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재난대비 및 재난간호핵심능력 영향요인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22 no.2, 2016년, pp.240 - 249  

엄동춘 (대전대학교 응급구조학과) ,  박영임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오현진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disaster preparation and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among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adopted. A convenience sample was taken from 277 subjects in three r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방문 간호사들의 재난대비에 대한 국내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최 일선에서 주민의 건강을 담당하는 보건소 방문 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관련 특성과 개인적인 재난대비 및 재난간호핵심능력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방문간호사를 대상으로 재난관련 특성, 개인적인 재난대비 및 재난간호핵심능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가설 설정

  • , 2012)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6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당신은 재난복구현장에 참여경험이 있습니까? 2) 당신은 재난 피해 경험이 있습니까? 3) 당신은 근무지 재난관리 지침서를 알고 있습니까? 4) 당신은 추후 재난복구에 참여하시겠습니까? 5) 당신은 기회가 주어지면 재난교육과 훈련을 받겠습니까?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을 측정하였다.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은 a) “지역사회를 위해 당신이 느끼는 재난간호교육의 중요성은 어느 정도 입니까?를 5점 척도화한 1개 문항과 b) 20개 재난간호활동을 제시한 후 대상자가 이수한 재난간호활동을 선택하도록 한 후 이수한 간호활동 각 문항에 1점씩 배정한 두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 2012)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6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당신은 재난복구현장에 참여경험이 있습니까? 2) 당신은 재난 피해 경험이 있습니까? 3) 당신은 근무지 재난관리 지침서를 알고 있습니까? 4) 당신은 추후 재난복구에 참여하시겠습니까? 5) 당신은 기회가 주어지면 재난교육과 훈련을 받겠습니까?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을 측정하였다.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은 a) “지역사회를 위해 당신이 느끼는 재난간호교육의 중요성은 어느 정도 입니까?를 5점 척도화한 1개 문항과 b) 20개 재난간호활동을 제시한 후 대상자가 이수한 재난간호활동을 선택하도록 한 후 이수한 간호활동 각 문항에 1점씩 배정한 두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 , 2012)를 기초로 다음과 같이 6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1) 당신은 재난복구현장에 참여경험이 있습니까? 2) 당신은 재난 피해 경험이 있습니까? 3) 당신은 근무지 재난관리 지침서를 알고 있습니까? 4) 당신은 추후 재난복구에 참여하시겠습니까? 5) 당신은 기회가 주어지면 재난교육과 훈련을 받겠습니까?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을 측정하였다. 재난간호중요성인식은 a) “지역사회를 위해 당신이 느끼는 재난간호교육의 중요성은 어느 정도 입니까?를 5점 척도화한 1개 문항과 b) 20개 재난간호활동을 제시한 후 대상자가 이수한 재난간호활동을 선택하도록 한 후 이수한 간호활동 각 문항에 1점씩 배정한 두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건강관리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 2001).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취약계층의 건강형 평성과 지역주민의 건강수명 연장을 확보할 목적으로 주민의 건강인식, 자가건강관리능력 향상과 건강상태 유지 및 개선을 위하여 방문건강관리사업이 시행되었다(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방문간호사는 정기적으로 가정 방문하여 대상자의 건강문제 발견과 문제해결을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비용 효과적으로 지역주민의 건강수준 및 삶의질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Korea Society for Visiting Health Care, 2013).
재난현장에서 일차적으로 보건소 내의 간호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때 일차적으로 지역주민의 건강을 책임지는 보건소 내의 간호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것은 지역주민과 노약자와 만성질환자 및 장애인 등 건강관리 취약계층이 지역사회에 삶의 기반을 두고 있으므로 지역사회 내 의료인 중 누구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재난 현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지역사회 주민건강에 대한 모든 자료를 가지고 있는 장점 때문이다(Canyon, 2009). 그리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근무하는 간호사는 지역 주민의 건강교육도 담당하고 있으므로 일상생활에서의 재난대비 교육도 가능하다(Parton et al.
재난상황에서 간호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각 재난은 독특하고, 극도의 응급상황으로 지역사회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재난의 영향을 최소화 시키고 생존자를 최대한 구하고 돌보기 위해서는 주민중심의 재해관리체제를 확립하고 전문교육훈련을 받은 재해관리자가 필요하다(Jakeway, LaRosa, Cary, & Schoen, 2008). 간호사는 재난이 발생하기 전이나 발생 중 혹은 발생 후 건강문제를 다루고 반응하는데 있어서 가장 민첩할 뿐 아니라 건강문제를 예방하고 사람들의 삶의 손실을 줄이는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재난상황에서 간호사는 그 어느 건강관리 요원보다 필수 인력이다 (Gebbie & Qureshi, 2002; Lavin, 2006). 그러나 Noh (2010)와 Ann, Keum과 Choi (2011)는 임상간호사 중 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blah, E., Tinius, A. M., Horn, L., Williams, C., & Gebbie, K. M. (2008). Community health centers and emergency preparedness: An assessment of competencies and training needs. Journal of Community Health, 33, 241-247. 

  2. Al Khalaileh, M. A., Bond, E., & Alasad, J. A. (2012). Jordanian nurses' perceptions of their preparedness for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Emergency Nursing, 20, 14-23. 

