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물 근권토양에서 분리한 수지상균근균
Notes on Some Unrecorded Species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Collected from Rhizospheres of Plant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균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ycology, v.42 no.4, 2014년, pp.306 - 311  

이은화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이정윤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어주경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가강현 (산림과학원) ,  엄안흠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목본식물근권에서 수지상균 근균을 분리하여 배양하였다. 형태 및 18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총 4개 속 5개 종의 수지상균근균을 동정하였으며 이들 균은 현재까지 국내미기록종이다; Acaulospora cavernata, Claroideoglomus luteum, Diversispora aurantium, D. trimurales, Rhizophagus irregularis. 각 종의 형태적 특징 및 계통관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수지상균 근균의 다양성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were isolated and cultivated from rhizospheres of various plants in Korea. Five species belonging to four genus were identified based on spore morphology and 18S rDNA sequence analysis: Acaulospora cavernata Claroideoglomus luteum, Diversispora aur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for partial 18S rDNA sequence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al spores in this study. Numbers at nodes indicate bootstrap support (1,000 replicates).

가설 설정

  • C. luteum의 포자벽들은 Melzer's reagent에 의한 염색 반응은 나타나지 않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거 보고된 국내 수지상균근균의 동정 결과를, 보완해야 하는 이유는? 수지상균근을 형성하는 균은 모두 Glomeromycota 문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현재 240여종의 수지상균근균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90여종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중 대부분은 야외 토양에서 추출한 포자의 형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였다. 수지상균근균의 형태적 동정에 이용할 수 있는 형질의 수가 많지 않고, 형질의 특징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포자의 형태를 이용한 종 수준의 동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특히 야외 토양에서 수집한 포자는 대부분 포자의 외관이 손상되어 형태적 특징을 뚜렷하게 관찰하기 어려워 과거에 보고된 국내 수지상균근균에 관해서는 배양체를 통한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동정 결과가 보완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수지상균근균은 식물과의 공생 관계를 통해서만 생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 균의 단독 배양이 불가능한 점도 수지상균근균의 연구의 제한점이다.
수지상균근을 형성하는 균은, 모두 어느 문에 속하는가? 수지상균근(arbuscular mycorrhizas)은 식물과 균류 사이의 공생 관계에 있어서 가장 대표적인 형태 가운데 하나이다[1]. 수지상균근을 형성하는 균은 모두 Glomeromycota 문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현재 240여종의 수지상균근균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90여종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중 대부분은 야외 토양에서 추출한 포자의 형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였다.
현재 국내에 보고된 수지상균근균은, 어디서 분리하여 동정한 것인가? 수지상균근을 형성하는 균은 모두 Glomeromycota 문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현재 240여종의 수지상균근균이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90여종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그 중 대부분은 야외 토양에서 추출한 포자의 형태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였다. 수지상균근균의 형태적 동정에 이용할 수 있는 형질의 수가 많지 않고, 형질의 특징이 불분명하기 때문에 포자의 형태를 이용한 종 수준의 동정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mith S, Read D. Mycorrhizal symbiosis. 3rd. Academic Press, San Diego; 2008. 

  2. Daniels BA, Skipper HA. Methods for the recovery and quantitative estimation of propagules from soil. In: Schenck NC, editor. Methods and principles of mycorrhizal research. St. Paul, Minn: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1982. p. 29-35. 

  3. Millner P, Kitt D. The Beltsville method for soilless production of vesicular-arbuscular mycorrhizal fungi. Mycorrhiza 1992;2:9-15. 

  4. Koske R, Gemma J. A modified procedure for staining roots to detect VA mycorrhizas. Mycol Res 1989;92:486-8. 

  5. Gerdemann JW, Trappe JM. The endogonaceae in the Pacific Northwest: New York Botanical Garden in collaboration with the Myc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74. 

  6. Morton JB. Variation in mycorrhizal and spore morphology of Glomus occultum and Glomus diaphanum as influenced by plant host and soil environment. Mycologia 1985:192-204. 

  7. Morton J. Taxonomy of VA mycorrhizal fungi: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identification. Mycotaxon 1988;32:267-324. 

  8. Morton JB. Three new species of Acaulospora (Endogonaceae) from high aluminum, low pH soils in West Virginia. Mycologia 1986:641-8. 

  9. Lee J, Lee S, Young JPW. Improved PCR primers for the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FEMS Microbiol Ecol 2008;65:339-49. 

  10.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011;28:2731-9. 

  11. Stockinger H, Walker C, Schu ${\ss}$ ler A. 'Glomus intraradices DAOM197198', a model fungus in arbuscular mycorrhiza research, is not Glomus intraradices. New Phytol 2009;183: 1176-8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