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대한 대중인식도 연구 -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이용한 필리핀 기마라스주의 사례
Study on Public Awareness of establishing Marine Protected Areas - Case Study of Guimaras Province, Philippine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8 no.6, 2014년, pp.663 - 672  

김태균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와 필리핀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해양생태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수는 늘어난 반면,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들이 원래의 설정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이나 수산업자들은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으로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래전부터 수산자원의 관리와 보존 및 보호를 위해 제정된 1998년 필리핀 수산업법에 의하여 지방정부 하여금 관할해역의 15% 이상을 수산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 필리핀 기마라스주 해양보호구역 설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서 연구 지역인 기마라스주 두 시의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수산자원을 위한 해양서식지의 보호와 보존을 위해 필요한 해양보호구역 설정논쟁에 대한 인식조사와 지불의사금액(WTP)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새로이 설정될 해양보호구역 내에서의 어로행위 제한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손실 때문에, 과반수 이상인 응답자의 58.7%는 손실에 대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응답하였지만, 수산자원의 보호를 위한 관리방안으로 해양보호구역의 증대필요성에 대해서는 91.4%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통하여 기마라스주 산로렌조시와 시부낙시 전체 지역주민들이 부여하는 해양보호구역(375.5ha)에 대한 평균가치는 $1,046,791달러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해양보호구역의 효율적인 관리방안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and the Philippines, as well as all over the world, with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marine ecological resources, the marine protected areas(MPA) have been established and managed to protect and preserve these resources. While the number of marine protected areas for marine ecolo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3). 따라서 다음 절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지역인 필리핀 기미라스 주의 MPA 지정현황 및 관리 실태를 살펴보고 향후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보다 훨씬 이전부터 그리고, 더 많은 MPA를 설정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 필리핀 MPA 설정에 관한 실증사례연구를 통하여 관리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MPA의 보다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해의 해양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해양생태계 보호와 수산자원 회복을 위하여 MPA를 지정·관리해 오고 있으며, 특히 세계에서 최고의 MPA관리사례와 동시에 최악의 관리사례가 있는 필리핀의 관리현황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MPA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FAO, 2013).
  •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MPA에 대한 지역주민의 정량적인 지지도를 추정하는 것이다. 단순한 의견수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산로랜조 및 시부낙 지역에 추가로 설정할 예정인 MPA에 대하여 지역주민들이 생각하는 경제적 가치는 얼마인지 추정하였으며, 이는 지방정부 의사결정자들과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에 있어, MPA 설정에 대한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보호구역과 관련된 문제점은? 우리나라와 필리핀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해양생태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수는 늘어난 반면,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들이 원래의 설정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이나 수산업자들은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으로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고 관리하는 이유는? 우리나라와 필리핀을 비롯하여 전 세계적으로 해양생태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하여 해양보호구역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수는 늘어난 반면,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들이 원래의 설정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이 문제점을 갖는 이유는? 그러나 해양생태자원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의 수는 늘어난 반면, 대부분의 해양보호구역들이 원래의 설정목적에 맞게 효율적으로 관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는 직접적인 이해당사자인 지역주민이나 수산업자들은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으로 발생하는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하여 해양보호구역의 설정에 찬성과 반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래전부터 수산자원의 관리와 보존 및 보호를 위해 제정된 1998년 필리핀 수산업법에 의하여 지방정부 하여금 관할해역의 15% 이상을 수산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해 오고 있는 필리핀 기마라스주 해양보호구역 설정에 대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baran, R. P. and Ingles J. (1996), The coastal marine habitats of Guimaras Province: a rapid appraisal. Institute of Marine Fisheries and Oceanology. Miagao, Iloilo, pp. 161-191. 

  2. Cabral, R. B., Alino P. M., Balingit A.C.M., Alis C. M., Arceo H. O., Nnola C. L., Geronimo R. C., and Partners M. (2014), The Philippines Marine Protected Area(MPA) Database, Philippine Science Letters, Vol. 7, No. 2, pp. 300-308. 

  3. Costanza, R., Ralph d'A., Rudolf d. G., Stephen F., Monica G., Bruce H., Karin L., Shahid N., Robert V. O., Jose P., Robert G. R., Paul S., and Marjan V. B.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Vol. 387, pp. 253-260. 

