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 및 선호도 분석 - 서울특별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Behavior and the Preference of Roof Spaces Depending on Building Types - A Focus on the Case of Seoul, Korea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10 - 20  

김은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늘날 옥상공간은 대부분 휴식과 같은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옥상공간의 이용이 적거나,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면, 옥상공간이 방치되거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어,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국내의 경우, 옥상공간은 비교적 획일적이고 단순하게 조성되어 있다. 하지만, 건물용도에 따라 이용자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도 다를 것이며, 옥상공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건물용도(공공건물, 교육연구건물, 의료건물, 판매건물)를 선정하여 연구대상지의 이용경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를 건물용도별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때,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에서 이용목적, 이용동기, 이용빈도, 평균체류시간이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용목적의 경우, 모든 건물에서는 휴식을 위해서 옥상공간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공공건물에서는 대화와 흡연을, 교육연구건물에서는 흡연, 산책 및 스트레칭, 외부경관감상을, 의료건물에서는 산책 및 스트레칭과 대화를, 판매건물에서는 아이 돌보기와 대화를 목적으로 옥상공간을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상공간의 선호도에서도 식물유형, 포장재, 시설물 선호도가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유형의 경우, 공공건물 이용자들은 초본류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의료건물 이용자들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판매건물 이용자들은 모든 유형의 식물을 다른 용도의 건물 이용자들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 차이를 고려하여 옥상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day, most roof spaces are being designed as places for resting. The use of the roof spaces needs to be raised otherwise, budgeting or costs involved can be wasteful. A well-made plan is needed to increase the use of the roof spaces. The behavior of and preference for roof spaces could differ dep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는 옥상공간은 건물용도에 따라 이용자 특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옥상공간은 이를 고려하지 않고 조성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 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구성요소 선호도를 분석하여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 2012). 이에 옥상공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는 향후 옥상공간의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바람직한 조성방안을 모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옥상공간의 이용이 적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오늘날 옥상공간은 대부분 휴식과 같은 이용을 목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옥상공간의 이용이 적거나, 유지관리가 소홀하게 되면, 옥상공간이 방치되거나, 용도변경 등의 이유로 조성비용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어, 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설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한편, 국내의 경우, 옥상공간은 비교적 획일적이고 단순하게 조성되어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국내 옥상녹화의 디자인과 원리는 어떤 패턴을 보이는가? 한편, 국내외의 옥상녹화 적용사례를 통해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사례에서는 비교적 획일화되어 있고, 단순하며, 전반적으로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Jeong and Oh, 2005; Bae et al., 2009).
건물 용도별로 옥상공간에 사용하는 식물유형 선호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또한, 옥상공간의 선호도에서도 식물유형, 포장재, 시설물 선호도가 건물용도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물유형의 경우, 공공건물 이용자들은 초본류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의료건물 이용자들은 채소류 및 수생식물을, 판매건물 이용자들은 모든 유형의 식물을 다른 용도의 건물 이용자들보다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건물용도별 옥상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도 차이를 고려하여 옥상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이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J. M., H. J. Kwon, Y. S. Kim, and B. Y. You(2009) A case analysis apply the design elements to green roof site. Journal of the Korean Floral Art Research Association 13(4): 37-48. 

  2. Belinda, Y. and N. H. Wong(2005) Resident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rooftop gardens in Singapore.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4): 263-276. 

  3. Gil, S. H.(2007) A Study on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of Green Roof Projects Supported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Ma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4. Herrick, S. C.(2002) Grow a garden on your roof. Countryside and Small Stock Journal 86(5): 35. 

  5. Huh, K. Y. and I. H. Kim(2004) Evaluating user's cognition and satisfaction in a hospital roofgarden environment: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7(2): 62-73. 

  6. Jang, S.W. and D. K. Lee(2008) Acomparative analysis of rooftop greening in Korea and Japa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1(6): 143-152. 

  7. Jeong, M. S. and D. S. Oh(200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planning factors and improvement of a green roof system. Proceeding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onference 1(1): 97-104. 

  8. Kim, C. Y.(2003) AStudy on Enhanced Architectural Uses of the Building Rooftop Spaces.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9. Kim, I. H., K. Y. Huh, A. H. Choi, and Y. I. Kim(2003a) Th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roofgarden at hospital: A case study of Asan Medical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58-72. 

  10. Kim, K. H.(2008) A Study on Actual Conditions and Improvements of Metropolitan Rooftop Landscape: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Gyeongsan, Korea. 

  11. Kim, S. B.(2012) A research of the residents' availability and health effectiveness based upon the types of green roof.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3): 60-68. 

  12. Kim, S. B., K. J. Sim, H. D. Lee, and J. O. Kwon(2003b) A practical strategy for the use of the flat roof as a resource for greening of Daegu,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1(3): 54-62. 

  13. Kim. H. S.(2013)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Based on Visitors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the Hotel Roof Garden.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4. Kim. H.(2006) Level of Satisfaction and Preference of Afforestation of the Rooftop: Emphasis on Office Building of Seoul.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5. Lee, G. G.(2006) Visual preference in green roof sit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5): 32-38. 

  16. Lee, J. W.(2010) Citizen's Recognition on Use and Maintenance of Rooftop Gardens. Master's Thesis,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Jinju, Korea. 

  17. Na, H. Y. and H. S. Byun(2006) Research trend of rooftop affore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0(1): 95-106. 

  18. Park, E. J., K. Y. Kang, and M. A. Nam(2010) Green roof strategy for mitigating the urban heat Island effec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Study of Policy 2010(10): 1-172. 

  19. Song, H. M.(2010) The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Survey of Roof Garden on the Office Building and Department Store.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0.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1999) Landscape Design. Seoul: Kimoondang. 

  21. Yoon, J. Y., E. J. Kang, and H. K. Kang(2012)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green roof operato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6(3): 454-462. 

  22. Yoon, S. W.(2005)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abitats environment evaluation model: Focused on local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determining priority areas for the implementation of green roof in Seoul.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8(3): 53-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