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거노인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사회참여의 매개효과 분석
The Role of Poverty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6, 2020년, pp.520 - 526  

원서진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거노인이 경험하는 빈곤이 이들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6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2차자료 분석하였으며, 최종 모형에 포함된 연구대상은 60세 이상 독거노인 1,093명이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빈곤, 사회참여,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상호관계를 분석하고자 STATA 15.0을 이용하여 각 경로에 대해 표준화된 계수를 구하고, 효과분해를 통해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빈곤은 독거노인의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쳐, 빈곤독거노인이 비빈곤독거노인보다 우울감은 더 느끼고, 건강상태는 더 나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사회참여활동 중 종교모임, 친목모임, 여가문화스포츠모임에 활발히 참여하는 독거노인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우울감이 낮았다. 종교모임, 친목모임, 동창회모임의 참여도가 높은 독거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참여도가 낮은 독거노인에 비해 좋았다. 친목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우울,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매개하였으며, 동창회모임의 참여도는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하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사회참여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address the effect of poverty on depression and self-rated health in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articipation on the poverty-depression and poverty-self-rated health relationships. The researcher conducted...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빈곤과 우울, 그리고 빈곤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제적 어려움이 독거노인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위협함을 지적하고, 활발한 사회참여를 통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의 유지를 위한 제언을 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더욱이 독거노인의 빈곤과 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관계에서 사회참여의 영향을 파악한 논문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빈곤이 우울과 주관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사회참여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모형은 Fig.

가설 설정

  • 첫째, 독거노인의 빈곤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의 비율은? 우리나라의 노인인구는 2000년에 전체인구의 7%를 차지하여 고령화사회로 접어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에는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전체인구의 14%를 넘어 고령사회에 진입하였다[1].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배우자나 자녀 등과 함께 거주하지 않고 혼자 살고 있는 독거노인 역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노인의 정신건강문제가 중요한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근 우울을 경험하는 노인의 비율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증가하고 있어[15], 노인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문제는 빈곤문제와 더불어 중요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2017년에 우울증으로 병원진료를 받은 환자들의 40%이상이 60세 이상 노인으로 나타났는데[16], 이 중에서도 독거노인들은 다른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에 비해 우울에 더욱 취약하여[17], 배우자와 살고 있는 노인의 16.
독거노인의 빈곤의 특징은? 7%에 달해 다른 연령층에 비해 높은 빈곤률을 보인다[11]. 이 중에서도 독거노인은 가족과 동거하는 노인에 비해 가족으로부터의 경제사회적 지원도 약하고, 지역사회 관계망이 적어 공적서비스에 대한 정보접근도 어려워, 더욱 더 빈곤에 취약하게 된다[11]. 이러한 독거노인의 빈곤과 사회연결망의 취약성은 이들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는 요인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tatistics Korea. Statistics of Older Adults [Internet].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Mar. 22, 2020) 

  2. Statistics Korea. 2019 Korean Elderly Statistics [Internet]. Statistics Korea,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accessed Mar. 6, 2020) 

  3. C. Chae, S. Lee, C. Park, B. Kim, C. Lee, S. Lee, D. Lee, J. Seo, I. An, J. Choi, B. Cha,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Chronic Medical Condition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a Rural Commun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Vol.24, No.3, pp.184-193, 2018. DOI: https://doi.org/10.22802/jksbtp.2018.24.3.184 

  4. S. Jeong, J. Bae, "Rural Area One-Person Household Elderly Depression Factors by Gender and Age Group," Journal of Regional Studies, Vol.25, No.3, pp.153-174, 2017. 

  5. E. Kim, "Comparison of the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of the Female Elderly Living Alone by Reg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24, No.6, pp.811-827, 2015. DOI: https://doi.org/10.5934/kjhe.2015.24.6.811 

  6. A. H. Chou, Y. Ho, I. Chi, "Living Alone and Depression in Chinese Older Adults," Ageing & Mental Health, Vol.10, No.6, pp.583-591, 2006. DOI: https://doi.org/10.1080/13607860600641150 

  7. S. Y. Park, "The Effects of Health-Related Factors and Social Networks on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Men and Wom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8, No.1, pp.154-190, 2018. DOI: https://doi.org/10.15709/hswr.2018.38.1.154 

  8. H. R. Kim, E. H. Kim,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Living Alone and Elderly Living with Oth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6, No.1, pp.463-477, 2014. 

