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캠퍼스코어의 보행친화형 개조전략 연구 - 경기도 H대학교를 사례로 -
A Strategic Study of Pedestrian-Friendly Reconstruction in University Campus Core - Case Study of 'H' University in Gyeonggi-do Province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6, 2014년, pp.89 - 100  

홍윤순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박청인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캠퍼스코어는 최고학문기관인 대학교의 물리적 기능적 상징적 중심환경인 까닭에, 개교 당시의 교육이념뿐만 아니라, 변모되는 시대적 가치를 은유적으로 대변한다. 오늘날 대학은 기능측면에서는 지역사회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물리적 환경측면에서는 보행친화형 캠퍼스로의 개조를 요청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행친화환경의 측면에서 캠퍼스코어의 개념을 이해하면서 다양한 선행사례의 검토를 통해 현실적 관점에서 지방 국립대학교 캠퍼스코어의 개조전략을 제안하였다. 공공적 복합용도의 도입기회와 연계하여 차량 중심으로 왜곡되었던 공간구조를 보행친화형으로 개조하기 위한 계획적 준거들을 제안한 본 연구는 기존 캠퍼스코어의 보행친화형 동선체계로의 전략적 개편과 토지이용의 부분적 수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소기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을 뒷받침하여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성과는 오늘날 캠퍼스코어의 의미와 가치를 되돌아보게 하면서 유사한 정비계획에 유효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mpus Core is centered at the physical, functional and symbolic environment of a university, which is known as the top academic institution, hence it metaphorically represents not only the educational philosophy when institution first opened, but also the transformed values of the time. Toda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이유로 오늘날 주거 및 대학캠퍼스 등 단지계획의 기본원칙 중 하나로 무장애(barrier free)의 보행친화전략이 통례적으로 등장한다. 더불어 상기의 측면은 교육과 연구, 학사행정과 같은 대학 본연의 기능을 넘어 대학구성원과 인근주민의 건강한 교류, 휴식과 재충전 등의 레크리에이션 활동측면의 증대가 요청되고 있는 캠퍼스환경에서 더욱 그 빛을 발하는바, 이후 계획적 접근에서의 착안점을 정리하기 위하여 보행친화형 캠퍼스환경을 확보하기 위한 국내의 실천사례들을 살펴본다.
  • 본 연구는 캠퍼스코어를 보행친화의 관점에서 이해하기 위해 전개되었던 이제까지의 연구 성과를 점검하는 한편, 국내 여러 캠퍼스에서 시행되었던 대 사회적 관점의 공공복합용도 도입 및 보행친화형 환경개선에 대한 조사를 병행한다. 이러한 연구 토대를 바탕으로 계획안의 실질적 제안을 위한 사례연구대상 캠퍼스로서 경기도 안성시 소재 국립 H대학교를 선택하였다.
  • 아울러 2015년 준공예정건물(미래융합기술센터)이 노후건물(창업보육센터 및 생물정보통신대학원)과 본관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게 되어, 2015년 후반기쯤부터 2동의 노후건물 철거와 본관의 리모델링 계획9)이 추진되듯 캠퍼스코어의 구조적 개편기회를 맞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가설구조로 인해 경관문제가 대두되어온 온실과 노후화가 가중되고 있는 2개 동(후생관, 비봉관)은 2단계 철거대상으로 분류(Figure 7 참조)됨으로써 단기차원을 넘어 향후 미래발전계획과도 연계한 정비계획의 모색 역시 부분적으로 가능한 상황이어서 본 연구를 제안하게 되었다.
  • 이에 기존 주 진입부를 캠퍼스코어의 활성화를 위한 보행기간망으로 전용하면서 차량교통에서 이를 대체할 진출입구의 추가확보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기본으로 차량으로부터 해방된 보행친화형 캠퍼스코어를 구축하기 위해 요청되는 실행방안을 검토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 환경의 구조적 변화가능성이 준비되고 있는 사례환경을 대상으로 보행친화형 캠퍼스코어로의 개조계획을 제안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본 연구는 캠퍼스 내 새롭게 도입될 대(對) 사회적 시설의 적지모색과 연동하여 캠퍼스 내부의 교통동선체계를 보행친화형 구조로 개조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들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 이에 본 연구는 보행친화형 캠퍼스코어에 대한 요청이 증대 되는 오늘날, 이와 관련된 이론연구와 선행사례를 검토한 후, 차량중심으로 왜곡되어 그 잠재력을 발현하지 못하고 있는 대상지에 대한 실천적 전략을 일관된 관점으로 모색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 캠퍼스코어의 재정비 역시 여타의 환경계획처럼 주변조건과 관련계획 등의 외부적 여건과 캠퍼스 내부의 공간구조를 여하히 결속시킬 것인가의 문제로 환원되는바, 본 연구는 대 사회적 복합용도시설의 도입계기를 활용함으로서 미래변화에 전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캠퍼스코어의 개조전략을 모색하였다. 즉, 본 연구는 대 사회적 복합용도의 거점시설 도입 및 노후시설의 철거 등 캠퍼스공간구조의 변모 계기를 활용하여 이와 연계되며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조개편안을 제안하였다. 이 제안에 있어 새롭게 도입될 복합용도의 입지와 형식이 특히 중요하였으며, 불합리한 기존의 주 진입로 체계를 보행간선축선으로 회복하는 대신, 이와 분리된 차량교통체계를 설정하고 대체 진입로의 추가개설을 제안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대학 캠퍼스 환경의 구조적 변화가능성이 준비되고 있는 사례환경을 대상으로 보행친화형 캠퍼스코어로의 개조계획을 제안하는 방식을 취한다. 즉, 본 연구는 캠퍼스 내 새롭게 도입될 대(對) 사회적 시설의 적지모색과 연동하여 캠퍼스 내부의 교통동선체계를 보행친화형 구조로 개조하기 위해 필요한 전략들을 추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 연구의 성과를 통해 오늘날 캠퍼스코어 환경의 의미와 가치를 부분적으로나마 되돌아볼 수 있을 것이며, 지역사회와 대학 간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기 위한 유사 캠퍼스코어 환경정비계획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즉, 본 연구는 현 단계의 여건을 실질적이고도 실현가능한 측면에서 반영하는 즉지적 · 처방적 관점에서 캠퍼스코어의 개조방안을 모색토록 한다.
