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축공간요소를 활용한 인터페이스 사례 분석 - 2011년 이후 디지털아트 작품 사례의 인터페이스 특성 분석 -
Properties of the Interface using Elements of the Architectural Space - Analyzing Properties of the Interface on the Digital Artwork Practices since 2011 -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7 no.12, 2014년, pp.1511 - 1520  

김미연 (seoul Digital Univ. Dept. of Digital Design) ,  서동조 (Seoul Digital Univ. Dept. of Computer & Communic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2011,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s, large interfaces using the architectural space elements here and there in the cities. Recently the desire for the data has increased, and, following the increase of the range of use by the users, the communication utilizing various forms of interfaces 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건축공간 요소를 활용한 인터페이스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기존의 디지털아트 작품에서 사용된 인터페이스의 경향을 살펴보고, 정보 사용목적, 매체환경, 인터페이스 기술, 정보 형식에 따른 특성과 인터페이스 면으로 활용된 건축 공간적 특성을 파악해본다. 마지막으로 디지털아트 작품에서 사용된 인터페이스가 도시생활 지원 서비스를 위한 매개영역으로서의 활용성에 대한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특정 기술이나 하드웨어,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목적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공간 내의 맥락을 고려하는 최적의 인터페이스 환경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사례분석의 틀은 앞서 언급한 이론고찰과 연구자의 선행연구[18]에서 사용한 사례분석틀을 기반으로 하여 5개의 분석틀을 선정한다.
  • 본 연구에서는 먼저 건축술의 발달과 IT 기술의 진보로 변화된 인터페이스 환경을 살펴보고 도시생활지원을 위한 공간정보서비스의 특성을 살펴본다. 둘째, 건축공간 요소를 활용한 인터페이스의 사례를 살펴보고 그 특성을 분석한다, 셋째, 기존의 디지털아트 작품에서 사용된 인터페이스의 경향을 살펴보고, 정보 사용목적, 매체환경, 인터페이스 기술, 정보 형식에 따른 특성과 인터페이스 면으로 활용된 건축 공간적 특성을 파악해본다.
  •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개발 방향은 인터랙션 방법, 디스플레이 기술 등 기술적 측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에서 인터페이스 활용방법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서 근미래의 지능형 도시생활의 편리성을 높이고 원활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자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 인터페이스의 다양화 현상은 최근 디지털아트 작품에서도 나타나는데,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자, 현재 디지털아트 작품에서 실험적으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사례 특성을 분석하고, 도시생활을 지원하는 정보서비스의 인터페이스로서의 활용성을 고려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호작용성은 무엇을 제공할 수 있는가? 쌍방향의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지능화의 가장 큰 특성은 지능의 작동이 개별 사물의 단위를 넘어 공간 전체 차원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이며[15], 상황인지(Context-aware) 등 지능형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기 위해서 사용자는 공간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디지털 매체의 가장 큰 특성인 상호작용성은 메시지의 흐름을 일방적이고 일면적이 아닌 다면적이고 쌍방향적인 것으로 이루어지게 하는데, 정보흐름의 다면적 상호소통성은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상호호환과 결합을 더욱 강화시켜 시ž공간의 제약없이 전달, 수용이 가능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16]. Electroland가 디자인한 'Target Interactive Breezeway at Rockfeller Center'(2006[17])는 전자적 상호작용 공간으로 건축공간의 구성요소인 벽과 천정이 LED로 이루어져 고객의 위치와 경로를 추적하면서 다양한 칼라의 변화를 보여주는데, 아직은 고객 개개인에 대한 정보 분석을 시각화하지는 못하지만 향후 이러한 공간과의 커뮤이케이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 환경으로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물리적 범위가 확장되고 있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수집한 2011년 이후 디지털아트 작품 사례에서 나타난 가장 두드러진 경향은 도시의 공공 시설물을 적극 활용했다는 점으로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물리적 범위가 확장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인터페이스를 위한 단순한 기계적 매체가 아니라 도시를 구성하는 건축적 공간을 사용하여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며, 이는 다중사용자가 동시에 인터랙션에 참여할 수 있다는 동시성을 보여주는 점이다. 정보유형 측면에서 나타난 특성과 같이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및 다른 여러 효과를 접목하여 융합적인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데, 이는 우리 생활에 필요한 생활지원서비스의 분야별 정보특성에 따라 적절히 접목하여 사용자가 쉽게 정보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보 시각화’에 응용될 수 있다.
도시환경이 만들어 가고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무엇인가? 20세기 후반 컴퓨터 기술 및 활용 서비스의 획기적인 발전으로 우리가 살고 있는 도시환경은 공간지능화(Ambient Intelligent), 디지털융합(Digital Convergence),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등 다양한 기반 기술 간 융복합적 발전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 가고 있다. 급속한 도시화와 첨단 기술의 발달로 인한 도시환경 변화는 다양한 지식과 정보로 가득한 새로운 도시의 형태를 요구하고 있으며, 도시생활의 여러 분야의 이용 규모 측면에서 점차 오프라인을 능가하는 가상공간에서의 정보소비가 일상화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H.S. Sagong, Spatial Information Paradigm Changes: Social and Cultural Trends, Land Policy No.157,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7. 

