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심장수술 환자의 회복의 질 영향 요인
Influential Factors on Quality of Recovery of Patients Undergone Cardiac Surgery 원문보기

재활간호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v.17 no.2, 2014년, pp.64 - 71  

김수연 (강동대학교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quality of recovery and influential factors on the quality of recovery after cardiac surgery. Methods: 198 patients undergone cardiac surgery were asked to fill in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bout the quality of recovery, anxiety, depress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회복의 질은 간호에 중요한 관심사이고 심장수술 환자가 증가하고 있어 환자관점에서의 심장수술 환자의 회복의 질과 영향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자 관점에서 심장수술 후 퇴원시점의 회복의 질과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회복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심장수술 환자가 지각하는 회복의 질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연령, 성별), 수술 전 질병 관련 특성(당뇨, 고혈압, 비만), 수술 관련 특성(중환자실 재원일수, 총 재원일수, 수술 후 좌심실 박출량, EuroSCORE), 우울, 불안 및 사회적 지지 중 회복의 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 고혈압, 비만 여부는 회복의 질에 차이를 보이지 않은 이유는? 1%로 다수를 차지함을 고려할 때 연령이 청소년기 또는 성인 초기보다 신체적 회복 및 정신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당뇨, 고혈압, 비만 여부는 회복의 질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수술 전 준비과정에서 당뇨, 고혈압, 비만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검사와 투약을 통해 최상의 신체 상태를 유지하는 의료행위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사료된다. 다만 정신적 회복에서 당뇨가 없는 집단이 있는 집단보다 정신적 회복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는데 이는 당뇨와 같은 만성질환이 있는 환자에게 우울이 많이 관찰된다고 보고한 연구(Burton, Simpson, & Anderson, 2013)결과와 유사하다.
심장수술 환자의 퇴원 시 회복의 질 중 신체적 활동의 회복의 질이 가장 낮았고 정신적 회복의 질이 가장 높은 것이 의미하는 것은? 본 연구에서 심장수술 환자의 퇴원 시 회복의 질 중 신체적 활동의 회복의 질이 가장 낮았고 정신적 회복의 질이 가장 높았다. 이는 퇴원 시 신체적 활동에 대한 계속적인 회복이 필요함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결과는 심장 수술 후 회복에서 신체적 제약이 가장 큰 방해요인이며(Aldrich, Carrieri-Kohlman, Stotts, & Rollins, 2010), 중증 질환자들은 퇴원 후에도 지속적인 회복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다(Kelly & McKinley, 2010)는 결과와 유사하다.
수술 후 남자의 전반적인 회복의 질은 여자에 비해 어떠한가? 반면 회복의 질 하부 영역 중 정신적 회복이 가장 높았는데, 이는 퇴원시점이 병원 치료가 종료되는 시점으로 가정으로 돌아간다는 기쁨이 반영된 결과라고 생각된다. 성별에 따라 남자의 전반적인 회복의 질이 여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는데, 수술 후 회복에 있어 남자가 여자보다 회복 속도 및 회복의 질이 더 빠르고 높다는 결과와 비슷하다(Ajuzieogu, Amucheazi, Ezike, & Chinedu, 2011). 반면 연령에 따른 회복의 질에서는 사회적 회복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나이가 많을수록 연령이 적은 환자에 비해 수술 후 회복이 늦었다는 연구결과와 상반된다(Pitak-Arnnop & Pausch,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juzieogu, O. V., Amucheazi, A. O., Ezike, H. A., & Chinedu., N. (2011). Gender difference and quality of recovery after general anaesthesia. Internet Journal of Anesthesiology, 28(2), 1. 

  2. Aldrich, K. M., Carrieri-Kohlman, V., Stotts, N., & Rollins, M.(2010). Quality of recovery in older adults following cardiac surgery. Communicating Nursing Research, 43, 327. 

  3. Allvin, R., Ehnfors, M., Rawal N., Svenson, E., & Idvall, E.(2009).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patient-reported postoperative recovery: Content validity and intra-patient reliability. Journal of Evaluation in Clinical Practice, 15, 411-419. 

