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유소 기반의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구축에 대한 취약지역 분석
Analysis of Vulnerable Districts for Electron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based on Gas Station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0 no.4, 2014년, pp.137 - 143  

김태곤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  김솔희 (서울대학교 생태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  서교 (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서울대학교 그린바이오과학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 exhaust emissions are recognized as one of the key sources for climate change and electric vehicles have no emissions from tailpipe. However, the limited charging infrastructures could restrict the propagation of electric vehi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vulnerable districts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전 인프라 보급 시나리오를 1%부터 1% 단위로 점진적으로 보급이 진행되는 과정을 분석하고, 목표치인 12% 보급시 취약지역을 평가한다. 더 나아가 취약지역 평가를 통하여 적정 보급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위한 충전시설 네트워크 구축 시 상대적으로 취약한 지역을 평가하고, 기존의 정부 보급 전망치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존 주유소의 위치를 분석하여 접근 거리에 따른 주유 인프라의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 기법을 이용하여 도입 시나리오에 따른 보급율별로 충전 인프라의 취약지역 비율을 산정함으로써 적정 보급 비율을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전기자동차 보급을 위하여 충전 인프라 구축방안을 예비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주유소에 충전인프라를 설치하는 방안을 가정하여 충전인프라의 취약지역을 평가하였다. 취약지역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 읍면동 중심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까지의 거리를 바탕으로 취약도를 정의하였으며, 충전소의 위치는 보급률에 따라 임의로 선택하는 방식의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였다.
  • 이를 위하여, 기존 주유소의 위치를 분석하여 접근 거리에 따른 주유 인프라의 취약지역을 분석하고,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MCS) 기법을 이용하여 도입 시나리오에 따른 보급율별로 충전 인프라의 취약지역 비율을 산정함으로써 적정 보급 비율을 도출하고자 한다. 산정된 적정 보급 비율을 바탕으로 충전 인프라 취약지역의 공간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각 지자체의 중심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의 거리로 취약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인근 행정구역에 포함된 충전소라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양호한 접근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 취약도는 각 읍면동 중심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충전소까지의 거리로 정의하여 등급화하였다. 평가모형은 거리를 바탕으로 충전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기존 주유소 위치에 충전소를 설치한다고 가정하였으나, 보급 전략이 수립되지 않은 현재 상황에서 충전소를 설치할 주유소를 결정하기 위한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기법을 이용하여, 시나리오 상 보급률을 만족하는 개수만큼의 임의 주유소에 충전소가 설치됨을 가정하였다. 예를 들어, 1% 보급을 평가하기 위해서 현재 주유소 11,677개 중 1%인 117개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를 충전소로 정의하고, 최근거리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인근 행정구역에 포함된 충전소라도 거리가 가까운 경우에는 양호한 접근성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주유소의 위치는 공간적, 사회적 밀도가 반영되어 최적화된 위치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추정된 충전소는 이러한 지표가 반영된 것으로 가정하였다. 읍면동별 충전소 최근거리를 평가하기 위하여 각 지자체 중심지점의 위경도 좌표와 주유소의 위경도 좌표를 이용하여, 직선거리를 산정하였다.
  • 따라서 현재의 주유소 분포를 기준으로 임의로 표본을 추출할 경우, 그 위치는 자동차 운행과 관련하여 수요량, 도로여건, 비용 등이 반영된 위치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주유소의 위치를 기준으로 임의로 충전소가 설치된다고 가정하여, 접근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취약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압충전방식과 배터리교환방식을 기준으로 충전 기점을 기존주유소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의 이점은? 본 연구는 충전소를 중심으로 충전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하는 고압충전방식과 배터리교환방식을 기준으로, 충전 기점을 기존 주유소 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으로 설정하였다. 이 방안은 충전소 설치비용 중 비중이 큰 대지 비용을 절감하고, 운전자에게 익숙한 자동차 운행행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충전시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파악되었다. 현재 충전시설이 전국적으로 동시에 구축되기는 어려우므로, 점진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에서 취약지역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지역이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대응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급속충전 방식의 장점은? 반면, 급속충전 방식은 플러그인 방식의 대안으로, 360V의 고압 충전을 통하여, 80% 충전을 기준으로 30분 이내로 충전이 가능하다. 또 다른 대안으로 배터리 교환 quick drop방식이 소개되었다.
주차공간을 활용한 개별 플러그인 충전방식의 단점은? 주차공간을 활용한 개별 플러그인 충전방식은 충전 대기시간이 길고 충전인프라 구축과 관리에 많은 비용 예상된다(Kim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yun, W., Lee, K., Lee, S., and H., Kee, 2012, "Demand Forecasts Analysis of Electric Vehicles for Apartment in 2020,"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1(3), 81-91. 

  2. Daco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2010, Trend analysis and prospect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market. Daco Industrial Research Institute. 

  3. Demirdoven, Nurettin and Deutch, John, 2004, "Hybrid cars now, fuel cell cars later", Science, 305(5686), 974-976. 

  4. Hong, J., Choi, J. I., Lee, J.-H., and Nam, Y. W., 2009, "Determining the proper capacity of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58(10), 1911-1915. 

  5. Kim J.-H., 2011, "Optimizing Location and Capacity of the Service Facility : The Application of Construct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Master's thesis. Soongsil University. 

  6. Kim, S.-J., Kim, W., Kim, B. J., and Im, H. S., 2013a, "A case study on optimal location modeling of battery swapping & charging facility for the electric bus system,"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12(1), 121-135. 

  7. Kim, S.-Y., Hwang, J.-D., Lim, J.-H., and Song, K.-B., 2012, "A Study of comparing and analyzing electric vehicle battery charging system and replaceable battery system by considering economic analysis,"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61(9), 1242-1248. 

  8. Kim, T., Shin Y., Lee, J., and Suh, Kyo, 2013b, "Calculation of regional circuity factors using road network distance in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Planner Association, 48(4): 319-329. 

  9. Lave, Lester B., Hendrickson, Chris T., and McMichael, Francis Clay, 1995, "Environmental implications of electric cars". Science(Washington), 268(5213), 993-995. 

  10. Lee, K. S., Baek, M. Y., and Park, H. B., 2007, "Study on low pressure loop EGR system for heavy-duty diesel engine to meet EURO-5 NOx regul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power system engineering, 11(4), 12-17. 

  11. Lee, S. T., Jo, J. H., and Kim, D. K., 2011, "Technical trend for the motor drive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16(2), 32-37. 

  12. Lee, Y. G., 2013, "UE-based location model of EV rapid charging stations for different battery state-of-charge,"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3. Ministry of Knowledge Economy, 2010, A research of charging infra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Gwacheon. 

  14. Press, William H., Teukolsky, S. A., Vetterling, W. T. and Flannery, B. P., 1996, Numerical Recipes in Fortran 77: The Art of Scientific Computing. Fortran Numerical Recipes 1 (Second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Statistics Korea, 2014, Population census, Available at: http://kosis.kr 

  16. Wiederer, A., and Philip, Ronald, 2010, Policy options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infrastructure in C40 cities. Harvard Kennedy School. 

  17. http://www.nsic.go.kr 

  18. http://www.opinet.co.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