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과 창상유발 동물실험 모델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RAW264.7 세포에서 야관문 추출물은 0.2 mg/mL 이하 농도에서 세포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염증반응이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인 NO 생성 감소를 나타내었다. 창상유발 동물실험 모델에서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의 창상치유효과에 대해 육안적으로 관찰한 결과, SCO군과 CCO군보다 야관문 추출물을 함유한 SSP군에서 약 20~30% 빠른 상처면적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반흔 크기 역시 약 12% 작게 형성되었다. 또한 SSP군 조직의 외피와 진피 재생회복속도가 빨라진 것을 Masson's trichrome 염색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으며, VEGF 및 TGF-${\beta}1$ 유전자 발현이 SCO군과 비교 시 각각 감소 및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야관문 추출물이 항염증 및 교원질 생성 유도를 통한 조직재생 활성에 기여하여 창상치유 속도를 가속화하고 반흔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피부 창상치유와 관련한 코스메슈티컬 소재로써 산업적 활용이 가능함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xtract on macrophages and wound-healing in wound-induced animal experiments were investigated. In an anti-inflammatory test, 0.1 mg/mL of Lespedeza cuneata extract did not affect growth of RAW 264.7 cells, and Lespedeza cuneata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이 염증반응 억제와 함께 조직재생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코스메슈티컬 소재로써 적합한지 평가하고자 야관문 추출물의 항염증 효능과 피부 결손창을 만든 동물모델을 대상으로 야관물 추출물이 첨가되어진 화장품 조성물의 창상치유 효과를 조사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연구에서는 야관문 추출물의 마우스 대식세포에 대한 항염증 활성과 창상유발 동물실험 모델을 통한 창상치유 효과를 조사하였다. RAW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관문이란 무엇이며 어떤 효능이 있어 약재로도 쓰이고 있는가? 야관문(Lespedeza cuneata G. Don)은 콩과의 여러해살이식물로 비수리, 삼엽초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자원으로 간과 콩팥의 기능을 보호해주고 폐 기능 강화 및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어 관련 질병에 약재로도 쓰이고 있다(3,4). 야관문 내 알려진 유용 생리활성 물질로는 pinitol, avicularin, trifolin, β-sitosterol,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있으며(5), Ding 등(6)은 야관문 내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과 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여 노화방지에 유용한 vitamin E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야관문 내 알려진 유용 생리활성 물질에는 무엇이 있는가? Don)은 콩과의 여러해살이식물로 비수리, 삼엽초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며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하고 있는 자원으로 간과 콩팥의 기능을 보호해주고 폐 기능 강화 및 혈액순환에 효능이 있어 관련 질병에 약재로도 쓰이고 있다(3,4). 야관문 내 알려진 유용 생리활성 물질로는 pinitol, avicularin, trifolin, β-sitosterol,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있으며(5), Ding 등(6)은 야관문 내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과 아미노산 등을 분석하여 노화방지에 유용한 vitamin E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야관문 추출물이 항균 및 항산화 효과(3,7), 피부 광노화 억제효과(8) 등을 나타내는 유용한 천연물 소재임이 보고된 바 있다.
피부의 창상치유 과정에서 활성화된 혈소판이나 섬유소에 의해 상처 부위로 모이게 되는 대식구의 역할은? 피부의 창상치유 과정에서 활성화된 혈소판이나 섬유소에 의해 상처 부위로 모이게 되는 대식구와 섬유모세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23). 이 중에서 대식구는 상처 부위에 파괴된 세포와 이물질 등을 제거하고 항염증 반응과 함께 교원질의 합성을 촉진시키며 상처치유 활성을 증가시키기도 한다(24). 본 연구에서는 대식구에 대한 독성 없이 야관문 추출물이 나타내는 항염증 반응을 조사하고자 잘 알려진 대식세포 RAW26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Park JM, Lee SP, Son ES. 2002. An analysis on the regulations, technology, and market of cosmeceuticals. Kor J Technol Innovat Soc 5: 293-306. 

