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 청구 질병코드와 퇴원손상환자심층조사 질병코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Disease Codes between Korea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and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4 no.4, 2014년, pp.322 - 329  

배순옥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학 및 관리학교실) ,  강길원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의료정보학 및 관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As most of people in Korea are covered by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the disease information collected in NHI provides high availability for health policy. Nevertheless, the validity of disease codes in NHI data has been controversial till now. So we tried to evaluate the valid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와 같은 문제를 극복하고 개선방안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질병코드별 정확도 평가를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퇴원손상 심층조사에 주목하게 되었다. 퇴원손상 심층조사에서는 의료기관 퇴원 환자에 대한 국가단위의 보건통계 생성을 위해서 2005년부터 100병상 이상 병원을 대상으로 9%의 표본을 추출하여 질병 및 시술정보를 수집하고 있다.
  • 이 연구에서는 두 자료의 비교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구대상 환자를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입원 환자로 국한하였다. 따라서 퇴원손상심층조사자료에서 산재나 자동차보험 환자, 일반 환자는 제외하였다.
  • 이 조사에서 수집하는 질병코드는 통계청의 KCD 코딩지침에 따라 의무기록실에서 직접 작성한 것으로 청구 질병코드와의 비교 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의무기록실에서 직접 작성한 퇴원손상심층조사의 질병코드와 청구 질병코드를 비교하여 기존 연구들이 가지는 제한점을 극복하고 청구 질병코드의 전반적 현황을 질병코드 수준에서 평가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구 질병코드의 타당성의 논란이 지속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하지만 청구 질병코드와 실제 의무기록 진단명과의 일치율이 낮아서 청구 질병코드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기존의 청구 진단명과 의무기록 진단명의 일치율에 대한 연구[2-7]에서 두 자료의 일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건강보험 질병코드의 타당도 제고방안 및 자료의 활용방안 수립 연구는 어떤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행되었는가? 하지만 청구 질병코드와 실제 의무기록 진단명과의 일치율이 낮아서 청구 질병코드의 타당성에 대한 논란이 지속되어 왔다. 기존의 청구 진단명과 의무기록 진단명의 일치율에 대한 연구[2-7]에서 두 자료의 일치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확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런 연구들은 일부 병원에 제한된 연구로 우리나라를 대표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2003년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는 ‘건강보험 질병코드의 타당도 제고방안 및 자료의 활용방안 수립 연구’를 수행하여 청구 질병코드와 의무기록정보를 대조하는 전국조사를 실시하였다.
건강보험 청구 질병코드는 어떤 곳에 활용 되는가? 건강보험 청구 질병코드는 전 국민이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기 때문에 보건정책적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고 이를 이용한 각종 질병 및 건강수준에 대한 질병통계 생성에도 활용되고 있다. 과거에 건강보험청구명세서에 기재되는 질병코드는 청구지급을 위한 소명 자료로만 사용되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Im LY, Sakong J, Kim Y, Kim SR, Kim SK, Choe BH, et al. Developing the inpatient sample fo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Health Policy Manag 2013;23(2):152-161. DOI: http://dx.doi.org/10.4332/kjhpa.2013.23.2.152 

  2. Moon OR, Kim CY, Kim MK.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code of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 for similar outpatient conditions among general practitioners. Korean J Health Policy Admin 1992;2(1):66-79. 

  3. Lee GS. Diagnosis coding agreement between medical records and medical claim billing data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4. Shin JY. A Comparision study of diagnosis code in both medical records and medical claim bills for same discharge patient: focused on the inpatient 10 frequent diseases. J Eulji Univ 1996;16(1):121-136. 

  5. Shin E, Park YM, Park YG, Kim BS, Park KD, Meng KH. Estimation of disease code accuracy of national medical insurance data and the related factors. Korean J Prev Med 1998;31(3):471-480. 

  6. Suh SW, Kim KH, Pu YK, Suh JS, Park WS, Yoon JY, et al. Evaluation of current coding practices in 3 university hospitals. J Korean Soc Qual Assur Health Care 2002;9(1):52-64. 

  7. Park JK, Kim KS, Kim CB, Lee TY, Lee KS, Lee DH, et al. The accuracy of ICD codes for cerebrovascular diseases in medical insurance claims. Korean J Prev Med 2000;33(1):76-82. 

  8. Park BJ, Suh SW, Sung JH, Paerk GD, Kim SH. Improvement plan for validity of health insurance disease code and establishment of data application plan, 2002.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gency Research Service; 2003. 

  9. Bae SO. Comparison of ago and after by principal diagnosis concordance elevation program enforcement in a general hospital discharge [master's thesis]. Daeje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0. 

  10. Lee KS, Park JH, Kang SH. A study on the principal diagnosis agreement in a general hospital. J Health Inf Manag 2008;18(9):127-151. 

  11. Cho EH, Cho HK, Kang SN.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incidence rate of disease classification codes between medical record department and health insurance claim. J Health Inf Manag 2010;21(7):65-73. 

  12. Ahn JH. Analysis of agreement status between the diagnostic code of health insurance claim [master's thesis]. Busan: Inje University; 2002. 

  13. Statistics Korea. Coding guidance of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Daejeon: Statistics Korea; 2012. 

  14.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 direction and primary objects of medical fee review [Internet].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09 [cited 2014 Apr 20]. Available from: http://www.hira.or.kr/cms/notice/. 

  15.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ews letter of 2014.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