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향상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치유효과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Landscape on University Students' Stress Reduction and Cognitive Enhancemen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3 no.6, 2015년, pp.127 - 137  

이영경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대학생들은 학업과 사회관계 그리고 경제적 의존 등으로 인하여 매우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저하이론과 집중력 회복 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피부돌출도(GSR: galvanic skin responsse), 심박시간(IBI: interveat interval), 심리측정(ZIPERS: Zuch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s), 그리고 산수암산이 평가도구로 채용되었다. 자연경관의 치유효과는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통해 조사되었으며, 128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결과분석에는 120명의 자료가 이용되었다. 연구결과를 보면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향상에서 자연경관의 치유효과가 도시경관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자연경관의 치유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경관은 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이러한 효과는 GSR과 IBI를 포함한 두 가지 생리측정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더 나아가 IBI 측정결과를 보면 도시경관의 치유효과가 자연경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결과는 연구 참여자 특성과 연구대상 경관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체적으로 연구 참여자의 나이가 젊고(평균 23.8세), 참여자가 다니는 대학교가 자연경관이 우세한 지역에 있다는 점이 생리측정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시경관이 Kaplan and Kaplan이 주장하는 네 가지 치유경관특질 중 하나인 공간감을 갖고 있는 점도 원인으로 생각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에 근거하면 이후 연구에서는 경관의 내용과 종류 그리고 연구 참여자 특성이 자연경관의 치유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severe stress and depleted directed attention due to study, social relationships, and economic dependency. Based on the stress reduction theory and the attention restoration theor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atural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만약 자연경관이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이러한 치유효과는 도시에 위치한 대학의 경관계획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의 치유효과를 도시경관과 비교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스트레스 측정을 위해서는 ZIPERS를 이용한 심리측정과 생리측정(피부돌출, 심박시간), 그리고 산수암산을 이용한 인지측정이 함께 사용되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경관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해소와 집중력 회복에 미치는 치유효과를 생리적, 심리적, 인지적 측면에서 조사하고자 한다. 만약 자연경관이 대학생들의 인지능력 향상과 스트레스 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면 이러한 치유효과는 도시에 위치한 대학의 경관계획에 더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본 연구에서는 심리, 생리, 인지 등의 세 가지 측정매체를 활용하여 다각적인 관점에서 대학생의 스트레스해소와 인지능력 향상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치유효과를 조사하였다. 비록 연구결과에서 자연경관의 생리적 스트레스 해소가 도시경관보다 더 탁월하다는 점을 입증하지는 못했지만 자연경관이 대학생의 심리적 스트레스 해소와 인지능력 향상에 도시경관보다 더 효과가 높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들이 스트레스를 받는 주요 원인들은 무엇인가?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면 대학생들은 학업과 사회관계 그리고 경제적 의존 등으로 인하여 매우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저하이론과 집중력 회복 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스트레스가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 스트레스는 처리해야 하는 외부적 자극이나 정보가 인간의 처리능력을 넘어설 때 발생한다(Lazarus and Launier, 1978). 적정한 정도의 스트레스는 삶에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개인의 수용능력을넘어서면건강에위험한결과를초래한다(Evans and Cohen, 1987).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영향을 조사하는 평가도구는 무엇이 있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저하이론과 집중력 회복 이론에 근거하여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인지수행에 미치는 자연경관의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피부돌출도(GSR: galvanic skin responsse), 심박시간(IBI: interveat interval), 심리측정(ZIPERS: Zucherman Inventory of Personal Reactions), 그리고 산수암산이 평가도구로 채용되었다. 자연경관의 치유효과는 도시경관과의 비교를 통해 조사되었으며, 128명의 대학생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ackowski, J. M. and J. L. Nasar(2003) The restorative effects of roadside veget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35: 736-751. 

  2. Cho, A. R and G. H. Kim(2011) Ego identity status and coping strategie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12(1): 283-300. 

  3. Choi, W. K. and J. S. Kim(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life stress and suicidal ide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frustrated interpersonal needs.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22(1): 1-25. 

  4. Cohen, S.(1980) Aftereffects of stress on human performance and social behavior: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y. Psychological Bulletin 88: 82-108. 

  5. Cozby, P. C.(1989) Methods in Behavioral Research. California: Mayfield Publishing. 

  6. Evans, G. W. and S. Cohen(1987) Environmental stress. In Stokols, D & I Alt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New York: Wiley. 

  7. Felsten, G.(2009) Where to take a study break on the college campus: An attentional recovery as distinctive benefits of restorative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9: 160-167. 