  9. J. N. Sohn,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icidal Ideation in Elderly People Who Live Alone or Live with Family," Korean Academy of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 21, No.2, pp.118-126, 2012. 

  10. J. Oh, B. Jung, "Comparison Analysis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According to Their Family Statu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6,"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24, No.4, pp.309-320, 2019. 

  11. H. Kwon,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cial Isolation and Pover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6, No.3, pp.135-160, 2019. 

  12. S. Y. Lee, E. J. Kim, "The Social Support Patterns and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ir Friends and Neighbor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56, pp.137-164, 2012. DOI: https://doi.org/10.21194/kjgsw.56.201206.137 

  13. Y. Choi, "Economic and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Vol.24, No.4, pp.103-123, 2008. 

  14. S. Won, H. Kim, "Social Participation, Health-Related Behavior, and Depression of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Korea,"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4, pp.61-71, 2020. DOI: https://doi.org/10.1111/aswp.12193 

  15. S. Jung, "The Influence of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Income and Subjective Class Consciousnes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Vol.74, No.1, pp.115-139, 2019. DOI: https://doi.org/10.21194/kjgsw.74.1.201903.115 

  16. G. Lee. The Cold of Heart, Depression: Most Frequently Occurred among Those over 70years Old [Internet]. Health Chosun, Available From: http://health.chosun.com (accessed Jan. 12, 2020) 

  17. M. S. Lee, H. J. Song, B. Y. Kim, "Association between Physical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s, and Subjective Depression among Single-Person Household,"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35, No.2, pp.61-71, 2018. DOI: https://doi.org/10.14367/kjhep.2018.35.2.61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7 Older Adults Facts [Interne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 (accessed Dec. 20, 2019) 

  19. S. T. Stahl, S. R. Beach, D. Musa, R. Schulz, "Living Alone and Depression: The Modifying Role of the Perceived Neighborhood Environment," Ageing & Mental Health, Vol.21, No.10, pp.1065-1071, 2017. DOI: https://doi.org/10.1080/13607863.2016.1191060 

  20. H. Xiu-Ying, C. Qian, P. Xiao-Dong, Z. Xue-Mei, H. Chang-Quan, "Living Arrangements and Risks for Late Life Depression: A Meta-Analysis of Published Literatur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iatry in Medicine, Vol.43, No.1, pp.19-34, 2012. DOI: https://doi.org/10.2190/PM.43.1.b 

  21. Y. Ko, Y. Cho, "Different Influence of Risk Factors on Self-Rated Health between the Economically Poor and Non-Poor Elderly Population Living Alone: Based on One Sub-Area in Seoul,"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30, No.2, pp.41-53, 2013. 

  22. J. H. Yeom, "A Comparison Study of Self-Rated Health Rrajectory between Urban and Rural Older Adult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The Journal of Rural Society, Vol.23, No.1, pp.193-239, 2013. 

  23. J. Kim, S. Won, "The Impact of Late-Life Poverty on Self-Rated Health: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Health Behaviors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31, No.3, pp.463-478, 2011. 

  24. S. L. Kim, K. H. Ju, S. D. Jung, "The Effects of Income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65, pp.103-136, 2018. DOI: https://doi.org/10.15300/jcw.2018.65.2.103 

  25. I. U. Song, S. Won, "Effect of Income on Depression of Korean Babyboomers: Testing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According to Gende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9, No.7, pp.587-597, 201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587 

  26. Y. R. Lee, S. J. Lee, "Factors Influencing the Asset and the Income Poverty of the Elderly: Focusing on 'Baby Boomers' and 'Liberation and Korean War Generatio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57, No.2, pp.111-157, 2018. DOI: https://doi.org/10.22418/JSS.2018.12.57.2.111 

  27.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2019 User's Guide," Eumseong, Korea: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pp.1-2, 2019. 

  28. L. Hu,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Vol.6, No.1, pp.1-55, 1999. DOI: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29. S. Lee. Poor Elderly, A Country of Poor Policy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hani.co.kr (accessed Apr. 19, 2020) 

  30. I. Koo. We Need to Expand Public Assistance [Internet]. Available From: http://www.hani.co.kr (accessed Apr. 19,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