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 및 밭토양 중 살충제 Clothianidin의 잔류특성
Persistence of the Insecticide Clothianidin in Paddy and Upland Soils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3 no.4, 2014년, pp.290 - 297  

최영준 ((주)동방아그로 기술연구소 잔류) ,  권찬혁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기준과) ,  윤태용 ((주)동방아그로 기술연구소 잔류) ,  이영득 (대구대학교 생명환경대학 생명환경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토양 수분과 실험 조건에 따른 Clothianidin의 토양 중 분해 및 잔류 특성의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동일 지역 논 및 밭포장에서 토양잔류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동일포장에서 채취한 토양을 대상으로 실험실 조건에서 토양 및 수중 잔류성 실험을 병행하였다. 논 및 밭포장에는 Clothianidin 8% 수용성입제(SG)를 600L/10a(0.024kg a.i./10a) 수준으로 전면 살포하였고 실험실 조건에서는 Clothianidin 표준용액을 0.25 mg/kg 수준이 되도록 점적 처리한 후, 경시적으로 토양 중 Clothianidin 및 주요 분해산물 TZMU, TZNG, MNG, TMG, MAI의 잔류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Clothianidin의 토양 중 소실 양상은 포장 및 실험실 조건 모두에서 다중 1차 감쇄반응의 경향을 현저히 나타내었다. 총 Clothianidin을 기준으로 한 토양 중 반감기는 포장조건의 논 및 밭토양에서 각각 6.7-16.1일 및 6.9-8.2일 범위였으며 실험실 조건에서는 각각 56.3일 및 19.6일로 산출되었다. 포장조건에서의 토양 중 주요 분해산물로는 논토양에서 TZNG, TMG, MAI와 밭토양에서 TZMU와 MAI가 검출되어 다소 상이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실험실조건에서는 논 및 밭토양 모두에서 TMG와 MAI가 주요 분해산물로 확인되었다. 수중잔류성 시험에서 Clothianidin의 토양수 중 반감기는 4.8일이었으며, TZMU가 주요 분해 대사산물로 조사되었다. 분해산물의 잔류 수준은 TZNG와 TZMU의 경우 약제처리 초기에 빠른 속도로 생성되었다가 급격히 감소되었던 반면, TMG와 MAI의 경우에는 지속적인 수준을 유지하였다. 약제처리 24일 후 포장 및 실험실조건에서 모화합물은 각각 80% 및 50%이상이 분해되었으며 그 이후 총 Clothianidin 잔류량의 대부분은 분해산물에 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current study purposed to analyse the dissipation levels of a neonicotinoid insecticide and clothianidin in paddy and upland soils and clarify the effects of soil moisture on degradation and persistence of the insecticide. METHODS AND RESULT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게 생성된 대사산물들은 다시 동, 식물체 및 환경중에 존재하는 동안 다양한 대사과정을 거쳐 분해 소실되어지지만, 국내 농업환경 중 Clothianidin의 행동 및 잔류성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어서 환경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는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 중 Clothianidin과 5가지 주요 대사산물을 분석하여, 논토양과 밭토양, 수중 및 실험실 조건에서 Clothianidin의 잔류 및 분해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lothianidin의 동식물 및 토양 중 대사과정에서 발생되는 대사산물은? Clothianidin의 우수한 살충력과 다양한 실용성으로 인하여 매년 국내에서 지속적인 사용량을 나타내고 있으며 (KCPA, 2012), 이에 따라 Clothianidin에 대한 국내 재배환경에서의 행동과 행적에 대한 연구가 절실하다. 현재까지 Clothianidin의 동식물 및 환경 중 주요 대사 과정에 대하여 단편적으로 연구된 바를 요약하면 동식물 및 토양 중에서는 대사산물 Thiazolylmethylurea(TZMU), Thiazolylnitroguanidine(TZNG), Thiazolylmethylguanidine(TMG), Methylnitroguanidine(MNG)가 생성되며, 물 중 광분해에서는 TZMU, TMG가 생성되며 TMG는 다시 Methylaminoimidazole(MAI)가 생성된다 (Hideki et al., 2006; FAO report, 2010) (Fig.
Clothianidin이란 무엇인가? Clothianidin은 Neonicotinoid 계통의 살충제로서 넓은 살충범위와 다양한 적용작물 그리고 제형으로 만들기 쉬운 실용적인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Tomlin, 2009). 국내에서는 현재 액상수화제(Suspension Concentrate, SC), 입제(Granule, GR), 수용성입제(Soluble Granule, SG), 수화제(Wettable Powder, WP) 등이 상용화되어 있다 (KCPA, 2012).
Clothianidin의 제형으로 만들기 쉬운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라 국내에서 상용화 된 제형은? Clothianidin은 Neonicotinoid 계통의 살충제로서 넓은 살충범위와 다양한 적용작물 그리고 제형으로 만들기 쉬운 실용적인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다(Tomlin, 2009). 국내에서는 현재 액상수화제(Suspension Concentrate, SC), 입제(Granule, GR), 수용성입제(Soluble Granule, SG), 수화제(Wettable Powder, WP) 등이 상용화되어 있다 (KCPA, 2012). 국내 작물별 최대잔류허용량(Maximum Residue Limit, MRL)은 감 등 41개 농산물 또는 농산물 그룹에 기준이 설정되어 있다 (MFDS,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bero, L., Gaia, P., 1979. Enological consequence of the use of Ronilan in grape cultivation, Vini Italia. 21, 95-100. 