  8. Grahn, P. and U. A. Stigsdotter(2003) Landscape planning and stress. Urban Forestry and Urban Greening 2: 1-18. 

  9. Hartig, R., G. W. Evans, L. D. Jamner, D. S. Davis and T. Garling(2003) Tracking restoration in natural and urban field setting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109-123. 

  10. Hartig, T. A., M. Mang and G. W. Evans(1991) Restorative effects of natural environment experience. Environment and Behavior 23: 3-26. 

  11. Hartig, T. A.(1993) Testing Restorative Environments The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12. Hartig, T. A.(2007) Three steps to understanding restorative environments as health resources. In Ward Thompson, C. Travlou, P., (EDs), Open Space, People Space, Taylor and Francis, pp. 163-180. 

  13. Hockey, R.(1979) Stress and the cognitive components of skilled performance. In V. Hamilton and D. Warburton (Eds.), Human Stress and Cognition (pp. 141-177). New York: Wiley. 

  14. Hwang, C. H.(2012) Analysis of stress for a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ccupational Therapy Policy for Aged Industry 4(1): 73-82. 

  15. Hwang, S. H. and J. K. Park(2009) The stress-buffering effect of natural environment on the job-seeking of the students-Focused on savanna theory.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Management 24(3): 85-101. 

  16. Jung, C. Y. and I. K. Choi(2009)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WIN. Seoul: Muyoug Institute. 

  17. Kaplan, R. and S. Kaplan(1989) The Experience of Nature: A Psych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 Kang, H. S.(2010) The relationship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stress confrontation strateg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23(3): 141-155. 

  19. Krantz, D., N. Grunberg and A. Baum(1985) Health psycholog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349-383. 

  20. Kim, K. W. and Y. H. Cho(2011)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self-efiicacy between career stress and college adjustment among freshmen.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4): 197-218. 

  21. Kim, M. S.(2010). The study of the effect of perceived stress and depression on the school adjustment of Korean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therapy 1(2): 53-67. 

  22. Kim, H.(2012) Stres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Parent Child Health J 15(2): 89-94. 

  23. Laumann, K., T. Garling and K. M. Stormark(2003) Selective attention and heart rate responses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3: 125-134. 

  24. Lacey, J. I. and B. C. Lacey(1970) Some autonomic-central nervous system interrelationships. In P. Black, ed., Physiological Correlates of Emotion. New York: Academic Press. pp. 205-227. 

  25. Lazarus, R. S. and R. Launier(1978). Stress-related transactions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In L. Pervin &M. Lewis (Eds.), Perspectives in Interactional Psychology (pp. 1-67). New York: Plenum. 

  26. Parsons, R., L. G. Tassinary, R. Ulrich, M. R. Hebl and M. Grossman-Alexander(1998) The view fromthe road: Implication for stress recovery and immuniz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 113-140. 

  27. Park, M. J., J. H. Kim and M. S. Jung(2009) A qualitative study on th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for preparing employment. The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0(1): 417-435. 

  28. Scopelliti, M and M. Giuliani(2004) Choosing restorative environments across the lifespan: A matter of place experi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4: 423-437. 

  29. Seo, I. K. and Y. S. Lee(2014) To verify a mediation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and considering suicide: Comparing between a female group and male group. Adolescent Welfare J 16(3): 25-53. 

  30. Tennessen, C. M and B. Cimprich(1995) Views to nature: Effect on atten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5: 77-85. 

  31. Ulrich, R.(1979) Visual landscap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Landscape Research 4(1): 17-23. 

  32. Ulrich, R.(1983) Aesthetic and affective response to natural environment. In I. Altman and J. F. Wohlwill, eds., Behavior and the Natural Environment. New York: Plenum Press. pp. 88-125. 

  33. Ulrich, R., R. F. Simons, B. D. Losito, E. Fiorito, M. A. Miles and M. Zelson(1991) Stress recovery during exposure to natural and urban environm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1: 201-230. 

  34. Windhorst, E. and A. Williams (2015), It's like a different world: Natural places, post-secondary students, and mental health. Health & Place 34: 241-250. 

  35. Wilburn, V. R. and D. E. Smith(2005) Stress, self-esteem, and suicidal ideation in late adolescents. Adolescnece 40(157): 33-45. 

  36. Yi, Y. K.(2003) Beneficial effect of forest landscape on relieving stress based on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2): 70-82. 

  37. Yi, Y. K.(2004) Characteristic analysis of natural landscape: Based on the assessments of naturalness by landscape professionals and layperson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6): 1-14. 

  38. Yi, Y. K. and P. I. Yi(2006) The impact of landscape type on urban office workers' stress and cognitive performance: Comparison between natural and urban landscap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3(6): 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