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전체 각막난시에서 전면과 후면 각막난시의 상관성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in Total Corneal Astigmatism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9 no.3 = no.56, 2014년, pp.377 - 382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목적: 전후면 각막난시와 전체 각막난시를 측정하고, 이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후면 각막난시가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목적으로 방문한 22~28세의 31명(31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막질환이 있는 경우는 제외하였고, 회전 샤임플러그 카메라를 이용하여 수술 전에 전체 각막난시와 전후면 각막난시를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굴절력이 가장 큰 경선과 가장 작은 경선의 차이로 난시의 크기를 계산하였고, 가장 가파른 경선의 방향에 따라 직난시와 도난시로 분류하였다. 결과: 전체 각막난시와 전후면 난시의 평균은 $1.13{\pm}0.76D$, $1.51{\pm}0.84D$, 그리고 $-0.59{\pm}0.17D$ 였다. 후면 각막난시의 크기는 대상자들 모두 -1.0 D에서 -0.25 D에 분포하였고, 전체 각막난시의 크기를 100으로 봤을 때 전면 각막난시의 크기는 $142.9{\pm}29.9%$ 였다. 전체 각막난시는 전면난시의 크기와 가장 높은 상관성(y=0.871x-0.184, $R^2=0.982$)을 보였고, 후면 난시와는 높은 음의 상관성(y=-2.974x-0.184, $R^2=0.698$)을 보였다. 대상자들의 각막전면과 후면난시는 모두 직난시에 분류되었다. 결론: 20대 대상자의 전면과 후면 각막난시는 각각 0.2 D에서 -3.8 D, 그리고 -1.0 D에서 -0.25 D의 크기를 가졌고, 전면과 후면난시 모두 직난시의 비율이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erior,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and total corneal astigmatism on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by analyzing correla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31 patients (31 eyes) without corneal disease at the age range of 22 to 28 who had visited hospital to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최근 전체 각막굴절력에서 후면 각막굴절력이 차지하는 기여도와 전후면의 강주경선 방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는 결과가 발표되었다.[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각막 굴절력을 전체, 전면 그리고 후면을 구분하여 전후면 각막 굴절력의 관계를 파악하고, 후면 각막굴절력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20대에 한정된 대상자에 의한 결과이므로 넓은 연령을 포함하지 못 한 한계점이 있으나 이 결과로부터 정확한 각막굴절력 측정에서 후면 각막난시가 차지하는 비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내장수술의 목적은? 각막굴절력의 정확한 측정은 각막굴절교정수술 뿐만 아니라 백내장수술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백내장수술은 수정체의 혼탁을 제거하는 목적을 넘어 굴절교정수술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환자의 편안한 시생활을 위해서는 수술 후의 정확한 도수 예측이 필요하며, 이것은 정확한 생체 계측으로부터 시작된다.
백내장수술에서 중요한 요소는? 각막굴절력의 정확한 측정은 각막굴절교정수술 뿐만 아니라 백내장수술에서도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백내장수술은 수정체의 혼탁을 제거하는 목적을 넘어 굴절교정수술의 하나로 생각되고 있다.
백내장 환자의 수술 후 편안한 시생활을 위해 필요한 정확한 생체 계측을 위해 어떤 노력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나? 환자의 편안한 시생활을 위해서는 수술 후의 정확한 도수 예측이 필요하며, 이것은 정확한 생체 계측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렇게 최소한으로 오차를 줄이기 위해 생체 계측치를 정확히 측정하려는 노력과 함께 인공수정체 도수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공식에 대해서도 이미 많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Holladay JT. Refractive power calculations for intraocular lenses in the phakic eye. Am J Ophthalmol. 1993;116:63-66. 

  2. Drexler W, Findl O, Menapace R, Rainer G, Vass C, Hitzenberger CK, Fercher AF. 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 a novel approach to biometry in cataract surgery. Am J Ophthalmol. 1998;126:524-534. 

  3. Holladay JT, Prager TC, Ruiz RS, Lewis JW, Rosenthal H. Improving the predictabilit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s. Arch Ophthalmol. 1986;104:539-541. 

