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동해안 해성단구 분포, 형성시기 및 융기율 검토
The Distribution, Ages and Uplift Ratio ofmarine Terraces in SE coast of Korea: Review 원문보기

第四紀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v.19 no.1, 2005년, pp.27 - 40  

김주용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양동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김정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오근창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  최돈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4기지질환경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에서의 해성단구 연구는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쳐 2000년대에 진입하면서 동해안 전역에 걸친 고해수면 종단 및 횡단 분포도 작성, 해성단구 퇴적상 특성 해석, 해성단구 퇴적물의 OSL 연대 측정 및 융기율 산정 등 여러 부문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여 왔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해성단구 연구자들은 동일 고도에 분포하는 해성단구들이라도 항상 동일한 퇴적상이나 형성연대를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에 유의하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낮은 고도로부터 1, 2, 3, 4, 5 단구시스템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단구시스템의 연대는 낮은 단구에서 높은 단구로 갈수록 일률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10~0.20m/ka로 추정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searches onmarine terrace in Korea have been drastically progress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main themes of researches include vertical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paleo-shoreline, sedimentary facies ofmarine terrace deposits, OSL dating of terrace deposits and estimation of uplift rate. 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일대와 경북 북부지방을 포함하는 동해안 중북부 지역과 포항, 울산 및 기장 일대의 동해안 남동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해성단구의 지형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향후 연구자 간에 핵심 쟁점 도출과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강원도 일대와 경북 북부지방을 포함하는 동해안 중북부 지역과 포항, 울산 및 기장 일대의 동해안 남동부 지역에 걸쳐 분포하는 해성단구의 지형형성에 관한 최근 연구를 검토해 보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검토를 통해서 향후 연구자 간에 핵심 쟁점 도출과 향후 연구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성단구의 지형면 해발고도는? 고해안선 조사에서 일반적으로 해성단구 분포고도 분류는 항공사진 판독을 통해 수행한다. 해성단구 지형면은 일차적으로 해빈-충적(평야)면(제1단구), 저위면(제2단구), 중위면(제3단구), 고위면(제4단구), 최고위면(제5단구) 등 5개의 주요 지형면을 기준으로 분류되는데, 각 지형면의 해발고도는 각각 약 ±5m이내, 10~25m, 32~55m, 63~86, 90~130m이다. 해빈 및 저위면은 지형발달상 현재 해안과 평행하게 대상(帶狀)으로 나타나며, 개석을 많이 받지 않아 해성단구면과 해성단구 퇴적물 보존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논란의 핵심은? 해성단구 연구에 있어서 여전히 문제시되고 있는 것은 제2단구와 제3단구 시스템의 구분 및 이들의 형성시기에 관한 것이다. 논란의 핵심은 약 30~35m(~40m)에 분포하는 해성단구와 약 20m전후의 해성단구중 어느 것이 최종간빙기에 형성되었느냐에 관한 것이다. 동해안 단구분포와 형성시기에 기초한 지반 융기율은 전체적으로 볼 때 약 0.
해성단구 시스템은 어떤 가정에서 출발한 개념인가? 동해안 단구는 고도별로 하부에서 상부로 가면서 1,2,3,4,5 단으로 구분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분은 일부 지역에서는 유용하지만 전 지역에 걸쳐 통용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해성단구 시스템은 일차적으로 지역이 달라도 특정시기의 해성단구는 동일하거나 적어도 유사한 고도에 분포해야 한다는 가정에서 출발한 개념이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단구에서 산호발달이나 화산재 산출 등을 통해 동일시기의 동일 고도를 지시하는 지시자가 발견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