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학교현장실습경험 분석: NVivo 10 활용
Research on School Health Prelimin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to the Use of NVivo 10 in Analyzing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8 no.3, 2014년, pp.574 - 589  

정미자 (광양보건대학교 간호과) ,  문희 (광양보건대학교 간호과) ,  선춘자 (광양보건대학교 간호과) ,  이동매 (중국항주사범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for understanding their experiences throug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what the trainee school health teachers experience during teaching practice period, the first experience as a teacher.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 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실습경험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이 실습에 대하여 부여하는 의미와 상황들을 조직화하는 논리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실습의 현상을 서술하고 이해하기 위해 교육실습생실습 경험을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교육 실습지도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 중 보건교사 교육실습을 이수한 학생들의 교육실습 경험 내용을 분석하고 이들이 학교현장실습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학교보건사업을 내실 있게 운영하기 위해서 교원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 예비교사들을 잘 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본 연구는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의 실습경험을 이해하고 보건교사의 업무와 개선사항을 살펴보기 위해 2012년부터 2014년까지 3개년 동안의 교육실습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후기에 근거해 이들의 경험을 분석한 것이다.
  • 본 연구는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실습경험의 내용을 파악함으로써 그들이 실습에 대하여 부여하는 의미와 상황들을 조직화하는 논리를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실습의 현상을 서술하고 이해하기 위해 교육실습생실습 경험을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교육 실습지도 및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한 실습에 대해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현상을 기술하고 경험을 분석하여 대상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교육실습 지도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질적 연구 분석프로그램인 NVivo 10을 이용하여 양적으로 분석하여 기술한 것으로 질적 연구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제시하고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이 경험한 실습현상을 의미있는 자료로 제공한 것이라고 본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경험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의 질적자료 분석이 대부분 NVivo 10을 통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 과정은 필수적인 작업이었다. 수집된 자료들을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자료 속에 담겨진 교육실습생들의 시각을 찾아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추상적으로 답변을 했거나 감정만을 표현한 진술들을 제외한 모든 진술내용을 빠짐없이 추출하였다.
  • 또한 참여자들은 학교현장실습에서 대학생의 신분에서 벗어나 보건교사의 역할을 배우는 학생이면서 동시에 학생들에게는 교사의 지위를 갖는 입장에서 교육실습을 경험하고 있다. 이들의 경험한 내용들에 대해 부여하는 의미를 참여자들이 서술 표현한 그대로 인용 하면서 주제별로 범주화하여 분석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추상적으로 답변을 했거나 감정만을 표현한 진술들을 제외한 모든 진술내용을 빠짐없이 추출하였다. 이러한 진술들에서 나타나는 경험단위들을 코딩한 후 이러한 경험단위들의 의미를 포괄하는 범주 또는 주제를 발견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실습경험들을 누락하지 않고 최대한 나타내려고 하였으며 경험을 구성하는 주제 또는 원리를 귀납적으로 찾아들어갔다.
  •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생의 경험에 근거 하여 교육실습생들이 과거의 실습 경험을 어떻게 기억하며 해석하고 그러한 기억에 근거하여 미래에 어떠한 계획을 세우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예비교사로서의 경험들을 파악하고 좀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이해를 하고자 한다.
  • 학교현장실습은 교육실습생들이 대학교에서 갈고 닦은 지식을 실제적인 상황에서 적용하고 실행하면서 자신만의 고유한 실천적 지식을 쌓아가는 첫 관문으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본 연구결과에 근거해 교육실습생들의 학교현장실습 경험내용과 실습에 부여하는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둘째, 교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교육실습생은 한 달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학교현장을 경험하기 때문에 교직에 대하여 부분적으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콩에서 교육실습생들의 실습경험 질적 연구의 결과에서 주장하는 것은? Tang (2003)은 홍콩에서 교육실습생들의 실습경험을 질적 연구한 결과 학생들은 교육실습에 대한 반성과 고찰을 통해 성장하게 되기에 교육당국과 교사들은 교육실습생들의 개인적, 전문적 발전을 파악하고 적절한 도전의 기회를 제공하고 전적으로 지지하며 교육기 회를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육실습생들에 대한 프로그램이 이들의 욕구 충족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가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처음 교직 경험을 하는 학생들의 경우 심리적 욕구가 상당히 제약을 당하기 때문에 자율성, 유대감, 능력에 대한 역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교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어떤 의의를 갖는가? 교육실습은 교사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 단 한 번밖에 없는 경험이라는 점에서 교육실습생 개인에게는 독특한 경험일 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 부딪칠 때 실천적인 지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이며(Roh, 2012), 예비교사로서 자신의 교직적성을 점검, 평가, 개발하는 과정이다 (Kang, 2013). 교육실습은 긍정적인 측면이든 부정적인 측면이든 교사가 교직에 대한 인식과 태도 형성에 계기가 되며, 교사로서 필요한 지식 획득 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에 교사로서 전문성을 향상시켜 나가는 과정이며, 교원양성과정의 출발점이 된다(Kim, & Kang, 2014).
교유실습생들은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경험내용을 통해 어떤 점을 알게 되는가? 본 연구결과 보건교사 교육실습생들의 경험내용은 긴장과 설렘으로 시작한 교육실습이 아쉬움과 보람으로 변화되는 경험이었으며, 보건교사의 업무 중 응급처치와 보건교육의 중요성을 경험하였다. 교육실습생들은 보건교사의 업무과다를 느끼면서 보건교사가 편하다는 편견을 버리게 되고, 나아가 보건교사의 확대배치를 느끼며, 보건교사가 보람된 직업임을 경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J. J. & Kim, B. J. (2012). Analysis on recognition and role expecta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regarding school health teacher.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3), 221-246. 

