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통해 입지선정 가이드라인과 산지 훼손 최소화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먼저 풍력발전단지 입지 적합성 분석을 위해 국내외 사례 및 현장조사, 연구문헌 고찰을 통해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을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요인별 세부항목 및 가중치를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항목별 세부평가기준을 수립함으로써 입지 적합성 모델을 개발하였다. 강원도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풍력자원 밀도 데이터, 법적 산지보전지역, 입지 기준 요인 항목별 자료를 토대로 공간 DB를 구축하여 산지 내 풍력발전 입지가능지역을 도출하였다. 일정 개수 이상의 풍력발전기가 입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 잠재 입지가능면적의 추정을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근린분석방법인 Block Statistics와 Focal Statistics 방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Block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261ha이며, Focal Statistics 방법에 의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 면적은 1,411ha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규모 절성토에 의한 산림재해 발생 우려 및 산지경관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저감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a guideline for the suitability of wind farm facilities in forest lands and to suggest improvement plans of policies and systems to minimize the damage of forest lands. First, we implemented a literature review and field surveys to examine and select fac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 및 자료들을 바탕으로 일본, 미국, 유럽 국가들의 풍력발전 입지요인과 입지불가능 지역 기준에 대해서 정리하였다(표 4). 기존 연구 및 관련 제도 분석을 통해 일반적인 풍황, 주거지 및 도로와의 거리 등의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국내 사례 및 현장조사와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산지 내 입지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표고, 경사, 임상, 산림보호구역 등에 대한 기준을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발전단지 설치 관련 법·제도 분석 및 기존 국내외 연구 및 사례분석과 함께 국내 기존 산지 내 육상풍력발전단지의 현황 분석을 통해 산지에서의 풍력발전단지 설치를 위한 입지적합성 요인 선정 및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현실적인 풍력발전 잠재입지 가능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근린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집단화를 고려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 영국은 풍력발전소 건설을 위한 입지선정 관련 고려사항에는 기초조사 시 경관평가를 실시하여 경관 지정지역을 파악하고 있으며, 시각효과를 고려하여 주요 공공 조망점에서 입지의 조망을 평가하고 있다. 또한 주거지와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소음, 반복적인 그림자 형성, 시각적 장해, 반사되는 빛 등으로 인한 영향을 살펴보고 있다. 생태계 지정지역 및 해당 지역에 출현하는 보호종과 서식환경에 관한 정보, 고고학적·역사적 유산, 공항 및 국방 시설물의 위치 등도 입지선정 시 고려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 잠재입지 가능면적을 계산하기 위하여 단순히 요인별 결과들의 중첩분석을 통한 파편화된 입지가능지역을 추출한 것이 아닌 10기 이상의 풍력발전기 집단화를 통한 단지의 입지가능지역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풍력발전단지 입지를 위해서는 발전기간 일정거리 확보, 접근도로 및 관리도로 건설 등으로 인한 면적이 필요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형태의 근린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기존 격자단위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가능면적을 산출한 결과는 약 1,646ha로 나타났지만, 근린분석의 Block Statistics와 Focal Statistics의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부지조성을 고려한 잠재적 입지가능면적을 산출할 수 있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육상풍력발전단지 설치 관련 법·제도 분석 및 기존 국내외 연구 및 사례분석과 함께 국내 기존 산지 내 육상풍력발전단지의 현황 분석을 통해 산지에서의 풍력발전단지 설치를 위한 입지적합성 요인 선정 및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좀 더 현실적인 풍력발전 잠재입지 가능면적을 추정하기 위해 근린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집단화를 고려한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를 연구대상으로 Block Statistics와 Focal Statistic 방법을 이용하여 풍력발전기 및 발전단지 잠재입지 가능지역에 대한 면적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합리적인 산지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풍력발전단지 입지에 대한 고려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 이는 기존 파편화된 풍력발전기 잠재입지 가능면적에서 소규모의 독립적인 가능지역들이 제외된 결과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입지기준에 의한 풍력발전기 입지 가능지역 도출뿐만 아니라 이러한 풍력발전단지 잠재입지 필요면적을 고려함으로써 산림훼손의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강구하였다. 그렇지만, 산지 내 풍력발전단지 입지를 위해서는 이러한 정량적인 분석뿐만 아니라 산림훼손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가설 설정

  • 강원도 산지 내 풍력발전 입지적합성 분석을 위해서 입지요인 중 백두대간보호지역, 산림보호지역, 공원지역은 풍력발전단지 비적합지역으로 배제시키고, 각 항목별 가중치는 모두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중첩분석을 통해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 가능지역을 추출하였다. 앞에서 분석된 입지요인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의 풍력발전기 및 풍력발전단지 잠재적 입지 가능면적을 산출한 결과, 풍력발전단지 입지를 전제로 하지 않은 단순한 풍력발전기 잠재적 입지(30m✕30m) 가능면적은 약 1,646ha로 나타났다(그림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전체 풍력발전소 현황 및 건설 계획은 어떠한가? 현재 우리나라 전체 풍력발전소는 총 42개소 설치되어 있으며 산지 내에 14개소, 해안 27개소, 해상에 1개소 분포하고 있고, 앞으로 육상에 5곳, 해상에 5곳이 건설될 계획을 가지고 있다. 특히 육상풍력발전단지 예정지는 백두대간 등 보호지역에 예정되어 있으며, 산정부의 능선을 따라 건설될 예정이다.
Block Statistics 방법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는 각 근린에 포함되어 있는 격자들에 대한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근린은 입력자료를 통해 반복된 이동윈도우(Moving Window)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Block Statistics 방법은 근린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중첩이 허용되지 않으며, 일정한 크기의 근린 내 포함되어 있는 격자들은 동일한 값을 가진다. 반면에 Focal Statistics 방법은 근린을 생성하는데 있어서 중첩이 허용되며, 중심격자 주변의 격자들을 포함하는 근린의 통계값을 중심 격자에 할당한다.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및 풍력발전의 보급 계획은 무엇인가? 우리나라는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13~2035)에서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 시 계획한 원자력 비중을 41%에서 22~29%로 조정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 비율은 제1차 때와 같이 총에너지 대비 11%를 유지하도록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따라 태양광은 2035년까지 30GW까지 보급하고, 풍력은 2035년까지 13GW로 육상에서는 2.5GW, 해상에서는 10.6GW 보급할 수 있는 건설 계획을 수립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적인 대체에너지 개발 및 공급의 요구도 증가에 따라 2001년 8MW에서 시작하여 2012년 433MW로 총 설치 용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ydin, N.Y., E. Kentel and S. Duzgun. 2010. GIS-based environmental assessment of wind energy systems for spatial planning: a case study from Western Turkey.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364-373. 

