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절이상에 의한 각막 변화도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alysis of Corneal Variation by Refractive Error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2 no.12, 2014년, pp.485 - 490  

이혜정 (여주대학교 안경광학과) ,  오현진 (백석문화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미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등가구면 굴절력에 따른 각막굴절력과 각막난시도, 각막 난시 축의 변화도 분석을 통하여 굴절이상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세 이상의 성인 100명을 대상으로 2014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 KR-8800을 이용하여 등가구면 굴절력, 각막굴절력, 각막난시도를 측정하였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3.01{\pm}3.79D$로. 각막 굴절력은 $43.79{\pm}1.60D$로, 각막 난시도는 $-1.17{\pm}0.79D$로 측정되었다. 전체 대상자의 등가구면 굴절력 중 근시안은 61%, 정시안은 22%, 원시안은 17%이며, 각막난시가 0.75D 이상은 63%로 나타났으며, 직난시는 84.13%, 도난시는 9.52% 순으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원시에서 근시로 진행함에 따라 각막굴절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5, p=0.01). 성인에 있어서 굴절이상의 원인은 각막 굴절력과 유의한 상관성이 있고, 굴절이상의 대부분은 근시이며 굴절이상도가 더 커질수록 각막 굴절력이 steep 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이 굴절이상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인식하고 올바른 시기능 관리가 필요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nvestigated corneal power, corneal astigmatism and corneal axis according to spherical equivalent of refractive error. We measured spherical equivalent, corneal power and corneal astigmatism in 100 subjects from January 2014 to July 2014. Measured spherical equivalent of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등가구면 굴절력에 따른 각막 굴절력과 각막난시도, 각막 난시 축의 변화도 분석을 통하여 굴절이상의 원인을 파악하여 굴절 이상의 특성을 이해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절이상의 원인은 무엇과 밀접한 관련이 있나? 굴절이상은 인종, 성별, 연령에 따라 다양하 게 발생되고 있다[4,5]. 굴절이상의 원인은 각막과 수정체 굴절력, 안축장 길이, 전방 깊이, 유리체 깊이, 안축장길이/ 각막곡률 반경의 비, 각막곡률 반경, 각막두께 등의 안광학 상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6,7,8].
각막의 비구면 형상의 역활은? 각막은 무색 투명하고 우리 눈 전체굴절력의 2/3를 차지하고 있으며 각막의 비구면 형상은 구면수차를 보정해 주고 망막 상의 질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한다[9]. 우리 눈 굴절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각막의 굴절력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점 커진다고 보고 되어 있으며[10], 각막 굴절력과 반비례관계인 각막의 곡률반경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다고 보고되어 있다[11,12].
각막 난시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서 변화하는 원인은? 이러한 난시의 대부분은 각막 난시이며 각막난시는 1 ∼5세 사이에 도난시의 경향을 보이다 나이가 들면서 직난시의 경향이 보이고 40대에서부터 직난시가 감소하고 도난시의 경향이 보이기 시작한다[23]. 이러한 각막의 변화는 안검과 관계가 깊고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안검 장력이 약해지는 것이 원인이라고 보고되어져 있다[2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S Lam, E Goldschmidt, MH Edward, Prevalence of myopia in local and international schools in Hong Kong, Optom. Vis. Sci., Vol 81, No. 5, pp. 317-322, 2004. 

  2. SM Saw, A synopsis of prevalence rates and environmental risk factors for myopia, Clin. Exp. Optom., Vol. 86, No. 5, pp. 289-294, 2003. 

  3. R Dandona, L Dandona, Refractive error blindness, Bull World Health Organ, Vol. 79, No.3, pp. 237-243, 2001. 

  4. SM Saw, J Katz, OD Schein, SJ Chew, TK Chan, Epidemiology of myopia, Epidemiol. Rev., Vol. 18, No. 2, pp.175-187, 1996. 

  5. L Wong, D Coggon, M Cruddas, CH Hwang, Education, reading and familial tendency as risk factors for myopia in Hong Kong fisherma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Vol. 47, No. 1, pp. 50-53, 1993. 

