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본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질적 연구의 분석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b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2 no.4, 2015년, pp.442 - 451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김영미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JKAFN). Methods: Twenty four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using in-depth inter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s published in JKAFN from 1994 to 2014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질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개인의 선입견을 완전히 배제하고 연구 진행하기가 어렵다. 그러므로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자의 특성을 분석한다[8]. 본 분석연구 총 24편에서 면담자에 대한 설명이 공동연구인 경우, 누가 면담을 하였는지 정확하게 기술되지 않았고, 15편의 연구는 연구자의 훈련과 교육 경험에 관한 설명 또한 없었다.
  • 본 연구는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 기본간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중 질적 연구 24편을 분석하여 향후 질적 연구의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기본간호학회지의 다양한 연구전략의 제고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고 본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 창간호부터 2014년까지 20년 동안 기본간호학회에 게재된 질적 연구 논문 24편을 COREQ에 따라 분석하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창간 후 20년 동안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본 학회지에 게재한 24편의 연구를 COREQ의 기본 틀에 따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의 수준 향상을 위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나아가 기본간호학회지 게재논문의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 후 체크리스트의 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분석 기준을 정하여 재분석하고, 재분석한 내용을 질적 연구를 수차례 수행한 경험이 있는 간호학 박사수료생 2명과 논의하였다. 최종적으로 확정된 결과를 분석기준에 따라 두 연구자가 다시 검토하고 논의하여 분석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적 연구란? 질적 연구는 인간이 살면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경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연구방법이다[11]. 그리고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과는 접근이 다르지만 양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지식을 개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5], 양적 연구로는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내기 어려운 행동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차이가 가져오는 다양한 지식체 규명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4].
양적 연구와 비교해 질적 연구의 특징은? 질적 연구는 인간이 살면서 겪는 경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경험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노력하는 연구방법이다[11]. 그리고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과는 접근이 다르지만 양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새로운 지식을 개발하고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5], 양적 연구로는 본질적인 의미를 찾아내기 어려운 행동적, 심리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의 차이가 가져오는 다양한 지식체 규명에 기여하는 바가 매우 크다[4]. 따라서 지난 20여 년 동안, 기본간호학회지에서 게재된 질적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평가를 보고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eong IS, Kang KS, Kim KH, Kim KS, Kim WO, Byun YS, et al. The research trends in fundamental nursing - Based on the analysis of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1;8(2):132-146. 

  2. Sohng KY, Kim JI, Choi DW, Kim AK, Chaung SK, Kim KH, et al.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 Based on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from 2001 to 2007.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8;15(3):262-273. 

  3. Kim KH, Chang SO, Kang HS, Kim KS, Kim JI, Kim HS, et al. Trends in research studi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9-2011.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2;19(3):383-391. 

  4. Kim YK, Hwang SY, Shin SJ.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published b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989-2011).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6):633-641. 

  5. Lee EJ, Song JE, Kim M, Kim S, Jun EM, Ahn S, et al. Analysis on reports of qualitative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2;18(4):321-332. http://dx.doi.org/10.4069/kjwhn.2012.18.4.321 

  6. Nam KA.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4;23(4):311-321. http://dx.doi.org/10.12934/jkpmhn.2014.23.4.311 

  7. Suh MS, Kim MH, Chon MY. The study on the experience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using grounded theor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996;3(1):128-140. 

  8. Tong A, Sainsbury P, Craig J. Consolidated criteria for reporting qualitative research (COREQ): A 32-item checklist for interviews and focus group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07;19(6):349-357. http://dx.doi.org/10.1093/intqhc/mzm042 

  9. Rao TS, Tharyan P. Editorial policies aimed at improving the transparency and validity of published research. Indian Journal of Psychiatry. 2011;53(3):183-186. http://dx.doi.org/10.4103/0019-5545.86793 

  10. Larson EL, Cortazal M. Publication guidelines need widespread adoption.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12;65(3):239-246.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11.07.008 

  11. Moon MD, Wolf LA, Baker K, Carman MJ, Clark PR, Henderson D, et al.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studies for use in the clinical setting.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3;39(5):508-510. http://dx.doi.org/10.1016/j.jen.2013.06.009 

  12. Hole E, Stubbs B, Roskell C, Soundy A. The patient's experience of the psychosocial process that influences identity following stroke rehabilitation: A metaethnography. Scientific World Journal. 2014;2014:1-13. http://dx.doi.org/10.1155/2014/349151 

  13. Prorok JC, Horgan S, Seitz DP. Health car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A meta-ethnographic analysis of qualitative studies. Canadian Medical Association Journal. 2013;185(14):E669-E680. http://dx.doi.org/10.1503/cmaj.121795 

  14. Poikkeus T, Numminen O, Suhonen R, Leino-Kilpi H. A mixed-method systematic review: Support for ethical competence of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4;70(2):256-271. http://dx.doi.org/10.1111/jan.12213 

  15. Meadows LM, Morse JM. Constructing evidence within the qualitative project. In: Morse JM, Swanson JM, Kuzel AJ, Nature of Qualitative Evidence. Thousand Oaks, CA: Sage; 2001. p. 187-200. 

  16. Morse JM, Hutchinson SA, Penrod J. From theory to practice: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guides from qualitatively derived theo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998;8(3):329-340. http://dx.doi.org/10.1177/104973239800800304 

  17.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6;8(3):27-37. http://dx.doi.org/10.1097/00012272-198604000-00005 

  18. Guba EG, Lincoln YS. Fourth generation evaluation. Sage, 1989. 

  19. Kwon YJ, Ryu, JY. An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trends published in nine major Korea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s from 2007 to 2012.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013;33(2):191-212. http://dx.doi.org/10.18023/kjece.2013.33.2.009 

  20. John W. Creswell, Qualitative nursing & research design. 2nd ed. Cho HS, Jeong SW, Kim JS, Kwon JS, translator. Seoul: Hakjisa; 2014. p. 181-182. 

  21. Lim S. An analysis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e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ology of Spor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ports Policy. 2004;17(3):253-267. 

  22. Park CW.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during hemodialysis.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2009;28(4):385-390. 

  23. Fossey E, Harvey C, McDermott F, Davidson L.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qualitative research.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2002;36(6):717-732. 

  24. Park HS, Kim KN, Kang EH, Lee JM, Park SM. Lived adaptation experiences of new ICU nurses who are working in a newly established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1;18(2):226-2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