  2. Bergin, M. (2011). NVivo 8 and consistency in data analysis: reflecting on the use of a qualitative data analysis program. Nurse Researcher. 18(3), 6-12. http://dx.doi.org/10.7748/nr2011.04.18.3.6.c8457 

  3. Chung, H. M. (2004).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database for school health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8(1), 154-166. 

  4.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 Bass. 

  5. Evelein, F., Korthagen, F., & Brekelmans, M. (2008). Fulfillment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of student teachers during their first teaching experience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5), 1137-1148. http://dx.doi.org/10.1016/j.tate.2007.09.001 

  6. Hur, C. S. (2007). Practicum as a place for reconstructing pedagogical knowledge: Experiences of five student teacher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1), 95-127. http://dx.doi.org/10.15708/kscs.25.1.200703.005 

  7. Jang, I. S., Han, S. H., Lee, M. J., & Han, M. S.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health practice competency and satisfaction of school health practice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16(2), 423-435 

  8. Jo, S. H. (2008). Educational values of teaching practicum as a part of teacher preparation cour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2), 317-342. 

  9. Jung, M. K. (2007). Pre-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teacher educatio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5(3), 247-264. http://dx.doi.org/10.15708/kscs.25.3.200709.010 

  10. Kang, H. S. (2013). In search of the reflection and orientation of the practicum in korea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30(3), 33-74. 

  11. Kim, B. C. (2005).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 lesson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teaching profession course.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3), 319-351. 

  12. Kim. H. S. (2012). History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chool health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2), 147-158. 

  13. Kim, M. K. (2013). A study on the change in health teacher placement standards and the problems in the placement polic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3(3), 133-143. 

  14. Kim, P. S., & Kang, H. S. (2014). Research on prelimina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Inha University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Inha Education Forum, 20(1), 51-78. 

  15. Kim, Y. C., & Kim J. H. (2008). Data analysis in qualitative research: Understanding software program. Anthropology of Education, 11(1), 1-35. 

  16. Kim, Y. M., Ha, Y. M., Park, H. J., Jung, H. S., & Kwon, E. H. (2012). Factors related to teachers' self-efficacy in korean health teacher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5(1), 59-67. 

  17. Kwon, J. O., & Oh, J. A. (2011). Role expectation and role performance in school health teachers recognized by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teaching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1), 36-43.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1.036 

  18. Lee, J. H., & Lee, B. S. (2014). Role adaptation process of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 establishing their own positio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4(3), 305-316.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305 

  19. Oh, J. N., & Kwon, J. O. (2010). Job identity and job stress on elementary school health teacher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21(3), 341-350. http://dx.doi.org/10.12799/jkachn.2010.21.3.341 

  20. Oh, K. O., Gang, M. H., & Lee, S. H. (2012).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school nurse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6(1), 60-71. http://dx.doi.org/10.5932/jkphn.2012.26.1.060 

  21. Park J. W. (2014). NVivo 10 Essentials. Pusan :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ress. 

  22. Richard, L. (2014). New features of NVivo 10. from QSR international. Retrieved August 6. 2014. from http://www.qsrinternational.com 

  23. Ryu, H. S., Im, Y. J., & Cho, J. H. (2013). Health education needs and confidence of school nurses in korea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2), 280-292. http://dx.doi.org/10.5932/jkphn.2013.27.2.280 

  24. Roh, K. J. (2012).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personal practical theories: enhancing self-understanding and reflection through reflective journal writing.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4), 417-443. 

  25. Shim, C. S., & Choi, M. J. (2013). A qualitative case study on school health practice of pre-service school health teachers in nursing college. Journal of Korean Entertainment Industry, 7(4), 107-114. 

  26. So, K. H. (2004).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s for teacher-education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2(4), 189-211. 

  27. Strauss, A., & Corbin, J. M.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8. Tang, S. Y. F. (2003). Challenge and support: the dynamics of student teachers' professional learning in the field experienc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5), 483-498. http://dx.doi.org/10.1016/s0742-051x(03)00047-7 

  29. Yang, S. O., Kwon, M. S., Jeong, G. H., & Lee, S. H. (2009). A study on the awareness of importance, performance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f school health promotio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 96-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