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조사연구 보고 분석: STROBE 지침에 근거하여
Analysis of Reports on Observational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based on the STROBE Guideline 원문보기

KJWHN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20 no.4, 2014년, pp.287 - 296  

김수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정책연구소) ,  오현이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송주은 (아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명희 (세명대학교 간호학과) ,  안숙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주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전은미 (동의대학교 간호학과) ,  천숙희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reports on observational studie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 Methods: Forty-six studies using cross-sectional designs published in KJWHN from January 2011 to June 2013 were selected for analysis. 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조사연구를 STROBE 가이드라인에 따라 분석해 봄으로서, 조사연구 논문의 보고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함이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2%) 항목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목적이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의 보고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보고가 부족한 항목들을 위주로 논의하고자 한다.
  • 이러한 연구들에 이어, 여성건강간호학회 편집위원회에서는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연구의 표준보고지침인 STROBE guideline에 대해 소개하고, STROBE guideline에 따라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조사연구의 보고의 질을 분석하기 위한 논문 작업을 진행하고자 한다. STROBE guideline은 2004년에 방법론가, 연구가, 저널편집자를 중심으로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역학조사에서 주로 사용하는 세가지 연구설계인 코호트 연구(cohort study), 사례-대조군 연구(case-control study), 그리고 횡단적 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를 보고할때의 핵심적인 보고 항목과 내용에 대해 소개하고 있는 지침으로서[10,11], 관찰연구를 어떻게 보고해야 할지에 대한 안내를 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연구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외생변수와 가능한 오차 등에 대한 고려를 설계 단계 뿐 아니라 분석 및 보고 단계에서도 고려하도록 안내되어 있으며, 연구대상자 및 도구의 기술 등을 비롯한 조사연구의 전반에 걸쳐 보고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기준들이 소개되어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최근의 조사연구 논문을 STROBE 가이드라인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보고의 질과 투명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9%)으로 나타나 사실상 보고가 부족하였다. 조사연구는 인과관계를 추정하기에 제한적이나, 본 연구 분석을 위해 선정된 연구들의 다수에서 상관관계 연구나 회귀분석 연구 등을 통하여 변수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에서 연구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오차의 근원 등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없이는 연구결과를 신뢰하기 어려울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성건강간호학회 편집위원회에서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보고의 질을 분석하는 보다 질적인 시도를 한 이유는? 질적이고 투명한 연구의 보고는 과학적인 연구의 절차 못지 않게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9], 여성건강간호학회 편집위원회에서는 다양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표준보고 지침에 대한 회원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보고의 질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연차별로 순차적으로 연구방법론 별 표준보고지침에 근거하여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되는 논문의 보고의 질을 분석하는 보다 질적인 시도를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도에는 최근 10년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심층면접(in-depth interview)과 초점집단 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시행한 질적 연구 20편에 대해 COREQ guideline에 따라 보고의 질을 분석하여 보고하는 연구를 시행하였고[7], 2013년도에는 최근 5년 간 여성건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총 35편의 유사실험연구에 대해 TREND guideline에 따라 연구 보고의 질을 분석하는 연구를 시행한 바 있다[9].
EQUATOR란? 한편, 최근 논문보고의 투명성과 정확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으로서, Equator network을 통하여 연구방법론별 국제적 표준보고지침이 소개되고 있다. EQUATOR란 Enhancing the QUAlity and Transparency Of health Research의 주요 단어의 첫 자를 딴 약어로서, “건강 관련 연구의 질과 투명성의 증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Equator network 은 여러 방법론을 활용한 건강 관련 연구의 질과 투명성 증진을 위해 각 연구방법론별 표준보고양식을 탑재하여 소개하고 있는 하나의 자원센터(resource center)이다.
본 분석에서는 제목의 표현에서 조사, 비교, 요인 등의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설계가 조사연구임을 시사하는 경우에 ‘충분’으로 간주하였고 대다수의 논문들이 이를 충족한 것으로 분석한 이유는? 본 연구를 분석함에 있어 STROBE 지침의 항목 설명과 예 시[11]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적용이 모호하거나 부적절한 경우가 있어 연구자들이 여러 차례 토론 후 적용에 대한 합의점 도출이 요구되거나, 합의가 다소 어려운 문항들이 있었다. 예를 들면 Vandenbroucke 등은 연구설계를 반영하는 단어가 제목에 포함된 경우(항목 1a)를 충족요건으로 권고하고 있으나[11], 간호학에서는 관찰연구 중 코호트나 사례-대조군 연구는 미비하고 조사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므로, 제목에 일일이‘조사연구’라고 기술하거나, 특정한 연구설계를 지칭하는 단어를 제목에 넣는 경우는 현실적이지 못하다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분석에서는 제목의 표현에서 조사, 비교, 요인 등의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연구의 설계가 조사연구임을 시사하는 경우에 ‘충분’으로 간주하였고 대다수의 논문들이 이를 충족한 것으로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JI, Park SM, Park HS, Chung CW, Ahn SH. Analysis of published papers and their keyword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3-2006).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1):51-59. 

  2. Kim JI, Lee EH, Kang HS, Oh HE, Lee EJ, Jun EM, et al. Analysis of published papers by keywords and research method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2009).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307-316. 

  3. Chung CW, Kim JI, Park HS, Ahn SH, Cho DS, Park SM. Analysis on report of statistical testings for mean differenc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7;13(3):211-218. 

  4. Cho DS, Chung CW, Kim JI, Ahn SH, Park SM, Park HS. Analysis on report of statistical testing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8;14(3):213-221. 

  5. Lee EJ, Lee EH, Kim JI, Kang HS, Oh HE, Jun EM, et al. Analysis of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studies from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over the past three years (2007-2009).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2):187-194. 

  6. Jun EM, Lee EH, Kim JI, Kang HS, Oh HE, Lee EJ, et al. Analysis on report of statistical testings for mean differences in Article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1;17(4):388-394. 

  7. Lee EJ, Song JE, Kim M, Kim S, Jun EM, Ahn S, et al. Analysis on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321-332. 

  8. Kim MR, Kim MY, Kim SY, Hwang IH, Yoon YJ. The quality of reporting of cohort, case-control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12;33(2):79-88. 

  9. Kim MH, Cheon SH, Jun EM, Kim S, Song JE, Ahn SH, et al. The qualtity of reporting of intervention studies in th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JWHN): Based on the TREND guideline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4):306-317. 

  10. von Elm E, Altman DG, Egger M, Pocock SJ, Gotzsche PC, Vandenbroucke JP. The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stat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observational studies. Epidemiology. 2007;18(6):800-804. 

  11. Vandendroucke JP, von Elm E, Altman DG, Gotzsche PC, Mulrow CD, Pocock SJ, et al. Strengthening the reporting of observational studies in epidemiology (STROBE): Explanation and elabo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Epub 2014 July 

  12. da Costa BR, Cevallos M, Altman DG, Rutjes AW, Egger M. Uses and misuses of the STROBE statement: Bibliographic study. BMJ Open. 2011;1(1):e000048. 

  13. Moher D, Hopewell S, Schulz KF, Montori V, Gotzsche PC, Devereaux PJ, et al. CONSORT 2010 explanation and elaboration: Updated guidelines for reporting parallel group randomised trials.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 2012;10(1):28-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