, N.S. (2009) Updating DEM for Improving Geomorphic Detai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 12 (1), p. 64-72. 

  12. Lee, B. J., Kim, J. C., Kim, Y. B., Cho, D. L., Choi, H. I., Chun, H. Y., Kim, B. C. (1997) Geologic report of the Gwangju sheet (1:250,000),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p. 82. 

  13. Liu, K., Lu, H., Shen, C. (2008) A 1200-year proxy record of hurricanes and fires the Gulf of Mexico coast; Testing the hypothesis of hurricane-fire interactions. Quaternary Research, v. 69, p. 29-41. 

  14. Mark, D. M. (1988) Network Models in Geomorphology. Modelling Geomorphological Systems, ed. M. G. Anderson. New York: John Wiley. p. 73-97.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Report on the Precise Investigation of Sand Dune in Korean Coastline-Wonsan, Obong, Gwangseung, p. 381-394. 

  16. Nott. J. (2004) Paleotempestology: the study of prehistoric tropical cyclones - a review and implications for hazard assessment. Environmental International, v. 30 (3), p. 433-447. 

  17. Park. Y.H. (2008) Experimental Study of Overwas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 17. p. 104-107. 

  18. Wang, P., Horwitz, M. H. (2007) Erosional and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regional overwash deposits caused by multiple hurricanes. Sedimentology, v. 54, p. 545-564. 

  19. Yu, S. S. (2009) Changes of Landforms and Land uses of Gochang-gun Coastal fringe, Master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llabuk-do,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