  2. Lee HH. 2007. A prospect on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in the cosmetics industry. Kor J Aesthet Cosmetol 5: 83-90. 

  3. Lee HJ, Lim GN, Park MA, Park SN. 2011.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spedeza cuneata G. Don.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63-69. 

  4. Kwon DJ, Kim JK, Ham YH, Bae YS. 2007. Flavo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G. D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344-347. 

  5. Numata A, Hokimoto K, Yamaguchi H. 1980. C-Glycosylflavones in Lespedeza cuneata. Chem Pharm Bull 23: 964-965. 

  6. Ding JL, Lim IJ, Lee HD, Cha WS. 2006.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14-417. 

  7. Kim SJ, Kim DW.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t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4: 332-335. 

  8. Kim HJ, Kim KS, Kim DI. 2012. Inhibitory effects of Lespedeza cuneata ethanol extract on ultraviolet-induced photo ag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540-1545. 

  9. Choi KM, Lee CW, Lee MY. 2008. Effect of ore minerals in the healing of full-thickness skin injury model of rat. J Environ Sci 17: 809-816. 

  10. Waldron DR, Zimmerman-Pope N. 2003. Superficial skin wounds. In Textbook of Small Animal Surgery. Elsevier Health Science, Philadelphia, PA, USA. p 259-273. 

  11. Lee AY. 2005. Allergic contact dermatitis due to sodium fusidate, an ingredient of fucidin ointment. Medical Postgraduates 5: 261-263. 

  12. Han DO, Kim GH, Choi YB, Shim IS, Lee HJ, Lee YG, Kim JH, Chang GT, Hahm DH. 2005. Healing effects of Astragali radix extracts on experimental open wounds in rat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9: 92-97. 

  13. Park ST, Kim JW, Jeong SH, Seo YM. 2012. The effect of extract from several herbs grown naturally in namwon province wound treatment. J Korean Biol Nurs Sci 14: 122-128. 

  14. Song JH. 2006. Simple evaluation of the wound healing activity of a crude extract of root bark of Ulmus parvifolia. J Wonkwang Medi Sci 20: 313-318. 

  15. Mohideen S, Ilavarasan R, Hemalatha S, Anitha N, Sasikala E. 2003. Wound healing and diuretic activities of Canthium parviflorum lam. Nat Prod Sci 9: 102-104. 

  16. Min DH, Kim DK, Lim JP, Yang JH. 2005. Transdermal drug delivery & therapeutic effect of the preparations of Lithospermi radix and Gardeniae fructus extracts on the burn & wound healing. J Kor Pharm Sci 35: 255-263. 

  17. Kader KN, Coyle CH. 2007. Reactive oxygen and nitrogen species: implications for cardiovascular device engineering. J Biomed Mater Res Part B 83B: 138-144. 

  18. Kim HH, Park GH, Park KS, Lee JY, An BJ. 2010.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ion activity of fractions from Aster glehni Fr. Schm.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434-441. 

  19. Kim JM, Kim DJ, Kim TH, Kim HS, Choe M. 2010.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Perillae semen in RBL-2H3 cells. Korean J Nutr 43: 367-373. 

  20. Saeavanan BC, Sreekumar C, Bansal GC, Ray D, Rao JR, Mishra AK. 2003. A rapid MTT colorimetric assay to assess the proliferative index of two Indian strains of Theileria annulata. Vet Parasitol 113: 211-216. 

  21. Kim DH, Yi HS, Yun HJ, Cha CM, Park SD. 2010. Anti-inflammatory effect of methanol extract of Keum-Ryung-Ja-San in mouse macrophages. Kor J Herbology 25: 89-98. 

  22. Hayashi Y, Tsuji S, Tsuji M, Nishida T, Ishii S, Iilima H, Nakamura T, Eguchi H, Miyoshi E, Hayashi N, Kawano S. 2008. Topical implantation of mesenchymal stem cells has beneficial effects on healing of experimental colitis in rats. J Pharmacol Exp Ther 326: 523-531. 

  23. Knighton DR, Hunt TK, Thakral KK, Goodcon WH. 1982. Role of platelets and fibrin in the healing sequence. Ann Surg 196: 379-387. 

