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학습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 분석
An Analysi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in the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via Teacher Learning Commun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7 no.3, 2014년, pp.189 - 203  

선우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방정숙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들의 지속적인 수업전문성 신장을 도모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최근 수학 교사교육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를 주목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현장에서 운영되고 있는 교사학습공동체 사례를 분석하여 교사학습 공동체를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수학 수업연구의 긍정적인 측면과 한계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수학 교과 관련 지식의 신장, 교사로서의 성취감 및 동료 교사와의 친밀감 증진, 동료 교사들 간의 상호교수, 지속적인 수업연구 시스템 정착을 통한 탐구적인 교사 문화의 형성이 긍정적인 측면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 내 자체 규범에 의한 제한, 경력교사의 영향력에 의한 제한,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비전문성, 수업평가 및 반성에 대한 체계성 부족이 한계점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학습공동체 기반 수학 수업 연구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resulting from a study of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among in-service teachers and to discus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study o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s based on teacher learning community. Th...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학습공동체, 전문가 학습공동체, 전문가공동체가 가진 공통된 속성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들을 통하여 교사학습공동체, 전문가 학습공동체, 전문가공동체는 모두 교사들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실천적 지식을 창출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전문성 신장과 학생들의 학습능력 신장을 지향한다는 공통된 속성을 알 수 있다. 반면 여러 관련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교사학습공동체, 전문가학습 공동체, 전문가공동체 개념들 사이의 큰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특징적인 차이는 공동체 구성원의 차이 정도라는 점을 확인하였다(김대훈, 2014; 김송자, 맹재숙, 박수정, 2013; 서경혜, 2009).
교사교육의 한계점으로 무엇이 지적되고 있는가? 이에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졌으나, 그에 대한 실효성 여부는 계속 논란이 되어 왔다. 많은 연구에서 교사교육에서 제공하는 지식이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에 실제적인 도움이 되는 못한다고 비판하거나 (Corcoran, 1995; Kennedy, 1999) 단순히 지식을 전달하는 형태의 교사교육이 교사들의 교수 신념이나 관행 (practice) 등을 변화시키지 못한다고 지적하고 있기 때문이다(Greenberg & Baron, 2000). 이러한 비판은 최근 국내 수학 교사 연수에 관한 실태조사에서도 드러난다(박경미, 정영옥, 김화경, 김동원, 최수일, 최지 선, 2010; 윤열현, 2012).
교사학습공동체가 기존의 교사교육 지원 프로그램들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효과적인 이유는? 교사학습공동체는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 위에 언급된 기존의 교사교육 지원 프로그램들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효과적이다. 첫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의 능동적인 참여를 기반으로 실제 현장에서 운영되기 때문에 교사의 실천적 지식 신장에 효과적이다. 이는 최근 수학 교사교육에서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제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흐름(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형미, 2014; 이경화, 나귀수, 권나영, 김동원, 이환철, 이동환외, 2012)과도 일맥상통한다. 둘째 교사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지속적인 참여를 가능케 한다. 지속성은 교사의 수업 관행을 변화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써(Smylie, 1988; Pang, 2012), 장학이나 컨설팅 또는 일반 연수가 일회성으로 끝나는데 반해 교사학습공동체는 장기적으로 운영되어 교사들의 수업 개선에 효과적이다. 이와 관련하여 Lampert(2001)는 동료 교사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교사들의 지속적인 수업 개선의 가능성을 주장하였으며, NCTM(2007)에서는 교사들이 지속적인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권나영.이은정.박미미.박진형 (2012).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고찰: 국외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사례를 바탕으로. 수학교육학연구, 22(3), 387-400. Kwan N. Y., Lee E. J., Park M. M., & Park J. H. (2012). A Study on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mathematics teachers: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in foreign countr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3), 387-400. 

  2. 권오남.박정숙.박지현.조형미 (2014). 공동체 단위 수학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수학 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3(2), 201-217. Gwan O. N., Park J. S., Park J. H., & Jo H. M. (2014). Designing and implemen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of multi-tired teacher commun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53(2), 201-217. 

  3. 김대훈 (2014).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지리교사 전문성 발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im D. H. (2014). Professional development of geography teachers through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y. A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4. 김송자.맹재숙.박수정 (2013). 초등학교 교사학습공 동체 운영 사례 연구. 교육연구논총, 34(1), 227-247. Kim S. J., Maeng J. S., & Park S. J. (2013). A case study on the learning communit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4(1), 227-247. 

  5. 나귀수 (2010). 초등학교 수학 수업 학습공동체 활동에 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0(3), 373-395. Na G. S. (2010). Reporting the activities of learning community on elemenatary mathemaitcs lesso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0(3), 373-395. 

  6. 박경미.정영옥.김화경.김동원.최수일.최지선 (2010). 우리나라 초.중등학교 수학교육 발전방안 기획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0-20. Park K. M., Jeong Y. O., Kim H. K., Choe S. I., & Chel J. S. (2010).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development plan planning and research.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0-20. 

