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6, 2014년, pp.844 - 850  

박혜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관문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열수 및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60%로 열수추출물 12.60%보다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242.26 mg/g 및 160.73 mg/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열수추출물에서 92.07% 및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96.38%로 나타나 50% 에탄올 추출조건의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Superoxide radical 소거활성 및 tyrosinase 저해활성은 50% 에탄올 추출물 $1,000{\mu}g/mL$에서 각각 94.46% 및 63.31%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50% 에탄올 추출시 높게 나타났으며, pH에 따라 산성에 가까울수록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Nitric oxide 생성량은 50% 에탄올 추출 $250{\sim}1,000{\mu}g/mL$에서 $7.15{\sim}20.61{\mu}M$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시료 농도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다. 인간 폐암세포주(A549), 인간 자궁경부암 세포주(HeLa), 인간 간암세포주(Hep3B) 및 마우스 복수암 세포주(sarcoma180)에 대한 암세포 생육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 및 50% 에탄올 추출물 모두 암세포생육 저해활성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HeLa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항암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야관문 50% 에탄올 추출물은 향후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에 있어 산업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Lespedeza cundata extracts. The extraction yield of 50% ethanol extract (17.60%) was higher than that of hot water extract (12.60%). The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the 50% ethanol extract were 242.26 mg/g and 16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야관문 추출물의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활성, nitric oxide 생성량 및 암세포 생육 저해활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야관문을 기능성 소재로 활용하고자 열수 및 5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야관문 추출물의 생리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수율은 50% 에탄올 추출물에서 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관문의 생리활성 물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야관문(Lespedeza cuneata)은 콩과의 여러 해살이 식물로 비수리, 삼엽초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 식물로 널리 이용되는 흔한 식물이지만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음위증이나 유정, 기침, 천식 등의 치료에 효능이 있는 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야관문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pinitol, flavonoid, phenol성분, tannin 및 β-sitosterol을 함유하며, flavonoid 중에서도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orientin 등이 보고되고 있다(14). 현재 야관문 분획 및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며 (15,16), 피부미백 소재로의 가능성(17), 자외선 노출에 의한 피부 광노화 개선 효과(18,19) 및 창상치유 효과(20,21)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다.
야관문의 이명은? 야관문(Lespedeza cuneata)은 콩과의 여러 해살이 식물로 비수리, 삼엽초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 식물로 널리 이용되는 흔한 식물이지만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음위증이나 유정, 기침, 천식 등의 치료에 효능이 있는 약제로 사용되어 왔으며, 야관문의 생리활성 물질로는 pinitol, flavonoid, phenol성분, tannin 및 β-sitosterol을 함유하며, flavonoid 중에서도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orientin 등이 보고되고 있다(14).
산화적 스트레스의 강도를 증가시켜 체내 항산화 방어계와 균형이 깨지게 하는 요인은? 성인병의 주된 원인인 활성산소와 free radical은 외부로부터 지속적인 자극과 에너지 생성을 위한 산화과정에서 상당량 발생하게 된다(2). 인체에서는 이에 대한 방어기전으로 산화억제물질을 생성하여 산화물의 대부분을 소멸시키지만, 환경오염, 스트레스, 불규칙적인 식습관, 약물, 유전적 요인 등에 의해 항산화 방어계와 균형이 깨어지면서 산화물질이 세포막 파괴, DNA 변성, 세포 노화 등을 초래하게 된다(3). 이러한 체내 산화적 스트레스는 혈관이나 조직의 손상으로 염증을 유도함으로써 생활습관병, 동맥경화, 암 등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Ha TY (2006)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 materials for healthy life. Korean J Crop Sci, 51, 26-39 

  2. Aruoma OI, Kaur H, Halliwell B (1991) Oxygen free radicals and human disease. J R Soc Promo Health, 111, 172-177 

  3. Reiter RJ (1995) Oxidative process and antioxidative defense mechanism in the aging brain. FASEB J, 9, 526-533 

  4. Kim JM, Shin YK, Kim BO, Kim JK, Lee SH, Kim YS (2012) Effect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llergic dermatitis. J Life Sci, 22, 958-963 

  5. Kang WS, Park EJ, Yoon KR (1998) Antioxidant property of turmeric (Curcumae rhizoma)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266-271 

