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재난관련 국내 간호연구 동향 분석
Trends of Nursing Research on Disaster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432 - 444  

이옥철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past nursing studies related to disasters in Korea, and to identify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Methods: Fifty studies conducted from July 1995 to June 2014 were analyze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아직 세월호사건의 수습이 종료되지 않은 상황이나, 본 연구는 삼풍사고와 세월호사건의 양대 사건을 축으로 지난 19년 간 국내에서 발표된 재난관련 간호연구의 동향을 글로벌 관점을 적용한 분류기준에 따라 분석함으로서, 재난관련 간호연구의 미래 과제와 발전방향에 대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재난관련 간호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난을 주제로 연구된 국내 간호분야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국내 재난관련 간호학 논문의 동향을 분석한 사례가 없고, 재난의 개념적 특성상 다른 간호연구 동향분석과 비교 고찰할 수 없어, 글로벌 관점인 ICN Framework을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재난과 관련된 국내의 간호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1995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게재된 논문에 대해 연구유형, 연구설계, 연구대상자, 그리고 연구주제에 대해 분석하고, 향후 재난간호의 학문적 발전을 위해 일 방향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재난과 관련한 간호연구 연구수행상의 어려움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재난과 관련한 간호연구는 재난의 속성상 연구수행상의 어려움이 존재하게 되는데, 재난은 예기치 않게 발생하기 때문에 연구를 미리 설계할 수 없고, 재난 현장에서는 구호가 우선이기에 윤리적으로 대응단계에서 연구를 진행하고자할 때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Davis, 2014). 또한 재난피해자나 재난대응자를 연구대상자로 한다 해도, 재난현장의 혼란스러움으로 외생변수가 많아 과학적 접근에 제한을 갖기 쉽다(Sakashita, 2014).
우리나라 간호가 재난간호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재난은 통상 자연재난과 인위재난으로 분류하나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개정(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에 따라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정하고 있다. 자연재난은 사회재난과 달리, 발생 자체를 막기 어렵고, 피해규모가 큰 데, 2013년 한 해 동안 지구촌에 발생한 자연재난 중 40.7%가 아시아에서 발생하였고, 재난피해자의 90.1%를 차지하였다(Guha-Sapir, Hoyois, & Below, 2014). 이는 아시아에 속한 우리나라 간호가 재난간호에 관심을 가져야하는 이유이다.
재난에대해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분류하고 있는가? 재난은 통상 자연재난과 인위재난으로 분류하나 우리나라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의 개정(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에 따라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정하고 있다. 자연재난은 사회재난과 달리, 발생 자체를 막기 어렵고, 피해규모가 큰 데, 2013년 한 해 동안 지구촌에 발생한 자연재난 중 4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lexander, M. F. & Runciman, P. J. (2003). ICN framework of competencies for the generalist nurse. Geneva: ICN. 

  2. Ann E., Keum K., & Choi S. (2011). A study on the disas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29, 94-109. 

  3. Bhatia, S. (2014). Urban risk and the post-2015 framework on disaster risk reduc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2014 International Conference on Disaster Management. Seoul. 

  4. Chan, S., Chan W., Cheng Y., Fung O., Lai, T., Leung, A., Leung, K., Li, S., & Yip, A. (201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n undergraduate training course for developing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in China,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2(4), 405-413. http://dx.doi.org/10.1111/j.1547-5069.2010.01363.x 

  5. Choi, A., Kim, M., Kim, S., & Yang, S. (2007). An analysis of nursing research trends about case management published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1(2), 252-261. 

  6. Choi, N., Byun, J., Han, D., & Im, S. (2007). Psychological impact and depressive response of sufferers of natural disaster, a torrential downpour, Journal of Academy of Psychiatry Health Nursing, 16(2), 139-149. 

  7. Davis, A. J. (2014). Ethics needed for disasters: before, during, and after,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2014) 1, 11-18. 

  8. Guha-Sapir, D., Hoyois, Ph., & Below, R. (2014). Annual disaster statistical review 2013: The numbers and trends. Brussels: CRED. Retrieved October 15, 2014, from http://cred.be/sites/default/files/ADSR_2013.pdf 

  9.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2013). Call for papers. Retrieved October 29, 2014, from http://hedn.jp 

  10. Kang, S. & Piao, C. (2014). The effect of global disaster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n paramedic and nursing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8(1), 83-94. 

  11. Kang Y., Lee O., & Lee K. (1998). A curriculum development on the disaster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1), 210-220. 

  12. Ko, Y., Yang, S., Lee, O., & Joo, H. (2001). Curriculum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for community health nurses, Journal of Red Cross Nursing, 22, 40-49. 

  13.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4).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enforcement date 07 August, 2014, Act No. 11994, Retrieved October, 29, 2014, from http://www.law.go.kr/main.html 

  14. Lee, O., Cho, K., Shin, G., & Beak, H. (2008). A historical review on disaster nursing activiti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4(2), 106-121. 

  15. Lee, I., Ha, Y., Kim, Y., & Kwon, Y. (2004). PTSD symptom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after typhoon Rus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4), 636-645. 

  16. Loke, A. & Fung, O. (2014). Nurses' competencies in disaster nursing: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 and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3), 3289-3303. http://dx.doi.org/10.3390/ijerph110303289. 

  17. Nemoto, M. & Ariga, E. (2014). Improvement strategy of social support system with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comparative study of preliminary survey structure on vulnerable people to disaster between Korea and Japan,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10(6), 67-87. 

  18. NeSmith, E.G. (2006). Defining "disasters" with implications for nursing scholarship and practice,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4(2), 59-63. 

  19. Sakashita, R. (2014). Development in disaster nursing: the challenges of various research designs,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2014) 1, 19-24. 

  20. Sato, M., Atogami, F., Nakamura, Y., Kusaka, Y., & Yoshizawa, T. (2014). Remote community-based public health nursing during a disaster: an ethnographic case study in Japan, Austral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4)17, 106-111. http://dx.doi.org/10.1016/j.aenj.2014.04.001 

  21. Sim, E. (2004). Safety-awareness, safety-practice and accident occurrence among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18(2), 258-275. 

  22. Stanley, J. (2003). Using an untapped resources: Educational competencies for registered nurses responding to mass casualty incidents. Nashville: International Nursing Coalition for Mass Casualty Education. 

  23. University of Hyogo,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Care for People and Community (2006). Core competencies required for disaster nursing, Retrieved October 29, 2014, from http://www.coe-cnas.jp/english/group_education/core_competencies_list.html 

  24. Wall, B. M. (2014). Nursing research in disasters: The possibilities and promises, Health Emergency and Disaster Nursing, (2014) 1, 6-10. 

  25. Web of Science (2014). Thomson Reuters. Retrieved October 29, 2014, from http://wcs.webofknowledge.com/RA/analyze.do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 International Council of Nurses (2009). ICN Framework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ies. Retrieved January 15, 2014, from http://www.icn.ch/images/stories/documents/publications/free_publications/24_June_2009_Disaster_Nursing_Competencies_lite.pdf 

  27. Yamamoto, A. (2013). Development of disaster nursing in Japan, and trends of disaster nursing in the world, Japan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13) 10, 162-169. http://dx.doi.org/10.1111/jjns.12042 

  28. Yang, S. (2008). An analysis of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2(2), 255-265. 

  29. Yoo, S.Y. (2013).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spiritual ca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25(3), 332-343. http://dx.doi.org/10.7475/kjan.2013.25.3.332 

  30. You, H., So, H., & Kim, H. (2008). Analysis of nursing researches about organ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Adult Nursing, 11(3), 511-5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