  4. Burton, C., Simpson, C., & Anderson, N.(2013).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following routine screening in patients with coronary heart disease or diabetes: A database cohort study. Psychological Medicine, 43(3), 529-37. 

  5. Cohen, J.(1992). A power primer. Psychological Bulletin, 112, 155-159. 

  6. Hodgson, N. A., & Given, C. W.(2004). Determinants of functional recovery in older adult surgically treated for cancer. Cancer Nursing, 27(1), 10-16. 

  7. Jeon, G. G., & Lee, M. G.(1992). Study on Korean CES-D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11(1), 65-76. 

  8. Kelly, M. A., & McKinley, S.(2010). Patients' recovery after critical illness at early follow-up.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691-700. 

  9. Kim, J. T., & Sin, D. G.(1978). A study on Korean standadization of STAI. Latest Medicine, 21(11), 69-75. 

  10. Lee, B. S.(2009). A study o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ostomat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1. Lee, S. S., Kim, Y. T., Moon, S. M., Hyun, K. Y., Kim, D. S., & Choi, S. C.(2008). Influencing factors on patient recovery after cardiac surgery used cardio-pulmonary bypass.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18(11), 1493-1498. 

  12. Locke, B. A., & Putman, P.(1971).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 S-D). Washington, DC: Epidemiology and Psychopathology Research Branch, Public Health Service, National Institutes of Mental Health. 

  13. McIntosh, S., & Adams, J.(2011). Anxiety and quality of recovery in day surgery: A questionnaire study using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and quality of recovery scor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17, 85-92. 

  14. Morris, S. M.(1998). Recovering from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surgery: do depression, optimism, and coping predict quality of recove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USA. 

  15. Mottram, A.(2010). "Like a trip to McDonalds": A grounded theory study of patient experiences of day surgery.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8(2), 165-174 

  16. Oh, S. S.(2011). Cardiac surgery: Artificial heart valve. Seoul: Korea Medical Book. 

  17. Ottenbacher, M. E.(2008).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following hospitalization: A secondary analysis. University of Texas Medical Branch Graduate School of Biomedical Sciences. 

  18. Park, G. Y.(2008). Post cardiac surgery management for residents and nurses.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19. Pitak-Arnnop, P., & Pausch, N. C.(2011). Female and older adult patients (age $\succeq$ 21years) had slower recovery after third-molar surgery compared with males and younger adults in a US Study. Journal of Evidence-Based Dental Practice, 11(4), 196-199. 

  20. Radloff, L. S.(1977).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21. Spielberger, C. D.(1972). Anxiety as an emotional state: Current trend in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ologist Press. 

  22.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1983).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o Alto, California: Consulting Psychologist Press 

  23. Szczepanska-Gieracha, J., Morka, J., Kowalska, J., Kustrzycki, W., & Rymaszewska, J.(2012). The role of depressive and anxiety symptoms in the evaluation of cardiac rehabilitation efficac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European Journal of Cardio-Thoracic Surgery, 42(5), e108-114. 

  24. The Korean Doctor's Association for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2011). 2011 AHD Total. Retrieved November 11, 2014, from http://www.ktcvs.or.kr 

  25. Vaghadia, H., Lennox, P., & Lee, P.(2011). Relevance of the postoperative quality recovery score to discharge readiness. Anesthesiology, 114, 1243-55. 

  26. Vila, V. S., Rossi, L. A., & Costa, M. C.(2008). Heart disease experience of adults undergoing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Revista Portuguesa de Saude Publica, 42(4), 750-756. 

  27. Welke, K. F., Stevens, J. P., Schults, W. C., Nelson, E. C., Beggs, V. L., & Nugent, W. C.(2003). Patient characteristics can predict improvement in functional health after elective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Annals of Thoracic Surgery, 75(6), 1849-1855. 

  28. World Health Organization.(2000).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Obesity, and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Sydney: Health Communications Australia Pty Limited. 

  29. Zalon, M. L.(2004). Correlates of recovery among older adults after major abdominal surgery. Nursing Research, 53(2), 99-106. 

  30.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