  6. Rim YS, Park YM, Park MS, Kim KY, Kim MJ, Choi YH (2000)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in native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342-350 

  7.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8. Cho EK, Song HJ, Cho HE, Choi IS, Choi YJ (2010)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SanYa) from fermented medical plants and evaluation of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J Life Sci, 20, 82-89 

  9. Lee HB, Kim HJ, Chong MS, Cho HE, Choi YH, Lim KS, Lee KN (2008) Phys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mixed culture of medical herbs and mycelia of Tricholoma matsutake and Cordyceps militaris by fermentation. Korean J Herbiol, 23, 1-8 

  10. Lodovici M, Guglielmi F, Meoni M, Dolara P (2001) Effect of natural phenolic acids on DNA oxidation in vitro. Food Chem Toxicol, 39, 1205-1210 

  11. Kim SH, Choi HJ, Oh HT, Chung MJ, Cui CB, Ham SS (2008) Cytoprotective effect by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Platycodon grandiflorum ethylacetate fraction in human HepG2 cells. Korean J Food Sci Techenol, 40, 696-701 

  12.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I). Korean J Pharmacogn, 23, 264-267 

  13. Stella SP, Ferrarezi AC, dos Santos KO, Monteiro M (2011) Antioxidant activity of commercial ready-to-drink orange juice and nectar. J Food Sci, 76, 392-397 

  14. Numata A, Hokimoto K, Yamaguchi H (1980) C-Glycosylflavones in Lespedeza cuneata. Chem Pharm Bull, 28, 964-965 

  15. Lee HJ, Lim GN, Park MA,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Koreas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69 

  16. Kim SJ, Kim D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4, 332-335 

  17. Cho EJ, Ju HM, Jeong CH, Eom SH, Heo HJ, Kim DO (2011) Effect of phenolic extract of dry leaves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antioxidant capac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Korean J Hort Sci Technol, 29, 358-365 

  18. Jung HK, Choi MO, Kim BJ, Jo SK, Jeong YS (2014) Improving the efficacy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photoaging. Korean J Food Preserv, 21, 264-275 

  19. Kim HJ, Kim KS, Kim DI (2012) In inhibi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 induced photo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40-1545 

  20. Jung HK, Kim KS, Jung YS (2014) Wound healing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374-380 

  21. Kim DI, Kim HJ (2014) Regeneration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experimental open wound in r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516-521 

  22. Choi JS, Cho CS, Kim CJ (2010) Cytoprotective effect of Lespedeza cuneata extract on glucose toxicity. J Korean Oriental Med, 31, 79-100 

  23.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24.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 555-559 

  25.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6. Nishikimi M, Rao NA,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54 

  27. Kameyama K, Takemura T, Hamada Y, Sakai C, Kondoh S, Nishiyama S, Urabe K, Hearing VJ (1993) Pigment production in murine melanoma cells is regulated by tyrosinase, tyrosinase-related protein 1 (TRP1), DOPAchrome tautomerase (TRP2), and a melanogenic inhibitor. J Invest Dermatol, 100, 126-131 

  28. Gray JI, Dugan 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4 

  29. Kim DI, Hong JH (2012) Optimization of ethanol extraction conditions for functional components from Lespedeza cuneata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275-283 

  30. Park WM, Kim GH, Hyeon JW (1995) New synthetic medium for growth of mycelium of Pleurotus species. Korean J Mycol, 23, 275-283 

  31. Leaf CD, Vecchio AJ, Roe DA, Hotchkiss JH (1987) Influence of ascorbic acid dose on N-nitrosoproline formation in humans. Carcinogenesis, 8, 791-795 

  32. Cooney RV, Ross PD, Bartolini GL (1986) N-nitrosation and N-nitration of morpholine by nitrogen dioxide : Inhibition by ascorbate, glutathione and ${\alpha}$ -tocopherol. Cancer Lett, 32, 83-90 

  33. Kim HS, Kang JS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bread by medicinal herb composites with immunostimulating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9-116 

  34. Eun JS (2011) Effect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the activity of murine immune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 Pathol, 25, 837-842 

  35. Choi YI, Lee JS, Lee UY, Lee TS (2010) Immunostimulating and antitumor effects on mouse sarcoma 180 by crude polysaccharides extracted from fruiting body of Hericium erinaceus. J Life Sci, 20, 623-6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