  24. Hunt TK, Knighton DR, Thakral KK, Goodson WH 3rd, Andrews WS. 1984. Studies on inflammation and wound healing: angiogenesis and collagen synthesis stimulated in vivo by resident and activated wound macrophages. Surgery 96: 48-54. 

  25. Eun JS. 2011. Effect of Lespedeza cuneata G. Don on the activity of murine immune cell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5: 837-842. 

  26. Thippeswamy T, Mckay JS, Quinn JP, Morris R. 2006. Nitric oxide, a biological double-faced janus-is this good or bad. Histol Histopathol 21: 445-458. 

  27. MacMicking J, Xie QW, Nathan C. 1997. Nitric oxide and macrophage function. Annu Rev Immunol 15: 323-350. 

  28. Yoon JH, Moon HB. 1994. The effect of macrophages on the wound healing delayed by immunosuppression. J Korean Surg Soc 46: 10-22. 

  29. Schaffer MR, Tantry U, Gross SS, Wasserkrug HL, Barbul A. 1996. Nitric oxide regulates wound healing. J Surg Res 63: 237-240. 

  30. Han SM, Lee KG, Yeo JH, Kweon HY, Woo SO, Baek HJ, Park KK. 2006. The effects of Bombyx mori silk protein for the expression of epithelial growth factor in the wound healing process of the hairless mouse. Korean J Seric Sci 48: 56-60. 

  31. Kim JS, Han SH, Jung BK, Park SJ, Kim HW, Chae H, Kwon YK, Kim BJ. 2010. Effects of Korean herbal bathing candidates on allergic contact or wound induced dermatitis mice mode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4: 481-489. 

  32. Martin P. 1997. Wound Healing-aiming for perfect skin regeneration. Science 276: 75-81. 

  33. Muller MJ, Hollyoak MA, Moaveni Z, Brown TLH, Herndon DN, Heggers JP. 2003. Retardation of wound healing by silver sulfadiazine is reversed by Aloe vera and nystatin. Burns 29: 834-836. 

  34. Diegelmann RF, Evans MC. 2004. Wound healing: An overview of acute, fibrotic and delayed healing. Front Biosci 9: 283-289. 

  35. Macri L, Silverstein D, Clark RAF. 2007. Growth factor binding to the pericellular matrix and its importance in tissue engineering. Adv Drug Delivery Rev 59: 1366-1381. 

  36. Cornelissen LH. 2004. Which molecules of the initial phase of wound healing may be used as 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skin damage. http://www.mate.tue.nl/mate/pdfs/4703.pdf. 

  37. Hong JH, Kim HS, Kim HR, Park MK, Yoon CH, Lee SH, Kim HY, Park SH. 2005. Elevated serum level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Behcet's syndrome. J Korean Rheum Assoc 12: 189-196. 

  38. Shah M, Revis D, Herrick S, Baillie R, Thorgenirson S, Ferguson M, Roberts A. 1999. Role of elevated pla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1$ levels in wound healing. Am J Pathol 154: 1115-1124. 

  39. Crouvezier S, Powell B, Keir D, Yaqoob P. 2001. The effects of phenolic components of tea on the production of pro- and anti-inflammatory cytokines by human leukocytes in vitro. Cytokine 13: 280-286. 

  40. Lee JH, Byun JA, Yeo SW, Kim JK, Park YS. 2011. Role of interleukin-10 on mouse otitis media model using lipopolysaccharide. Korean J Otorhinolaryngol-Head Neck Surg 43-47. 

  41. Kapoor M, Howard R, Hall I, Appleton I. 2004. Effects of epicatechin gallate on wound healing and scar formation in a full thickness incisional wound healing model in rats. Am J Pathol 165: 299-307. 

  42. Rolfe KJ, Richardson J, Vigor C, Irvine LM, Grobbelaar AO, Linge C. 2007. A role for TGF- ${\beta}1$ -induced cellular responses during wound healing of the non-scarring early human fetus. J Invest Dermatol 127: 2656-26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