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의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lf Efficacy, Social Support and Sense of Community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Middle-aged and Elderly Residents Living in a Rural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608 - 616  

이현경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조성혜 (연세대학교 간호대학.간호정책연구소) ,  김정희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  김윤경 (마산대학교 간호학과) ,  추향임 (정배보건진료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clud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n HRQo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with a conven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 지역 주민들을 조직화하고 상호지지 체계를 확립하는 한편, 운영협의회와 마을 건강원과 같은 지역 내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자원봉사단체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같은 민간과 공공의 자원을 연계하여, 지역 주민들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중재는 보건진료소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의 다양한 조직과 공동체 활동을 연계한 주민참여형 프로그램으로 기획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및 사회환경적 요인들의 직 · 간접적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주요 인구 집단인 중년과 노인 주민들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직 · 간접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중년과 노인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횡단적 설문 조사를 이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진료소 기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단계에서 시행된 것으로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내 중년과 노인 집단이 가장 높은 비율(65%)을 차지하고 있고[16], 생애주기별 인구 집단에 맞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의 기대효과를 고려하여 40세 이상 인구를 우선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K지역 A군 일개 보건진료소 최 근접 지역(반경 3.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지역의 중년과 노인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고, 심리적 및 사회적 환경 요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확인하고, 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의 심리적인 요인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같은 사회환경적 요인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직 · 간접적 효과를 규명하고자 한다.
  • 2013-0050-1), 자료 수집은 2013년 12월 2일부터 2013년 12월 27일까지 이루어졌다. 지역사회 운영위원회에서 보건진료소를 중심으로 한 생애주기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건강수준과 건강행태의 파악이 필요함을 공유하고 기초자료 수집을 계획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지역의 보건의료 환경은 어떠한가? 농촌지역의 보건의료 환경을 살펴보면 여전히 도시에 비해 보건의료 자원이 제한적이고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낮으며, 농촌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이 도시 주민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3].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통해 목표하는 바와 같이 국민의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해서는 도시와 농촌지역 간 산재되어 있는 건강격차를 해소하고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농촌지역의 노인인구 증가와 외부인구 유입이라는 특징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농촌지역 인구의 또 하나의 특징은 최근 귀농민과 외국인 이주자 등의 유입으로 토착민 위주의 농촌 지역사회의 인구구조가 변모해 가고 있다는 것이다[2]. 노인인구 증가와 외부인구의 유입은 농촌 지역사회의 유용한 건강자원인 주민들 간의 상호지지와 공동체의식에 변화를 가져옴을 시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현상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주목된다.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통해 목표하는 바와 같이 국민의 건강형평성 제고를 위해서는 도시와 농촌지역 간 산재되어 있는 건강격차를 해소하고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개인의 삶의 목적, 기대, 기준 및 관심사와 관련을 맺고 있는 건강체제 속에서 삶에 대한 지각으로, 개인의 건강상태 또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인식 등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아 느끼게 되는 주관적인 삶의 질을 의미한다[4]. 건강관련 삶의 질의 측정은 대상자의 건강상태나 안녕상태 평가에 유용하고 건강서비스 요구에 대한 규명이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계획과 보건정책 수립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어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tatistics Korea. Population census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0 [cited 2014 January 3].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IN1002&conn_pathI2. 

  2. Roh JS, Jung JH, Jeon JY. Returning farmers and the aging of farm households: Prospects of changes in rural population by their influx.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3;19(4):203-212. http://dx.doi.org/10.7851/ksrp.2013.19.4.203 

  3. Sok S, Kim KB.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life between urban and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311-321. 

  4. Zack MM, Moriarty DG, Stroup DF, Ford ES, Mokdad AH. Worsening trends in adult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elf-rated health-United States, 1993-2001. Public Health Reports. 2004;119(5):493-505. 

  5. Kim SY, Sohn S. Factors related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rural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2;14(2):91-98. 

  6. Glanz K, Rimer BK, Viswanath K, editors. Health behavior and health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4th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008. 

  7. Jeon S, Shin H. Effect of social support on QoL of widowed elderly women: Mediation effect of physical-cognitive func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87-101. 

