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빈곤노인의 영양상태와 영양불량 위험 요인
Nutritional Status and Risk Factors for Malnutrition in Low-income Urban Elde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4 no.6, 2014년, pp.708 - 716  

현혜순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  이인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urban elders by diversified ways, and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malnutri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3 low-income elders registered at a visiting healthcare facility in a public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다각적인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빈곤노인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관련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영양불량을 예방하고 중재전략을 마련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간호학적 접근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빈곤노인의 영양상태를 다각적요소를 포함하여 평가하고,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빈곤노인의 신체적 기능상태와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식욕부진, 우울 등의 건강수준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 등의 식이 관련 요인에 따른 차이가 있으며, 연령과 성별을 통제한 결과, 영양상태에 차이를 나타낸 변수들 중 최종적으로 식욕부진과 식사준비에 대한 어려움이 빈곤노인의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빈곤노인의 식욕부진과 식사준비의 어려움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도시 빈곤노인의 영양상태를 신체계측 등의 다각적 요소를 포함한 간이 영양상태조사지(MNA)를 통해 평가하였고, 영양 불량 위험요인을 포괄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빈곤노인의 영양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중재방안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도시 빈곤노인을 위한 지역사회의 효과적인 중재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빈곤노인을 초점집단으로 하여 영양상태를 다각적으로 확인하고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포괄적 관점에서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문헌고찰을 통해 인구학적 요인, 건강관련 요인, 식이관련 요인을 독립변수로 하고 영양상태를 종속변수로 하는 개념적 기틀을 구성하여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지역사회 빈곤노인의 영양불량은 흔히 나타나는 문제로 건강 및 식이 관련 요인과 연관되어 나타나며, 식욕부진과 식사준비의 어려움 등은 영양불량을 초래하는 강력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도시 빈곤노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고, 영양불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단면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빈곤노인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영양불량 위험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빈곤노인의 영양관리 중재개발 및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에서의 불충분한 영양소의 섭취가 체중감소로 이어지면 인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노인에서의 불충분한 영양소의 섭취는 노인의 의존성을 증가시켜 돌봄의 요구를 증가시키며[2], 허약[2], 삶의 질 저하[3], 시설 입원율 증가[4] 등의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체중감소가 있을 때 고관절 골절 및 입원율이 증가하며, 사망위험이 2배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이러한 체중 감소는 노화로 인해 흔히 나타나는 영양불량 증상이며, 에너지와 식욕은 나이가 듦에 따라 잘 변화하기 때문에 노년기의 체중감소는 젊은 성인과는 달리 반드시 회복되는 것은 아니다[1]. 그러나 이러한 현상들을 노화로 인한 불가피하거나 불가역적인 현상으로 간과하지 말고 노화로 인한 영양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면 영양불량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1].
노인건강관리를 담당하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능력은? 그러나 이러한 현상들을 노화로 인한 불가피하거나 불가역적인 현상으로 간과하지 말고 노화로 인한 영양위험요인을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면 영양불량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1]. 특히, 노인영양 분야는 간호사가 주도하고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다차원적인 영역의 문제이며, 노인건강관리를 담당하는 간호사는노인의 영양불량과 관련요인에 대해 인식하고,영양불량을 조기에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전문적인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6].
노인에게 영양이 중요한 이유는? 영양은 노인의 기능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영양 불량 상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노인에서의 영양불량이 건강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는 연구[1-5]가 보고되고 있어 노인 보건에서 영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ickson M. Malnutrition and ageing. Postgraduate Medical Journal. 2006;82(963):2-8. http://dx.doi.org/10.1136/pgmj.2005.037564 

  2. Kaiser MJ, Bandinelli S, Lunenfeld B. The nutritional pattern of frailty - Proceedings from the 5th Italian Congress of Endocrinology of Aging, Parma, Italy, 27-28 March 2009. The Aging Male. 2009;12(4):87-94. http://dx.doi.org/10.3109/13685530903296706 

  3. Odlund Olin A, Koochek A, Ljungqvist O, Cederholm T. Nutritional status, well-being and functional ability in frail elderly service flat resident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5;59(2):263-270. http://dx.doi.org/10.1038/sj.ejcn.1602067 

  4. Ahmed T, Haboubi N.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nutrition in older people and its importance to health.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2010;5:207-216. 