  2. Baban, S.M.J. and T. Parry. 2001. Developing and applying a GIS-assisted approach to locating wind farms in the UK. Renewable Energy 24:59-71. 

  3. Boone, D. 2008. Using GIS Technology To Evalue Forest Habitat and Public Land Impacts of Wind Energy Development. Wildlife & Wind Energy Conference, Kutztown University, Pennsylvania. 

  4. Bureau of Land Management. 2005. Overview of Wind Energy Projects. 

  5. Gamboa, G. and G. Munda. 2007. The problem of windfarm location: a social multi-criteria evaluation framework. Energy Policy 35:1564-1583. 

  6. Japan Wind Power Association. 2011. Issues and Missions of Japan Wind Energy (일본풍력발전협회. 2011. 일본의 풍력발전의 현황과 과제). 

  7. Jeon, S.H., S.M. An, Y.J. Choi and H.H. Sung. 2011.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for wind power using GIS. New Renewable Energy 7(3):83-91 (전상희, 안승만, 최영진, 성효현. 2011. GIS를 이용한 풍력발전단지 최적입지 선정방법에 관한 연구. 신재생에너지 7(3):83-91). 

  8. Kim, H.G., H.J. Hwang, J.H. Kim, S.H. Ko and W.S. Jung. 2010. Case study of wind farm design using OpenWind: Youngdeok wind farm.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9(9):1169-1175 (김현구, 황효정, 김주현, 고수희, 정우식. 2010. OpenWind를 이용한 풍력단지 설계 사례연구: 영덕풍력발전단지, 한국환경과학회지 19(9):1169-1175). 

  9. Kim, K.D., C.Y. Yun, M.H. Jo and S.J. Kim. 2012. Development of a suitability analysis system for wind energy facilities using 3D web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3):81-90 (김광득, 윤창열, 조명희, 김성재. 2012. 3차원 Web GIS 기반 풍력에너지 시설물 적지분석 시스템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3):81-90). 

  10. Kwon, Y.H., J.Y. Kim and M.J. Lee. 2008.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in the siting of solar and wind power plants. Korea Environment Institute. 157pp (권영한, 김지영, 이민주. 2008. 환경성을 고려한 태양광,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가이드라인.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57쪽). 

  11. Lee, M.J., S.J. Lee and C.Y. Lee. 2014. An integrat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for mountain ridgelines using spatial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2):107-120 (이명진, 이수재, 이창연. 2014. 통합정보제공을 위한 공간정보 기반의 국내 능선축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2):107-120). 

  12. Lee, S.B., G.H. Sa, Y.J. Ju, S.Y. Shim, Y.H. Seo, Y.H. Kwon, J.Y. Kim and Y.S. Im. 2011.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wind farm: I. Onshore wind farm. Korea Environment Institute. 96pp (이상범, 사공희, 주용준, 심숙연, 서윤희, 권영한, 김지영, 임영신. 2011. 풍력발전 단지 환경평가 방안 연구: I. 육상풍력발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6쪽). 

  13. New Energy and Industrial Technology Development Organization(NEDO). 2008. Wind Power Introduction Guide 9th Edition (NEDO. 2008. 풍력발전 도입 가이드북). 

  14. Park, Y.K., S.D. Kwon and T.K. Kim. 2007. Development of ridge distinction program of the mountainous districts using GIS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4):87-96 (박영규, 권순덕, 김태균. 2007. GIS를 활용한 산지의 능선구분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0(4):87-96). 

  15. Pryor, S.C. and R.J. Barthelimie. Climate change impacts on wind energy: a review.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4:430-437. 

  16. Ramirez-Rosado, I.J. E. Garcia-Garrido, L.A. Fernandez-Jimenez, P.J. Zorzano- Santamaria, C. Monteiro and V. Miranda. 2008. Promotion of new wind farms based on a decision support system. Renewable Energy 33:558-566. 

  17. Rodman, L.C. and R.K. Meentemeyer. 2006. A geographic analysis of wind turbine placement in Northern California. Energy Policy 34:2137-2149. 

  18. Song, K.Y., C.H. Bang, Y.S. Park and Y.J. Choi. 2012. Research and analysis for developing of evaluation on the site selection of wind farm.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16(1):3-12 (송근용, 방철한, 박영산, 최영진. 2012. 풍력발전단지 입지선정 기술개발을 위한 기반조사 및 사례분석, 한국풍공학회논문집 16(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