  6. N Shimiuzu, H Nomura, F Ando, N Niino, Y Miyake, H Shimokata, Refractive error and factors associated with myopia in an adult Japanese population, Jpn J. Ophthalmol., Vol. 47, No. 1, pp. 6-12, 2003. 

  7. SY Wu, B Nemesure, MC Leske, Refractive errors in black adult population ; the Barbados Eye study,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 40, No. 10, pp. 2179-2184, 1999. 

  8. J Katz, JM Tielsch, A Somm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or refractive errors in an adult inner city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 38, No. 2, pp. 334-340, 1997. 

  9. HJ Lee, CH Won, YY Song, KC Mah, Correlations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corneal shape, Korean J. Vis. Sci., Vol.4, No. 1, pp. 11-18, 2002. 

  10. SD Kim, DS Lee, JD Kim, Study of the corneal refractive power and axial length of the adult korean eyeball, J. Korean Ophth. Soc., Vol. 31, No. 11, pp. 1365-1369, 1990. 

  11. K Hayahi, H Hayahi, F Hayahi, Topographic analysis of the changes in corneal shape due to aging, Cornea, Vol. 14, No. 5, pp. 527-532, 1995. 

  12. PM Kiely, G Smith, LG Carney, Meridional variations of corneal shape, Am. J. Optom. Physiol. Optics, Vol. 61, No. 19, pp. 619-626, 1984. 

  13. R Scott, T Grosvenor, Structural model for emmetropic and myopic eyes, Ophthal. Physiol. Opt., Vol. 13, No. 1, pp. 41-47, 1993. 

  14. NA Mcbrien, DW Adams,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adult onset and adult progression of myopia in an occupational group refractive and biometric findings, Invest. Ophthalmol. Vis. Sci., Vol. 38, No. 2, pp. 321-333, 1997. 

  15. J Jorge, JB Almeda, MA Parafita, Refractive biometric and topographic changes among Portuguese university science students; a 3-year longitudinal study, Ophthalmol. Physiol. Opt., Vol. 27, No. 3, pp. 287-294, 2007. 

  16. DA Goss, P Erickson, Meridional corneal components of myopia progression in young adults and children, Am. J. Optom. Physiol. Opt., Vol. 64, No. 7, pp. 475-481, 1987. 

  17. JH Kim, HL Lee, KO Rhee, YD Kim, H Kim, Correlation between Refractive error and ocular parameters, Korean J. Vis. Sci., Vol. 16, No. 3, pp. 385-395, 2014. 

  18. YY Chun, SJ Park, WJ Song, SJ Lee, A Stdy on Usefulness of Static Retinoscopy in Eyes Opened for Hyperopic School-aged Children, J. Korean Oph. Opt. Soc., Vol. 17, No. 13, pp. 293-298, 2012. 

  19. T Grosvenor, MC Flom, Prevalence of refractive anomalies,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pp. 24-98, 1991. 

  20. LL Lin, YF Shih, YC Lee, PT Hung, PK Hou, Changes in ocular refraction and its components among medical students ; a 5 year longitudinal study, Optom. Vis. Sci., Vol. 73, No. 7, pp. 495-498, 1996. 

  21. WS Goh, CS Lam, Changes in refractive trends and optical components of Hong Kong Chines aged 19-39 years, Ophthalmic. Physiol. Opt., Vol. 14, No. 4, pp. 378-382, 1994. 

  22. CS Kim, MY Kim, HS Kim, YC Lee, Changes of corneal astigmatism with aging in koreans with normal visual acuity, J. Korean Ophth. Scc., Vol. 43, No. 10, pp. 1956-1962, 2002. 

  23. SJ Song, HJ Bae, MO Yun, JY Kim,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total astigmatism, corneal astigmatism, residual astigmatism with twenties and thirties, Korean J. Vis. Sci., Vol. 16, No. 1, pp. 39-45, 2012. 

  24. MH Erin, D Welma, E Candice, KG Tina, HM Dawn, MM Joseph, Prevalence of astigmatism in native american infants and children Optom. Vis. Sci., Vol. 87, No. 6, pp 400-405,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