  7. 박영희 (2011). 초등 수학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대학과 초등학교의 학습공동체 사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 25(1), 47-61. Park Y. H. (2011). Reporting the activiti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system for enhancing elementary mathematical teach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25(1), 47-61. 

  8. 방정숙 (2003). 수학 교사 학습과 전문성 신장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학연구, 13(2), 143-157. Pang J. S.(2003). Mathematics teacher learning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communiti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3(2). 143-157. 

  9. 방정숙 (2004). 초등수학교실문화의 개선: 사회수학적 규범과 수학적 관행. 수학교육학연구, 14(3), 283-304. Pang, J. S. (2004). Changing the culture of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Sociomathematical norms and mathematical practice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4(3). 283-304. 

  10. 방정숙 (2012). 초등학교 수학 수업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수학 수업 평가 기준의 활용 사례-. 초등교과교육연구, 15, 109-140. Pang J. S. (2012). How do we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A case of using the criteria for the analysis of mathematics instruction-. Subject Matter Educational Research in Elementary, 15, 109-140. 

  11.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Seo K. H. (2009).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243-276. 

  12. 서경혜 (2013). 교사 학습에 대한 공동체적 접근. 교육과학연구, 44(3), 161-191. Seo K. H. (2013). A Community approach to teacher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44(3), 161-191. 

  13. 신지혜 (2011). 수업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비평 공동체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9(2), 71-97. Shin J. H. (2011). Class critique comm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9(2), 71-97. 

  14. 오영열 (2006). 수업개선 관행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변화 탐색: 수학 수업관행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학연구, 16(3), 251-272. Oh Y. Y. (2006). Exploring teacher change through the community of practice focused on improving mathematics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3), 251-272. 

  15. 윤열현 (2012). 중등 수학과 자격연수의 운영 실태, 연수 효과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Yun Y. H. (2012). A study on the effect of in-service mathematics training programs in province education training institutes. A docto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6. 이경화.나귀수.권나영.김동원.이환철.이동환 외. (2012) 한국형 수학 교사 전문성 개발 체제(PDS) 모델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2(4), 581-602. Lee K. H., Na G. S., Kim D. W., Lee H. C., & Ko E. S. et al. (2012). A Preliminary Study on Designing PDS Model for Korean Mathematics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4), 581-602. 

  17. 정금숙 (2007). 초등학교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Jeong G. S. (2007). Analysis of teachers' perception on school based autonomous supervision at elementary schools. A master's thesis of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최승현.황혜정 (2007).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학교수학, 9(3), 327-352. Choe S. H., & Hwang H. J. (200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School Mathematics, 9(3), 327-352. 

  19. Corcoran, T. C. (1995). Transform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A guide for state policy makers. Washington, DC: National Governors' Association. 

  20. DuFour, R. (2004). What i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Educational Leadership, 61(8), 6-11. 

  21. Fernandez, C. (2005). Lesson study: A means for elementary teachers to develop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needed for reform-minded teaching?.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7(4), 265-289. 

  22. Greenberg, J., & Baron, R. A. (2000). Behavior in organization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23. Hyerle, D. (2008). Thinking Maps(R): A visual language for learning. In T. Sherborne, S. J. Buckingham., & A. Okada (Eds.), Knowledge cartography (pp. 73-88). London: Springer. 

  24.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Austinm, TX: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25. Hord, S. M. (2009).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Educators work together toward a shared purpose improved student learning. Juris Scientiae Doctor, 30(1), 40-43. 

  26. Kennedy, M. M. (1999). The rol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L. Darling-Hammond & G. Sykes (Eds.), Teaching as the learning profession (pp. 54-85). San Francisco, CA: Jossey-Bass. 

  27. Lampert, M. (2001). Teaching problems and the problems of teaching. Yale University Press. 

  28. Lewis, C., Perry, R., & Murata, A. (2006). How should research contribute to instructional improvement? The case of lesson study. Educational Researcher, 35(3), 3-14. 

  29. Louis, K. S., Marks, H. M., & Kruse, S. (1996).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4), 757-798. 

  30. McLaughlin, M. W., & Talbert, J. E. (2006). Building school-bas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Professional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 achievement (Vol. 45).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Murata, A. (2011). Introduction: Conceptual overview of lesson study. In L. C. Hart, A. S. Alston, & A. Murata (Eds.), Lesson study research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1-12). New York: Springer. 

  32. Murata, A., Bofferding, L., Pothen, B. E., Taylor, M. W., & Wischnia, S. (2012). Making connections among student learning, content, and teaching: Teacher talk paths in elementary mathematics lesson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5), 616-650. 

  33. NCTM (2007). Mathematics teaching today (2th Ed.), Reston, VA.: Author.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2011). 수학 수업의 현재와 미래. 서울: 경문사. 

  34. Pang, J. (2012). Changing teaching practices toward effective mathematics instruction in the Korean context: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ZDM, 44(2), 137-148. 

  35. Smylie, M. A. (1988). The enhancement funtion of stall development: Organization and psychological antecedents to individual teacher chang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1), 1-3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