  2. E.H. Kim, "A Study on Standardization Structure for Urban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Proceed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08 Joint Spring Conference, pp. 238-247, 2008. 

  3. Citizen's Coalition for Economic Justice Urban Reform Center, The New Paradigm of Urban Planning, Bosungkak Publishers, Seoul, Korea, 2001. 

  4.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Development Master Pl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5. H.G. Kim, J.E. Park, S.J. Park, and H.J. Cho, Developed Country Case Studies of Social Media in the Environmental Field,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NIA II RER-11020, 2011. 

  6. M.S. Jung, C.M. Cho, M.C. Kim, E.J. Park, and J.E. Kim, A Study on Realizing the Strategies of New Digital Convergence Space(IV): Focusing on the Strategies for Convergence GI(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12. 

  7. J.S. Park, Five Sense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of the Next Generation Human Interface, Weekly Technology Trends No. 1252,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Agency, 2006. 

  8. J.H. Choi, Touch Screen Market Trends and Implications, KDBBank Research Department, Industrial Issue Analysis, 2008. 

  9.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NDSL Trends Analysis, Grobal Trend Briefing, 2008. 

  10. B. Gate, 2008 International Consumer Electronic Show(CES) Keynote(2008) http://news.microsoft.com/2008/01/07/bill-gates-2008-international-consumer-electronics-show-keynote/(accessed September, 10, 2014) 

  11. M.J. Kim, J.E.Song and S.H.Yoon, InterFace Technology Fair 2010,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KOTRA. 2010, http://www.akei.or.kr/0akei_download/20090701/02.pdf(accessed September, 28, 2014) 

  12. B. Laurel, Computers as Theatre, Addison-Wesley, Boston, MA, USA, 1993. 

  13. M.Y. Kim and D.J. Seo, "The Visualization Module Composition for Interface User Platform",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16. No.12, pp.1482-1494, 2013 

  14. J.Y. Kim, Augmented Reality City Design, Design Flux Publishing, Seoul. Korea, 2010 

  15. J.S. Whang, The Revolution of Intelligent Spaces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T & Future Strategy No.13, Natio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09. 

  16. G.D. Lim, Two-way Interactive Culture, Hanyang University Press, Seoul, Korea, 2004 

  17. Target Interactive Breezeway at Rockfeller Center(2006), http://www.electroland.net/target-interactive-breezeway/(accessed May, 4, 2014) 

  18. M.Y. Kim, A Study on the Application Model of the Use Interface for Spatial Information Service in the Intelligent City, 2010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Budding Porfessor Support Project, Research Report NRF-2010-332-G00026,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201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