  5. Morley JE.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Family Practice. 2012;29 Suppl 1:i89-i93. http://dx.doi.org/10.1093/fampra/cmr054 

  6. Chen CC, Schilling LS, Lyder CH. A concept analysis of malnutrition in the elderl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1;36(1):131-142. 

  7. Kaiser MJ, Bauer JM, Ramsch C, Uter W, Guigoz Y, Cederholm T, et al. Frequency of malnutrition in older adults: A multinational perspective using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2010;58(9):1734-173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016.x 

  8. Iizaka S, Tadaka E, Sanada H. Comprehensive assessment of nutritional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in the healthy, community-dwelling elderly. 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2008;8(1):24-31. http://dx.doi.org/10.1111/j.1447-0594.2008.00443.x 

  9. Han Y, Li S, Zheng Y. Predictors of nutritional status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in Wuhan, China. Public Health Nutrition. 2009;12(8):1189-1196. http://dx.doi.org/10.1017/s1368980008003686 

  10. Johansson L, Sidenvall B, Malmberg B, Christensson L. Who will become malnourished? A prospective study of factors associated with malnutrition in older persons living at home.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09;13(10):855-861. 

  1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12. Kim SH, Kwon SC. Nutritional status among elderly Korean women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1):16-24. 

  13. Han HJ, Kim NC. Mini nutritional assessment of elders in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07;9(1):22-28. 

  14. Yang SJ. Nutritional risk and its contributing factors in the low-income elderly in urban area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005;16(4):392-403. 

  15. Kang Y, Kim M, Lee E.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8;38(1):122-130. http://dx.doi.org/10.4040/jkan.2008.38.1.122 

  16. Posner BM, Jette AM, Smith KW, Miller DR. Nutrition and health risks in the elderly: The nutrition screening initiativ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3;83(7):972-978. 

  17. Chen LK, Lin MH, Hwang SJ, Wang P, Chwang LC. Nutritional status and clinical outcomes among institutionalized elderly Chinese in Taiwa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2007;44(3):315-323. http://dx.doi.org/10.1016/j.archger.2006.07.002 

  18. Statistics Korea. Elderly statistics 2011.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19. Yim KS, Lee TY.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Nutrition. 2004;37(3):210-222. 

  20. Hsieh FY, Bloch DA, Larsen MD. A simple method of sample size calculation for linear and logistic regression. Statistics in Medicine. 1998;17(14):1623-1634. 

  21. Park S, Park YH.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in Korean older adults: Distin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2):191-20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2.191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2 family health program guidelines.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23. Landi F, Liperoti R, Russo A, Giovannini S, Tosato M, Barillaro C, et al. Association of anorexia with sarcopenia in a community-dwelling elderl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ilSIRENTE study. European Journal of Nutrition. 2013;52(3):1261-1268. http://dx.doi.org/10.1007/s00394-012-0437-y 

  24. Guigoz Y, Vellas B, Garry PJ. Assess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The Mini Nutritional Assessment as part of the geriatric evaluation. Nutrition Reviews. 1996;54(1 Pt 2):S59-S65. 

  25. Lee GS. Nutritional evaluation by using 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and relating factors of postoperative recovery for elderly in gastric cancer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4. 

  26. Phillips MB, Foley AL, Barnard R, Isenring EA, Miller MD. Nutritional screening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sia Pacific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0;19(3):440-449. 

  27. Kwon SC, Choe MA, Kim KS, Yi MS, Suh E, Suh M. Nutritional status, nutrients intakes, and health status of young-old and old-old homebound elderly in Korea.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2;14(3):183-192. http://dx.doi.org/10.7586/jkbns.2012.14.3.183 

  28. Landi F, Russo A, Liperoti R, Tosato M, Barillaro C, Pahor M, et al. Anorexia, physical function, and incident disability among the frail elderly population: Results from the ilSIRENTE study.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2010;11(4):268-274. http://dx.doi.org/10.1016/j.jamda.2009.12.088 

  29. Donini LM, Dominguez LJ, Barbagallo M, Savina C, Castellaneta E, Cucinotta D, et al. Senile anorexia in different geriatric settings in Italy.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2011;15(9):775-781. 

  30. Lee SG, Jeon SY, Lee JY. Factors related with low body weight in older adults at a urban-rural composite area.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08;28(1):105-121. 

  31. Han SJ, Kim HK, Storfjell J, Kim MJ. Clinical outcomes and quality of life of home health care patients. Asian Nursing Research. 2013;7(2):53-60. http://dx.doi.org/10.1016/j.anr.2013.03.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