  4. Lee AC, Qazi MA, Pepose JS. Biometry and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Curr Opin Ophthalmol. 2008;19:13-17. 

  5. Kim BH, Wee WR, Kim MK. Analysis of factors that influence on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4;55(2):173-181. 

  6. Holladay JT. Cataract surgery in patients with previous keratorefractive surgery. Ophthalmic Practice. 1997;15: 238-244. 

  7. Gimbel HV, Sun R. Accuracy and predictabilit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J Cataract Refract Surg. 2001;27:571-576. 

  8. Holladay JT. Consultations in refractive surgery. J Refract Corneal Surg. 1989;5:202-203. 

  9. Feiz V1, Mannis MJ, Garcia-Ferrer F, Kandavel G, Darlington JK, Kim E, Caspar J, Wang JL, Wang W.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after laser in situ keratomileusis for myopia and hyperopia: a standardized approach. Cornea. 2001;20:792-797. 

  10. Moon SH, Kwon KL, Kee C.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in cataract surgery after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J Korean Ophthalmol Soc. 2000;41: 60-66. 

  11. Chen D, Lam AK.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of the Pentacam on corneal curvatures. Clin Exp Optom. 2009; 92(2):110-118. 

  12. Koch DD, Ali SF, Weikert MP, Shirayama M, Jenkins R, Wang L. Contribution of posterior corneal astigmatism to total corneal astigmatism. J Cataract Refract Surg. 2012; 38:2080-2087. 

  13.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Seoul, National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2;1-772. 

  14. Choi IY, Leem HS. Comparison on the accuracy of intraocular lens power calculation formulas according to axial length. Korean J Vis Sci. 2013;15(4):339-348. 

  15. Kim HS, Son JS, Yu DS. Trends and refractive status of cataract surgery - an optometry clinic-based survey in Chungbuk. J Korean Ophthalmol Opt Soc. 2013;18(2): 143-148. 

  16. Brookman KE, Elliott DB. Refractive management of ametropia, 1st ed. Boston: Butterworth-Heinemann. 1996; 718-719. 

  17. Kim SR, Kim HS, Jung GW, Park HM, Park SH, Park MJ. Axial rotation of toric soft lens by corneal astigmatism and change of posture. J Korean Ophthalmol Opt Soc. 2013;18(4):441-447. 

  18. Marquez M. The great usefulness of bicylinderic combination in the exporation of astigmatism. Am J Ophthalmol. 1940;25:1458-1462. 

  19. Song SJ, Bae HJ, Yun MO, Kim JY, Kim JS, Eom JH.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total astigmatism, corneal astigmatism, residual astigmatism with twenties and thirties. Korean J Vis Sci. 2012;14(1):39-45. 

  20. Kim HK, Baek SS, Lee H, Rhee KO, Oh SH. Comparisons among methods of measuring residual astigmatism. Korean J Vis Sci. 2010;12(3):163-172. 

  21. Kim CS, Ryu JW, Kim HS, Lee YC. Distribution and change of total astigmatism, corneal astigmatism and residual astigmatism with age in patient with emme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3):485-493. 

  22. Kim JH. A study on variation of astigmatism axis according to the age. J Korean Ophthalmol Opt Soc. 2001;6:71-76. 

  23. Mason FL. Principles of optometry, ed. San Francisco: Carlisle. 1940;400-401. 

  24. Kratz JD, Walton WG. A modification of javal's rule for the correction of astigmatism. Am J Optom Arch Am Acad Optom. 1949;26:295-306. 

  25. Qin B, Tang M, Li Y, Zhang X, Chu R, Huang D. Anterior segment dimensions in Asian and Caucasian eye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ic Surg Lasers Imaging. 2012;43:135-142. 

  26. Wojciechowski R, Congdon N, Anninger W, Teo Broman A. Age, gender, biometry, refractive error, and the anterior chamber angle among Alaskan Eskimos. Ophthalmology. 2003;110:365-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