  3. Ann, E. G., Keum, K. L., & Choi, S. Y. (2011). A study on the disater preparedness of nurses in some Korean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Journal of Military Nursing, 29, 94-109. 

  4. Canyon, D. (2009). An Assessment of bioterrorism competencies among health practitioners in Australia. Emergency Health Threats Journal, 2, 1-6. 

  5. Choi, N. H. (2011). Disaster, crisis, disaster nursing - 2011 Korean disaster nursing symposium. The Journal of Korean Disaster Nursing, 6(1), 238-245. 

  6. Fung, O. W. M., Loke, A. Y., & Lai, C. K. Y. (2008). Disaster preparedness among Hong Kong nurse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2(6), 698-703. 

  7. Gebbie, K. M., & Qureshi, K. (2002). Emergency and disaster preparednes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2(1), 46-51. 

  8. Grothmann, T., & Reusswig, F. (2006). People at risk of flooding: Why some residents take precautionary action while others do not. Natural Hazards, 38, 101-120. 

  9. Ho, M. C., Shaw, D., Lin, S., & Chiu, Y. C. (2008). How do disaster characteristics influence risk perception?. Risk Analysis, 28(3), 635-643. 

  10. Hsu, C. E, Mas, F. S., Jacobson, H., Papenfuss, R., Nkhoma, E. T., & Zoretic, J. (2005). Assessing the readiness and training needs of non-urban physicians in public health emergency and response. Disaster Management & Response, 3(4), 106-111. 

  11. Jakeway, C. C., LaRosa, Gl., Cary, A., & Schoen, S. (2008). The role of public health nurses in emergency preparedness and response: A position paper of the association of state and territorial directors of nursing. Public Health Nursing, 25(4), 353-361. 

  12. Kang, K. H., Uhm, D. C., & Nam, E. S. (2012). A study on disaster experience and preparedn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3), 424-435. 

  13. Kim, K. N., Kwon, G. J., & Back, M. H. (2010). Status of Local Disaster Prevention by Regional Types - Focusing on Gangwon-do -.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10(4), 33-46. 

  14. Korea Society for Visiting Health Care (2013). Understanding and perspective of visiting healthcare management. Seoul: One Publishing Company. 

  15. Lavin, R. P. (2006). HIPPA and disaster research: Preparing to conduct research. Disaster Management and Response, 4, 32-36. 

  16. Lee, I. S. (2000).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disaster manag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 of response to Sampung Building collapse(1995), - disaster law, and 98 disaster preparedness plan of Seoul city -. The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1(1), 289-316. 

  17. Lee, Y. R., & Lee, M. H. (2016). A study on disaster preparedness competency in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2(1), 96-109. 

  18. Lee, O. C., & Wang, S. J. (2008), Exploration on disaster nursing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2(6), 95-104. 

  19. Lim, G. H. (2011). (P1-54) Healthcare worker's perception towards individual and institution disaster preparedness.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6, s1, s116. 

  20. Melnikov, S., Itzhaki, M., & Kagan, I. (2014). Israel nurse's intention to report for work in an emergency or disaster.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5, 134-142. 

  21. Ministry of the Interior (2015). Basic law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Retrieved April 10, 2016, from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Web site: http://www.mogaha.go.kr/frt/a01/frtMain.do 

  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1). Press releases, Ministry of Health & Welfare. Retrieved April 10, 2016, from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eb site: http://www.mohw.go.kr/front_new/index.jsp 

  23. Noh, J. Y. (2010). Nurse's perception and core competencies on disaster nursing. Yonsei University, Seoul. 

  24. O'Sullivan, T. L., Dow, D., Turner, M. C., Lemyre, L. L., Corneil, W., Krewski, D., et al. (2008). Disaster and emergency management: Canadian Nurses' perceptions of preparedness on hospital front lines. Prehospital and Disaster Medicine, 23, Suppl. 1, s11-s18. 

  25. Park, J. M. (2011). Proposal for Korean rescue kit design which is appropriate for disaster management preparation step : mainly focus on personal preparation materials. Hongik University, Seoul. 

  26. Parton, D., Johnson, D., Smith, L., & Millar, M. (2001). Responding to hazard effects: promoting resilience and adjustment adoption. Australian Journal of Emergency Management, 16(1), 47-52. 

  27. Qureshi, K., Gershon, R. R. M., Sherman, M. F., Straub, T., Gebbie, E., McCollum, M., et al. (2005). Health care workers' ability and willingness to report to duty during catastrophic disasters. Journal of Urban Health, 82(3), 378-388. 

  28. Sabine, W., Rabenau, H. F., Volkhard, A. J. K., & Brandt, C. (2009). Vaccination against classical influenza in health-care workers: Self-protection and patient protection. Deutsches Aerzteblatt International, 106(36), 567-578. 

  29. Singer, P. A., Benatar, S. R., Bernstein, M., Daar, A. S., Dickens, B. M., MacRae, S. K., et. al. (2003). Ethics and SARS : lesson from Tronto. British Medical Journal, 327, 1342-44. 

  30. Weiner, E., Irwin, M., Trangenstein, P., & Gordon, J. (2005). Emergency Preparedness curriculum in nursing school in the United States.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26(6), 334-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