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럭크기를 이용한 응집공정 진단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Floc Size Distribution for the Efficiency Assessment of Flocculation Process in Water Work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12, 2014년, pp.7438 - 7442  

정진홍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  최계운 (인천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박재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수처리공정 중 응집공정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Floc Size 분포를 분석하여 응집공정의 효율 평가를 수행하였다. 응집 효율은 탁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는 방법보다 응집 상태를 직접 평가하는 Floc의 크기 및 개수를 분석하여 정량화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원수의 탁도 분포에 따른 Floc의 성장 상태를 분석하였다. 응집지에서 원수 탁도가 5.0 NTU 내외로 유입되었을 경우 응집지 각 단의 G값이 각각 50 sec-1,, 30 sec-1, 10 sec-1일 때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수 탁도가 263 NTU로 유입되었을 경우 G값을 각각 65 sec-1, 40 sec-1, 10 sec-1으로 운전한 경우 효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때 $1200{\mu}m$ 이상의 Floc 개수는 약 14개로 분석되었다. G값에 따라 응집효율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인자로 Floc의 크기 및 개수로 공정 진단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assessment of flocculation was performed by measuring the distribution of the floc size during sedimentation in water works. The size and number of flocs have a greater effect on an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flocculation rather than the turbidity. The data was collected in situ using part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 운전자에게 응집지의 Floc 크기 분포를 이용하여 응집공정의 효율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고 최적운영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Floc 크기 분포를 이용하여 응집제 주입량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수처리 공정 중에서 응집의 효율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최적화된 운전을 도모하여 비용의 절감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진단 기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7].
  • 본 연구에서는 정수공정 운전자에게 응집지의 Floc 크기 분포를 이용하여 응집공정의 효율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고 최적운영 수행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진단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Floc 크기 분포를 이용하여 응집제 주입량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정수처리 공정 중에서 응집의 효율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최적화된 운전을 도모하여 비용의 절감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 진단 기법을 제공하고자 하였다[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수처리에서 응집공정은 무엇인가? 정수처리에서 응집공정은 응집제 주입 후 급속혼화를 통하여 입자의 충돌속도를 가속시킴으로서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콜로이드입자를 침강성이 좋은 입자로 뭉치게 하는 것으로서, 고액분리 효율을 높여주는 중요한 공정이다. 응집공정에서 Floc 크기는 응집제 종류, 주입량, 교반강도, 원수의 pH, 알칼리도, 수온 및 각종 물리적 작용 등의 영향을 받으며, 후속공정인 침전과 여과 효율에 큰영향을 미친다[1-6].
응집공정에서 Floc 크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정수처리에서 응집공정은 응집제 주입 후 급속혼화를 통하여 입자의 충돌속도를 가속시킴으로서 전기적으로 불안정한 콜로이드입자를 침강성이 좋은 입자로 뭉치게 하는 것으로서, 고액분리 효율을 높여주는 중요한 공정이다. 응집공정에서 Floc 크기는 응집제 종류, 주입량, 교반강도, 원수의 pH, 알칼리도, 수온 및 각종 물리적 작용 등의 영향을 받으며, 후속공정인 침전과 여과 효율에 큰영향을 미친다[1-6].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수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급속여과에서 응집공정은 현재 어떻게 운영, 관리되고 있는가? 우리나라 대부분의 정수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급속여과에서 응집공정은 수중 입자제거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공정이다. 그러나, 기존 정수장에서의 응집공정은 시설기준 등에서 제시한 주변속도를 조정하여, 육안으로 Floc의 성장 상태를 확인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모래여과공정의 전처리공정으로 간주되어 최적운전을 수행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나 적절성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의 도입은 미미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Ministry of Environment, Criteria of Waterworks, 2007. 

  2. Tao Lia, Zhe Zhu, Dongsheng Wang, Chonghua Yao, Hongxiao Tang , "Characterization of floc size, strength and structure under various coagulation mechanisms", Powder Technology, Vol. 168, pp.104-110, 2006. DOI: http://dx.doi.org/10.1016/j.powtec.2006.07.003 

  3. Gilhyun Ga, Hyunsung Jang, Youngbeom Kim, Jong woon Kwak, "On-Line Monitoring of the Flocs in Mixing Zone using iPDA in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1, No. 4, pp.263-271, 2009. 

  4. Junho Ji, Jungho Hwang, Kyoowon Lee. "Analysis of Coagulation Between Charged Particles Using Moment Method",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Vol. 23. No. 4, pp.431-442, 1999. 

  5. Jinman Kim, Jaeho Lee, Youngbeom Kim, "Effect of Floc Sizes and Distribution for Sedimentation Efficiency in the Drinking Water Plant Using iPDA System",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009, pp.443-444, 2009. 

  6. Gwanjo Jeong, Kyeongwoo Lee, Hyunhee Kim, Euisun Jeong, Hyeon Park, Sunhee Han, "Improvement of Quality in Treated Water by the pH Adjustment of Raw Wat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2, No. 5, pp.469-476, 2010. 

  7. Jinhong Jung, Hyunje Oh, Taemun Hwang, "Application of Floc Size Analyzer for the Efficiency Assessment of Flocculation Process",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2006, pp.1309-1312, 2006. 

  8. Gilhyun Ga, Hyunsung Jang, Youngbeom Kim, Jongwoon Kwak, "On-Line Monitoring of the Flocs in Mixing Zone using iPDA in the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1. No. 4, pp.263-27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