  2. Ebert, T.A., Taylor, R.A., Downer, R.A., Hall, F.R., 1999. Deposit structure and efficacy of pesticide application. 2: Trichplusia ni control on cabbage with fipronil, Pestic Sci. 55, 793-798. 

  3. Edwards, C.A., 1975. Factors that affect the persistence of pesticides in plants and soils, Pure Appl. Chem. 17, 39-56. 

  4. Fouque-Brouard, C.M., Foumier, J.M., 1996. Adsorptiondesorption and leaching of phenylurea herbicides on soils, Talanta 43, 1793-1802. 

  5. Garcia-Cazorla, J., Xirau-Vayreda, M., 1998. Monitoring degradation of dicarboximidic fungicide residue in soils, J. Agric. Food Chem. 46, 2845-2850. 

  6. Hamaker, J.W., Thompson, J.M., 1972. Adsorption, in: Goring, C.A.I., Hamaker, J.W. (Eds), Organic Chemicals in the Soil Environment , Marcel Dekker, Inc., NY, USA, pp. 49-143. 

  7. Hamaker, J.W., Goring, C.A.I., 1976. Turn over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 in: Kaufman, D.D. (Eds), Bound and conjugated pesticide residue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pp. 219-243. 

  8. Herbert, V.R., Miller, G.C., 1990. Depth dependence of direct and indirect photolysis on soil surfaces, J. Agric. Food Chem. 38, 913-918. 

  9. Hideki, U., Masato, K., Atsuo, A., Tokunori, Y., Koji, M., 2006. Discovery and development of a novel insecticide clothianidin, Sumitomo kagaku 2006-II , 1-14. 

  10. Hill, B.D., Inaba, D.J., 1990. Fate and persistence of residues on wheat used to explain efficacy differences between SC and EC formulations, Pesti. Sci. 29, 57-66. 

  11. Hong, F., Pehkonen, S., 1998. Hydrolysis of phorate using simul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Rates, mechanism, and product analysis, J. Agric. Food Chem. 46, 1192-1199. 

  12. Hwang, J.I., Jeon, Y.H., Kim, H.Y., Kim, J.H., Ahn, J.W., Kim, K.S., Yu, Y.M., Kim, J.E., 2011. Residue of fungicide boscalid in ginseng treated by different spraying methods, Korean J. Pestic. Sci. 15, 366-373. 

  13. Kim, J.B., Song, B.H., Chun, J.C., Im, G.J., Im, Y.B., 1997. Effect of sprayable formulations on pesticide adhesion and persistence in several crops, Korean J. Pestic. Sci. 1, 35-40. 

  14. Lee, E.Y., Noh, H.H., Park, Y.S., Kang, K.W., Lee, K.H., Lee, J.Y., Park, H.K., Yun, S.S., Jin, C.W., Han, S.K., Kyung, K.S., 2009. Residual characteristics of bifenthrin and imidacloprid in squash, Korean J. Pestic. Sci. 13, 79-86. 

  15. Lee, H.D., Kyung, K.S., Kwon, H.Y., Ihm, Y.B., Kim, J.B., Park, S.S., Kim, J.E., 2004. Residue characteristics of hexaconazole and chlorothalonil in several fruits, Korean J. Pestic. Sci. 8, 107-111. 

  16. Lee, H.D., Ihm, Y.B., Kwon, H.Y., Kim, J.B., Kyung, K.S., Kim, C.S., Oh, B.Y., Im, G.J., Kim, J.E., 2005. Dissipation pattern of pesticide sesidues in/on different varieties of lettuce applied with foliar spraying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Pestic. Sci. 9, 354-358. 

  17. Nilles, G.P., Zabik, M.J., 1974. Photochemisty of bioactive compounds. multiphase photodegradation of basalin, J. Agric. Food Chem. 22, 684-688. 

  18. Pramanik, S.K., Saha, P., Bhattacharyya, A., Dhuri, A.V., 2012. Studies on the fate of ready-mix formulation of endosulfan and cypermethrin in tea, Bull. Environ. Contam. Toxicol. 89, 1016-1020. 

  19. Ramesh, A., Balasubramanian, M., 1999. Kinetics and hydrolysis of fenamiphos, fipronil, and trifluralin in aqueous buffer solutions, J. Agric. Food Chem. 47, 3367-3371. 

  20. Tomlin, C.D.S., 2009. The Pesticide Manual, 229-230, 15th ed. British Crop Protection Council, USA. 

  21. You Y.h., Lee Y.s., Kwon H.j., 2011. Reduction Factors of Pesticides with Different Physicochemical Properties under Washing and Cooking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537-5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