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행태 및 선호요인 분석
Analyses of User Behavior and Preference Factors in the Outdoor Spaces of Psychiatric Hospital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72 - 88  

안득수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행태와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정신병원은 250병상 이상의 병원 중 정원의 규모와 도입요소의 다양성을 고려하여 5개소를 선정하였다. 피험자는 경증의 정신분열증 환자로 한정하였으며, 5개의 병원에서 각각 30~50명씩을 주치의로부터 추천을 받아 선정하였다. 물리적 환경은 연구대상지를 직접 방문하여 공간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방법은 환자의 인지능력을 고려하여 1:1 면접법을 선택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설문매수는 총 230매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정원구성요소는 휴게시설, 조경시설, 산책/운동시설, 체험시설의 순으로 많았다. 옥외 산책/운동 프로그램은 단체산책과 자유산책으로 구분되는데, 대부분 단체산책을 실시하고 있다. 옥외공간은 매일 이용자가 대부분이지만, 거의 이용하지 않는 환자도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옥외공간의 이용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통제력 확보를 위한 공간과 사회적 접촉을 유도하는 공간의 비율이 적절히 조화되어야 한다. 옥외 주 이용 공간의 선호 이유는 경관/환경성이 가장 중요하고, 다음이 기능성, 접근성이다. 선호공간에서의 주요행위는 산책/운동과 휴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선호시설은 연못, 폭포, 분수 등의 수경시설과 퍼골라, 녹음수 등의 휴게시설 그리고 잔디밭이다. 새로운 치유정원 조성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분야는 자연성이며, 그 다음이 심미성과 쾌적성으로 파악되었다. 도입되기를 선호하는 단일시설로는 꽃밭, 산책로 및 잔디밭이며, 유형별로는 분수, 연못, 폭포 및 물레방아 등의 수경시설을 가장 선호한다. 가장 선호하는 기능공간은 자연적인 기분전환을 할 수 있는 공간이며, 프로그램은 꽃밭가꾸기가 가장 선호되었다. 치유정원의 이상적인 이미지는 산뜻하면서도 친근하며, 정원에 도입시설이 풍부하되, 전체적으로는 질서 있는 정원이었다. 위요되는 것보다는 개방적인 공간을 선호하였으며, 마음을 차분하게 하는 정원을 가장 이상적인 정원의 이미지로 생각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user behavior and preference factors in the outdoor spaces of mental hospitals. Among hospitals with 250 or more beds, 5 hospital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size of garden and diversity of garden element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restricted t...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실태 및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연구는 어떠한 프로세스를 통하여 연구 대상지 및 피험자를 선정하였나요? 정신병원 옥외공간의 이용실태 및 선호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한 본 연구는 다음의 프로세스를 통하여 연구대상지 및 피험자를 선정하였다. 첫째,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8)의 정신보건관련통계를 바탕으로 정신병원의 규모를 분류한 후 피험자수를 고려하여 250병상 이상 규모의 정신병원을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된 정신병원을 대상으로 항공사진 및 각 병원의 홈페이지를 통해서 정원의 유무 및 규모 정도를 파악한 후 20개 병원으로 압축하였다. 셋째, 20개 병원을 직접 방문하여 정원의 규모 및 도입요소의 다양성 등을 고려하여 다시 10개소를 선정한 후, 병원 관련자와의 면담을 통해 협조 가능한 병원 5개소를 최종 연구대상지로 하였다.
우리나라는 어떠한 형태로 질병구조가 변화되고 있나요? 우리나라는 전염성질환과 영양부족에서 오는 후진국형 질병은 감소되며, 노인성질환, 심혈관질환 등의 만성퇴행성질환, 정신질환, 알코올 및 약물중독 등이 증가하는 선진국형 질병구조로의 변화를 보이고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0). 구미 선진국의 연구에 의하면 정신질환에 의한 사회적 비용은 모든 암으로 인한 비용의 1.
정원구성요소는 어떻게 구분하였나요? 정원구성요소는 크게 휴게시설, 조경시설, 운동/산책시설 및 체험시설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대부분의 병원에서는 휴게, 조경, 운동/산책, 체험시설 순으로 도입시설이 다양하였는데, 이것은 정신병원의 정원시설이 아직은 적극적인 활동을 위한 시설보다는 소극적 휴식을 위한 시설들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hn, D. S.(2004) Preference analysis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psychiatric hospita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8(2): 55-66. 안득수(2004) 정신병원 치료정원 조성을 위한 선호도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2): 55-66. 