  • 캠퍼스코어의 재정비 역시 여타의 환경계획처럼 주변조건과 관련계획 등의 외부적 여건과 캠퍼스 내부의 공간구조를 여하히 결속시킬 것인가의 문제로 환원되는바, 본 연구는 대 사회적 복합용도시설의 도입계기를 활용함으로서 미래변화에 전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캠퍼스코어의 개조전략을 모색하였다. 즉, 본 연구는 대 사회적 복합용도의 거점시설 도입 및 노후시설의 철거 등 캠퍼스공간구조의 변모 계기를 활용하여 이와 연계되며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구조개편안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에서의 대학의 특징은? 오늘날 대학은 대학 본연의 기능인 교육·연구 외에 다양한 기능이 복합적으로 생성되면서 지역사회와 더불어 성장·발전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현대사회에서의 대학은 지역사회와의 연계성을 긴밀히 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더욱 강화하고, 이를 통해 보다 차원 높은 지적 활동의 공동체로 변모하는 특성이 발견된다2). 대학 내 상호교류와 사회성이 강조되는 작금의 현실은 보행권역인 캠퍼스코어 내부의 친환경성을 강력히 요청하는 까닭에, 그 기반으로 작용할 보행친화형 캠퍼스코어 조성전략에 관심을 우선시킬 필요가 있다.
캠퍼스라는 용어의 어원 중 이탈리아어 캄포와 관련된 의미는? 캠퍼스(Campus)는 라틴어로 경작지 또는 야영지의 의미를 갖는 캄포스(Kampus)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이탈리아어 캄포(Campo)는 사전적인 의미로 편평한 장소, 즉 ‘광장’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캠퍼스란 용어가 대학교를 대상으로 처음 쓰인 것은 18세기 미국의 넓은 교지에 독립적인 경계를 갖는 프린스턴 대학에서부터인 것으로 알려진다(Lee et al.
대학의 캠퍼스라는 물적환경에 잠재되어 있는 것은? 대학은 당대의 최고지성을 육성하기 위한 요람으로, 캠퍼스를 통해 실체로서 성립된다. 따라서 대학의 캠퍼스라는 물적환경에는 건학이념과 설립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과 가치들이 잠재되어 있다. 그러나 대학의 물리적 환경과 그 이면에 내재된 사고는 불변하지 않고 시대상황에 따라, 또는 즉흥적·무계획적 과정에 의해서도 지속적으로 변모되어 왔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Hankyong National University(2009) 70th History of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eo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2. Hankyong National University(2011) New Comprehensive University Campus Master Plan. Anseo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3. Kim, J. P. and Y. S. Kim(2007) A study on the meaning and revitalization strategy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university campu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Educational Facilities 14(1): 10-20. 

  4. Kim, J. P.(2008) Campus landscape architecture renovation plan university -Case study of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Plants People & Environment 11(2): 25-39. 

  5. Lee, K. H.(2011) A research on the reconstruction project the main gate area of the U university campus.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ducational Environment 10(1): 1-9. 

  6. Lee, S., G. Kim and Y. Cho(2006) A study on hyperfractionated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campus. Korean Institute Educational Facilities 13(2): 35. 

  7. Min, C. G.(2002)Astudy on formation of universitymaster plan and periodic chang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Educational Facilities 9(1): 27-36. 

  8. Park, H. and J. Y. Chung(2013)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space construction in the university campus master pla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ssociation 15(2): 21-32. 

  9. Park, H.(2011) A study on plan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master pla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10): 227-239. 

  10. Yang, W. H. and G. N. Lee(1990) A study on process of plan for university campu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6(4), 45-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