  8. Zhang S, Edwards H, Yates P, Li C, Guo Q.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family caregivers for dementia patients in Shanghai.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014;37(1-2):34-44. http://dx.doi.org/10.1159/000351865 

  9. Kim JI. Level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EQ-5D)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vulnerable elders receiving home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some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3;24(1):99-109. http://dx.doi.org/10.12799/jkachn.2013.24.1.99 

  10. McMillan DW, Chavis DM.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986;14(1):6-23. http://dx.doi.org/10.1002/1520-6629(198601)14:1 3.0.co;2-i 

  11. Pretty G, Bishop B, Fisher A, Sonn C.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and its relevance to well-being and everyday life in Australia. The Australian Community Psychologist. 2007;19(2):6-25. 

  12. Shields M. Community belonging and self-perceived health. Health Reports. 2008;19(2):51-60. 

  13. Gattino S, De Piccoli N, Fassio O, Rollero C. Quality of life and sense of community: A study on health and place of resid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13;41(7):811-826. http://dx.doi.org/10.1002/jcop.21575 

  14. Kraithaworn P, Sirapo-ngam Y, Piaseu N, Nityasuddhi D, Gretebeck KA. Factors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among older Thais living in low socioeconomic urban communities. Pacific Rim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011;15(1):39-56. 

  15. Vieno A, Santinello M, Pastore M, Perkins DD. Social support, sense of community in school, and self-efficacy as resources during early adolescence: An integrative model.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007;39(1-2):177-190. http://dx.doi.org/10.1007/s10464-007-9095-2 

  16. Yangpyeong-gun. The 2013 Yangpyeong statistical yearbook [Internet]. Gyeonggi-do: Yangpyeong County Office; 2012 [cited 2012 December 31]. Available from: http://www.yp21.net/board/view.yangpyeong?boardIdBBS_0000066&menuCdDOM_000000134007005000&startPage1&dataSid58273 

  17. EuroQol Group. EQ-5D-3L(Korean version for Korea) [internet]. Netherlands: EuroQol Group; 2003[cited 2013 November 13]. Available from: http://www.euroqol.org/eq-5d-products/how-to-obtain-eq-5d.html 

  18. Lee YK, Nam HS, Chuang LH, Kim KY, Yang HK, Kwon IS, et al. South Korean time trade-off values for EQ-5D health states: Modeling with observed values for 101 health states. Value in Health. 2009;12(8):1187-1193. http://dx.doi.org/10.1111/j.1524-4733.2009.00579.x 

  19. Lee SI. Validity and reliability evaluation for EQ-5D in Korea [Internet]. Chungcheongbuk-do: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cited 2012 December 31].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info/CdcKrInfo0201.jsp?menuIds HOME001-MNU1155-MNU1083-MNU1375-MNU0025&cid1742 

  20. Schwarzer R, Jerusalem M. Generalized self-efficacy scale. In: Weinman J, Wright S, Johnston M, editors. Measures in health psychology: A user's portfolio Causal and control beliefs. Windsor, UK: NFER-NELSON; 1995. p. 35-37. 

  21. Schwarzer R, Born A, Iwawaki S, Lee YM, Saito E, Yue S. The assessment of optimistic self-beliefs: Comparison of the Chinese, Indonesian, Japanese, and Korean versions of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 Psychologia: An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in the Orient. 1997;40(1): 1-13. 

  22. Park JW.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 1985. p. 127. 

  23. Kim YS.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mong adults with mental disorder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5. p. 86. 

  24. Shin YS. A study on sense of community for rural village residents: Focused on deduction of sense of community index and analysis of formation factor of sense of community [dissertation].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2. p. 167. 

  25. Gallagher R, Donoghue J, Chenoweth L, Stein-Parbury J. Self-management in older patients with chronic ill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2008;14(5):373-382. http://dx.doi.org/10.1111/j.1440-172X.2008.00709.x 

  26. Farrell K, Wicks MN, Martin JC. Chronic disease self-management improved with enhanced self-efficacy.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4;13(4):289-308. http://dx.doi.org/10.1177/1054773804267878 

  27. Lee HH. A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ing factors on sense of community of the elderly people i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005;28:231-254. 

  28. Sung HJ, Lee GH. The impact of rural residents' social participation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exclusive attitude toward outgroup. Journal of Institute for Social Sciences. 2013;24(4):315-332. 

  29. Chang HK.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2;24(4):339-3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