  2. Barnhart, S. K., N. H. Perkins and J. Fitzsimonds(1998) Behaviour and outdoor setting preferences at a psychiatric hospital.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2: 147-156. 

  3. Cooper Marcus, C. and M. Barnes(1995) Gardens in Healthcare Facilities: Uses, Therapeutic Benefits, and Design Recommendations. Martinez, CA: The Center for Health Design, Inc. 

  4. Cooper Marcus, C. and M. Barnes(1999) Healing Gardens. Wiley: New York. pp. 1-75. 

  5. Grerlach-Spriggs, R. E. K. and S. B. Warner(1998) Restorative Gardens: The Healing Landscape. Yale University. 

  6. Ismail, S.(2006) Garden as Restorative Environment for Children in Malaysian Hospital. Ph. D. Dissertation. University Teknologi Malaysia. 

  7. Ismail, S., S. Z. Salleh, M. S. A. Bakar and M. Ismail(2005) Caregivers' evaluation on hospitalized children's preferences concerning garden and ward. Journal of Asian Architecture and Building Engineering 14(2): 331-338. 

  8. Jeong, N. R.(2004) Preference Analysis for Healing Garden Designs on Psychiatric Hospitals: Focused on the Form of Waterscape Facilitie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정나라(2004) 정신병원의 치료정원 설계를 위한 선호도 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Kim, S. Y., H. J. Joo, H. S. Sim and D. S. Ahn(2008) A basic survey for healing garden construction on the elderly nursing hospital.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2(1): 11-20. 김세영, 주희정, 심홍선, 안득수(2008) 노인요양병원치료정원조성을위 한 기초조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1): 11-20. 

  1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2010) Establishment Road-map of Research Business. 질병관리본부(2010) 질병관리본부 연구사업 로드맵 구축. 

  11. Larsen, L. S.(1992) Nature as Therapy: An Assessment of Schizophrenic Patient's Visual Preferences for Institutional Outdoor Environments. University of Guelph(Canada). MLA. 

  12.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06)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보건복지부(2006)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보고서. 

  13. Ministry of Health & Welfare(2012) The Epidemiological Survey of Mental Disorders in Korea. 보건복지부(2012) 정신질환실태역학조사 보고서. 

  14.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2009) A Survey on the Characteristic and Facilities of Mental Health Center. pp. 1. 국가인권위원회(2009) 정신보건시설 재원자 및 시설 실태조사. pp. 1. 

  15. Olds, A. R.(1985) Nature as healer. In J. Weiser and T. Yeomans, Readings in Psychosynthesis: Theory, Process, and Practice. Toronto, Ont.: Institute for Studies in Education. 

  16. Parsons, R.(1991) The potential influenc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on human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1-23. 

  17. Sherman, S. A., J. W. Varni, R. S. Ulrich and V. L. Malcarne(2005) Post-occupancy evaluation of healing gardens in a Pediatrics Cancer Center.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 167-183. 

  18. Ulrich, R. S.(1984) Views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20-421. 

  19. Ulrich, R. S.,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201-230. 

  20. Whitehouse, S., J. W. Varni, M. Seid, C. Cooper-Marcus, M. J. Ensberg, J. R. Jacobs and R. S. Mehlenbeck(2001) Evaluating a children's hospital garden environment: Utiliz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301-314. 

  21. Wong, J. W.(2001) The Impact of Viewing a Garden on Physiological Health of Elderly Women. University of Guelph(Canada). MLA. 

  22. World Health Organization(2001) Procedures for the development of new language versions of theWHO Composite International Diagnostic Interview (WHO-CIDI).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23. Yuko, H.(2004) Evaluating the effect of therapeutic gardens.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and Other Dementias 19(4): 239-2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