  4. FAO(2012), Marine Protected Areas: Country case studies on policy, governance and institutional issues - Japan, Mauritania, Philippines, Samoa, FAO Fisheries and Aquaculture Technical Paper 556/2, p. 88. 

  5. Garces, L. R., Pido M. D., Tupper M. H., and Silvestre G. T. (2013), Evaluating the management effectiveness of three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Calamianes Islands, Palawan Province, Philippines: Process, selected results and their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management, Ocean & Coastal Management Vol. 81, pp. 49-57. 

  6. Haab and McConnell (2003), Valuing Environmental and Natural Resources, Edward Elgar Publishing, p. 326. 

  7. Hind E. J., Hiponia M. C., and Gray T.S., (2010), From community-basedtocentralisednationalmanagement-A wrong turning for the governance of the marine protected area in Apo Island, Philippines?, Marine Policy Vol. 34, pp. 54-62. 

  8. Huh, H. Y. (2012), Review on the Protected Areas Issues within Mid-Long Term National Plans for Territory and Environment of Korea: Focus on the Biodiversity 2011-2020 Strategic Targets"and"Protected Areas Decis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ol. 11, No. 4, pp. 3-37. 

  9.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IUCN) (2011), Guidelines for Applying the IUCN Protected Area Management Categories to Marine Protected Areas, IUCN WCPA and GMPP, p. 34. 

  10. Jang, W.G, Shin C. O., Choi H. J., and Nam J. H. (2006), A study of Regulatory Impact Analysis for Better Implementation of MPA Policy, Korea Maritime Institute, p. 216. 

  11. KIOST, KMOU, and KOICA (2013), Provincial Disaster Risk Reduc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of Guimaras Province II, KIOST, p. 184. 

  12. Nam, J. H. and Yook, K. H. (2007), Improving the Designation Criteria of Coastal and Marine Protected Areas through the Application of AHP,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Vol. 6, No. 3, pp. 58-89. 

  13. Maypa, A. P., White A. T., Canares E., Martinez R., Eisma-Osorio R. L., Alinod P., and Apistar D. (2012), Marine Protected Area Management Effectiveness: Progress and Lessons in the Philippines, Coastal Management Vol. 40, pp. 510-524. 

  14.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KIOST (2013), Preliminary Report of Ocean Environment Assessment on the wate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IOST, p. 514. 

  15. MLTMA and KOEM (2012), 2012 Marine Protected Areas Research and observation, MLTMA Report No. 11-1611000-002539-10, p. 259. 

  16. Natural England (2012), Description of the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broad scale habitats and features of conservation importance that are likely to be protected by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Marine Conservation Zone Project area, Marine ecosystem services (NECR088), p. 154. 

  17. PGGP and PEMSEA (2012), State of the Coasts of Guimaras Province, The Provincial Government of Guimaras, Philippines, p. 155. 

  18. Petrolia, R. D. and T.G. Kim (2009), What are Barrier Islands Worth? Estimates of Willingness to Pay for Restoration, Marine Resource Economics, Volume 24, pp. 131-14. 

  19. Porfirio, M. A. (2011),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Philippines: How much spillover do we need?,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20. Province of Guimaras (2008), Guimaras Provincial Development and Physical Framework Plan 2008-2013, p. 219. 

  21. Son, G. H. (2010), Implications for Korean marine protected areas management through biological monitoring case study of New Zealand marine protected areas, Ocean Homeland 21, Vol. 5, pp. 69-88. 

  22. UNEP-WCMC (2011), Marine and coastal ecosystem services:Valuation methods and their application. UNEP-WCMC Biodiversity Series No. 33, p. 46. 

  23.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UNEP) (2014),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Oceans, 16th Global Meeting of the Regional Seas Conventions and Action Plan. 

  24. Weeks, R., Russ G. R., Alcala A. C. and White A. T. (2010), Effectiveness of marine protected areas in the Philippine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Conservation Biology, Vol. 24, No. 2, pp. 531-540. 

  25. Yook, K. H, Nam J. H., Choi J. Y., and Choi H. J. (2005), Problems and Policy Direction of the Management of Marine Protected Areas in Korea, Monthly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Vol. 6(245), pp. 63-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