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물다양성 특집원고에 대하여
On the Special Section on Biodiversit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2 no.4, 2014년, pp.395 - 396  

이상욱 (한양대학교 철학과) ,  이원철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note provides an overview of the three succeeding scientific papers, which gives an insight about the multidisciplinary studies and opinion on Biodiversity. These three papers are based on the seminar series of biodiversity organized by the department of life science, Hanyang Univers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저자는 생물특허에 대한 강조가 생물학에 국한된 현상이라기보다는 20세기 대학, 특히 미국대학의 상업화 과정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과,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려는 대학 당국의 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방정부의 제도적 대응이 어떻게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연구를 변화시켰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의 문제를 누가 유전정보를 소유할 수 있는지의 문제와 그 문제에 대한 특정 판단이 어떻게 공공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선택과 연관됨을 보여준다.
  • 이번 특집호는 2011년부터 2013년까지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에서 생물다양성에 관한 다양한 분야 연구자들의 세미나가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도출된 내용을 일부 정리하여 꾸미게 되었다. 생물다양성의 여러 측면을 다룬 과학기술학, 과학사, 해양생물학자의 글을 함께 엮어 생물다양성의 중측적 의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 한다.
  • 특히 저자는 현재 생물학자들이 공유하는 생물다양성 개념이 역사적으로는 어떤 연구 방법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현재 우리에게 익숙한 형태로 형성되어 왔음을 설명한다. 이 논문은 이처럼 생물다양성 논의의 역사적 맥락을 드러내 보여줌으로써 우리가 현재 가진 생물다양성 개념이 얼마나 생물학자들의 연구 관행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그러한 연구 관행이 어떻게 인종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처럼 통상적인 과학의 경계 바깥의 쟁점과 연결되어 왔는지를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92년 생물다양성 협약 체결 후 국제적 정세는 어떠했는가? 그 전에도 생물학적 다양성에 대한 생태학적 고찰이나 경제학적 분석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유전학의 발전과 생물학 연구 결과의 상업화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생물다양성은 전통적으로 강조되던 종(species) 다양성을 넘어 분자생물학 수준의 다양성까지 포괄하는 다층적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특히 유엔이 주도하여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92년 생물다양성 협약이 체결되고 난 다음에는, 국제적으로 여러 나라들이 협약의 구체적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이 나고야 의정서 등의 형태로 마련되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생물다양성의 함의나 그 중요성은 생물학의 경계를 넘어서 국제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영역까지 미치게 되었다.
생물다양성이 전통적으로 강조되던 종 다양성을 넘어 다층적 의미를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생물다양성(biodiversity)은 생물학적 다양성(biological diversity)의 줄임말로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개념이다. 그 전에도 생물학적 다양성에 대한 생태학적 고찰이나 경제학적 분석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유전학의 발전과 생물학 연구 결과의 상업화 과정에서 유전적 다양성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생물다양성은 전통적으로 강조되던 종(species) 다양성을 넘어 분자생물학 수준의 다양성까지 포괄하는 다층적 의미를 획득하게 되었다. 특히 유엔이 주도하여 생물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1992년 생물다양성 협약이 체결되고 난 다음에는, 국제적으로 여러 나라들이 협약의 구체적 내용을 실현하기 위한 여러 제도적 장치들이 나고야 의정서 등의 형태로 마련되고 있다.
Yi 2014의 생물 특허의 역사를 다룬 논문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내용은 무엇인가? 다음 논문(Yi 2014)은 최근 생물다양성 논의에서 빠짐없이 등장하는 생물 특허의 역사를 다룬다. 특히 저자는 생물특허에 대한 강조가 생물학에 국한된 현상이라기보다는 20세기 대학, 특히 미국대학의 상업화 과정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과,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려는 대학 당국의 노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연방정부의 제도적 대응이 어떻게 대학 내에서 이루어지는 과학 연구를 변화시켰는지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생물다양성과 관련된 지적 재산권의 문제를 누가 유전정보를 소유할 수 있는지의 문제와 그 문제에 대한 특정 판단이 어떻게 공공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책적 선택과 연관됨을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

  1. Back J and K Lee. 2014. The Present of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aritime agenda. Korean J. Environ. Biol. 32:397-402. 

  2. Hyun J. 2014. Changing Methodologies and Reshaping Concepts in Biodiversity Science: A Historical Review of Research on Human Genetic Diversity. Korean J. Environ. Biol. 32:413-425. 

  3. Yi D. 2014. The Commercialization of Academic Research in the Context of Shifting Intellectual Property Regimes in the Twentieth Century. Korean J. Environ. Biol. 32:403-4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